CAFE

牧會者의 길

牧會者의 길 - 034 - 목회자란 레위족속의 제사장 - 4

작성자대태양/김현수|작성시간24.05.07|조회수299 목록 댓글 0
목회자의 길 - 034
제1장 목회자론
제2절 祭司長이 가는 길

1. 목회자란 레위족속의 제사장 - 4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이 이 땅 위에 와서 만일 제물을 바쳐 가지고 승리했더라면 대제사장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대제사장이 되지 못하고 제물이 되어 돌아갔습니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들은 대제사장이 되기 전에 무엇을 해야 되느냐? 제물을 바쳐야 돼요. 제물을 바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느냐? 피를 흘려야 됩니다. 쪼개야 되고 희생해야 된다구요. 그게 원칙입니다. 희생해야 돼요. 

이리하여 우리들이 어느 기준을 이루어 가지고 이 민족이 우리로 말미암아 하늘 앞에 세움을 받을 수 있게 될 때는, 열두 이스라엘 지파는, 유대 백성은 이 레위족속이 잘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그 민족의 흥망이 좌우된다는 거예요. 제사장들이 부패하면 그 나라도 따라서 망하는 것이요, 제사장이 충성을 다하면 그 나라도 흥했다는 것입니다. 과거 역사가 그랬다구요. (155-276) 

 

牧会者の道 - 034
第1章 牧会者論
第2節 現代の祭司長、責任者の行く道

1. 牧会者の起源はレビ族の祭司長 - 4

ですから、イエス様がこの地上に来て、もし祭物をささげて勝利していたならば、大祭司長になっていたのです。ところが、大祭司長になれずに、祭物になって亡くなってしまったのです。

それゆえに、今日私たちは、大祭司長になる前に何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のでしょうか? 祭物をささげなければなりません。祭物をささげようと思えば、どのようにしなければなりませんか? 血を流さなければなりません。裂かなければならないし、犠牲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のです。それが原則です。犠牲にならなければなりません。

このようにして、私たちがある基準をなして、この民族が私たちによって、天の前に立てられるようになる時に、イスラエル十二支派は、ユダヤ民族は、このレビ族が正しくなせるか、なせないかによって、その民族の興亡が左右されたというのです。祭司長たちが腐敗すれば、その国も滅びるのです。祭司長が忠誠を尽くせば、その国も栄えるというのです。過去の歴史がそうだったというのです。(一五五・二七六)

 

TheThe Way Of The Spiritual LeaderChapter - 034
1. The Way Of Being A Minister

Section 2. The Way Of A Priest
 
1. Minister As The Priest From The Levite Tribe - 4

Therefore, if Jesus had come to this earth and had won by offering offerings, he would have become a high priest. However, he could not become the chief priest, and died as a festival.

Therefore, what must we do today before we become chief priests? We must offer offerings. What should I do if I want to offer a festival? I have to bleed. It has to be torn, and it has to be sacrificed. That's the principle. You have to be sacrificed.

In this way, when we set a certain standard and this nation is set up by us before the heavens, the twelve tribes of Israel say that the Jewish people were influenced by the rise and fall of this Levites by whether they could or could not be right. If the chief priests are corrupt, the country will perish. If the chief priest is loyal, the country will flourish. That's what history has been like in the past.(155-276)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