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경유X 고성능 경유O

작성자골프맨|작성시간09.01.13|조회수873 목록 댓글 7

 승용디젤 엔진이 올라간  세단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중 하나가 

혼유 문제가 있죠...

 

특히 수입차량의 경우  대부분   디젤차량임을  알아보지 못한  주유소의  가솔린  주입

가솔린 차의 경유 주입은   연료 탱크 청소와  연료 필터 교환등으로  해결되나

 

의무적으로  시동을 off 하지않아도 되는   디젤 터보 차량의 경우  시동이 걸린채  주유하는 경우나

가솔린이 주유된것을 모르고  시동걸고 주행하는 경우는  엔진에 무리가 와서 엔진 교환까지 하는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  이런 혼유 문제나 

아니면  고성능 경유가  필요한가 아닌가가  먼저 문제가 되는데...

겨울철  시동 불능 문제가  먼저 이슈화 되는것은  의외네요...

 

가솔린의 경우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는  고급휘발유로 판매 되고

디젤은   세탄가가 높은 경유가   고성능 디젤로  판매 됩니다

 

일반과 다른 품질을 뜻하는  고급과 고성능을  혼용해서 사용하다 보면 

혼유의 위험이  있으니    고성능 디젤이라는 명칭이  정착되었으면 합니다.

 

아래는 고성능 디젤이  소비자에게  필요한 품질을 갖는지 의문을  가진 김**  국회의원이

요청해서 받은  내용을   인터넷에 올린것을  다운 받은 내용입니다...

 

고성능 경유가 필요한가  아닌가 하는 문제로  자동차 카페에서  의견 교환이 있었을때

"내가 고성능 경유를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로  올린 자료 인데 

 

자료에 대한  신뢰성이나  테스트 방법 이런것은  저 역시 자세히 모르나

경유의 품질기준이 나오고   또  최소한  세탄가 만이라도 정유사가 이야기 하는

수치가 나오기에 유용한 자료인것 같아 올려 봅니다...

 

디젤이  상용차에 먼저 사용되어  진동과 소음이 크고  매연이 심한  동력방식이라고

알려졌지만    과급 방식의 개선( 터보  트윈 터보  2스테이지 터보 등등 )

직분사 방식 ( 1400에서  1800바  요즘은  2,000 바 이상의 고압 분사 ) 의 발달로

 

보다 작은 배기량으로 높은 토크를 얻어내고   배기 개스 역시  유로 5 을  통과하고

캘리포니아 대기 환경법( 가장 규제가 심함...) 을  통과하는  디젤 엔진이 많이  나오고

있는  짧은 시간에 많이 발전한  좋은 엔진 입니다.

 

글 많이 안쓰다가 

C220 cdi의  시동꺼짐 문제로 글 올라온것을 보고

그냥 알고 있는 내용을 올리는 이유는  MBK를 옹호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또  현재 어려움을 겪는 오너분들의 심정을 몰라서가 아니라

 

좋은 엔진이  장착된  좋은 차가   이런 문제로  잘못 알려지는것 아닌가 해서이죠...

 

04년  쏘렌토  5단 미션이 처음 나왔을때  

미션의 변속 프로그램에 대한  불만족으로( 6개월만에  미션 리콜로 미션을 교환)

리콜 카페에서 활동하면서

( 그 당시  경쟁사의 5단 미션 장착 출고로  기아에서는 변속 프로그램이 안정화 되기전에

  출고를 결정해서_ 미션의 스냅링 고정홈 불량이라는  기계적인 문제도 있었지만_ 많은 소비자를

  힘들게 했죠...  그때 당시의 카페 회원이 가장  분노했던것은  문제가 생기면  AS로 처리 하면

  된다고  하면서 빠른 출시를 원했던  ***임원이었죠 )

이후  많은 일들이 있었고...

 

아직 C220cdi 는 시승도 못해보고 관련 메카니즘에 대한 정보도 없지만

ML280에서  간접 경험한  벤츠의 디젤 엔진은  제차에 스왑하고 싶을 만큼  좋은 회전과 출력을

보여주었던  완성도 높은 엔진이었던 경험이 소비자와 메이커가  대립하기 보다는

서로  협력 해서 문제를  풀었으면  하는  생각을 하게 해서  길게 적었습니다.

