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원 La-7
분류 : 단발단좌 전투기 전장 : 8.6m 전폭 : 9.8m 전고 : 2.54m 익면적 : 17.59㎡ 엔진 : 쉬베초프 ASh-82FN 공랭식 복열 14기통 성형엔진, 출력 1,470마력 프로펠러 : 3날 VISH-105V-4 자체중량 : 2,605kg (전비중량 3,265kg) 최대속도 : 661km/h 항속거리 : 665km 작전 한계고도 : 10,450m(34,285 ft) 상승력 : 완전무장 상태로 5,000m(16,400 ft)까지 5분 18초 무장 : 기수에 ShVAK 20mm 기관포 2문, 문당 탄약 200발/기수에 Berezin B-20 20mm 기관포 3문, 문당 탄약 100발, 200kg(440 lb)의 폭탄 |
2차대전때 활약했던 궁극의 소련제 단좌 전투기 중 하나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La-5에서 파생된 모델이었고, 1944년에 최초로 전쟁에 투입된다. 스펙에서도 알 수 있듯이 최고 속도가 상당한 편이며, 최초의 단좌 제트 전투기였던
Me-262를 털어버린 이력도 있는 기체이다. 그러나 수명을 짧았는지 제트기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도 전인 47년에 소련군에서 퇴역하게 된다. 반면에 체코에 수출되었던 기체들은 50년대에 퇴역한다.

[Lavochkin La-7 는 앞서 La-5항목에 나와 있듯이, 43년 정도에 들어서서 전쟁 상황에 여유가 생기자 풍동 실험을 하는 등 본격적인 개량 사업에 착수하게 되는데, 이 덕분에 기존의 형상을 변경하여 공기 역학적인 특성을 개량하고, 전방 카울링을 개량하여 엔진 개스를 차단하고, 시야를 더 좋게 만드는 등 개량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본격적으로 개량된 기체는 1944년에 최초 비행을 하게 되는데, La-5FN에 쓰였던 엔진을 그대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성능 향상(최고 속도가 거의 50 kph 정도 증가)을 확인하게 된다. 이 당시 La-5또한 프로토타입 Shetsov M-71엔진을 장착하여 실험중이었는데, 이 실험 기체보다 더 성능이 좋았다.]
앞서
La-5항목에 나와 있듯이, 43년 정도에 들어서서 전쟁 상황에 여유가 생기자 풍동 실험을 하는 등 본격적인 개량 사업에 착수하게 되는데, 이 덕분에 기존의 형상을 변경하여 공기 역학적인 특성을 개량하고, 전방 카울링을 개량하여 엔진 개스를 차단하고, 시야를 더 좋게 만드는 등 개량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본격적으로 개량된 기체는 1944년에 최초 비행을 하게 되는데,
La-5FN에 쓰였던 