 

새로운  기술이나 방식이 소비자에게 받아들여질때 까지는  몇가지 문제점들이 생기는데

이는  미리 알고 준비하면  해결되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 1년정도 준비기간을 가진 것으로 알고 있지만... 만약 한국의 실정에 맞지 않는  상황에서 출고 되었다면

  MBK는  소비자에게  그 문제에 대해 해명해야 겠지요...)

 

시동꺼짐등의 현상이 발생한  오너분들의  어려움이 잘 해결되었으면  합니다.

 

 

 

 

 ========================================================================================

 

 



 고성능경유 품질 및 성능평가 결과(‘07.4~’07.12)

고성능경유 품질 및 성능평가 결과(‘07.4~’07.12)

 

품질평가결과


  ○ A사 및 B사의 일반 경유 대비 품질수준 우수

    - 고성능경유는 출력 등과 관련한 세탄가 우수(유해배출가스 원인물질인 총방향족 함량 낮음)

 

 

엔진동력계 평가결과

  ○ A사 및 B사의 고성능경유가 각 항목에서 우수한 것도 있으나

     차별화가 다소 미흡

 

 

차대동력계 성능평가 결과,

  ○ A사 및 B사의 고성능경유가 환경성(배출가스총량 기준)과 연비 등에서 우수한 항목도 있음.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결과

  ○ 고성능경유란 일반경유보다 세탄가, 연소성능 등을 향상노력 확인

    - 엔진청정성 유지, 소음감소, 가속성능향상의 효과와 노후차량의 경우 인젝터 등 연료분사장치의 이물질 제거로 출력이나 연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 따라서 고성능경유에 의한 성능은 엔진의 종류(기계식, 커먼레일)와 엔진 노후화 정도에 따라 상이


  ○ 본 평가는 두 시료의 배출가스, 최고출력 및 연료소비율의 성능 차이만을 평가한 것으로서, 고성능경유가 일반경유보다 연소성능 등 향상에 의하여 배출가스가 저감됨을 확인한 정도로 보아야함


  ○ 성능평가 결과값은

    시험의 오차범위 (연비 3% 등)로 뚜렷하게 향상되었다고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장기적, 세부적 평가를 통한 객관성 확보 필요


   ☞ 단기평가(‘07년 1회)의 신뢰성 한계 극복과 고성능경유의 엔진청정성 및 가속성개선(업계주장) 등을 추가하여 “고성능경유 장기평가”를 한국석유품질관리원에서 수행중(’08.6.~‘09.5)

 

 

 

 

 

이상의 답신이 왔습니다.

여기에서 발견된 또 다른 문제점은 이상의

조사를 위해 시료와 예산을 해당 정유사 측에서 제공

다는 사실입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고성능경유 장기 평가"도 이들 업체의 시료와 예산 제공하에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

인데 이러한 연구 결과를 소비자들이 얼마나

신뢰할지 의문입니다. 정부와 해당 정유사들은 소비자들이 믿고 신뢰할만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입니다. 물론 문제제기 한번으로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겠지요.

오랜 기간 바뀌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에 저와 여러분의 지속적인 감시와 관심을 가져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누리꾼 여러분을 비록한 국민들께 꾸준한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항상 여러분의 의견을 경청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lith(김광식) | 작성시간 09.01.13 일반 경유와 고성능 경유와의 유의차를 잘 못느끼겠는데요... 물론 A,B같의 차이도 그렇고요...하여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DIESEL | 작성시간 09.01.13 저는 바로 느꼈습니다.. 그럼 항상넣으시다가 지방에서 일반경유를 넣었을때의 느낌... 썩 불쾌하지요... 그나저나 a사는 어딘가요?? 전 제가운영하는sk주유소입니다만.. 제발 gs가 아니기를...
  • 답댓글 작성자대호 | 작성시간 09.01.13 전 집주위에 고성능 경유는 gs밖에 없어서 gs에서 주유하고 있는데요...
  • 답댓글 작성자골프맨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9.01.13 A사 B사는 원문에서 브라인드 되어 나온 자료라 어딘지 모르겠네요...
  • 작성자롱롱오빠 | 작성시간 09.01.13 일반 경유와 고성능 경유의 필터 막힘 온도가 상당히 차이 나는군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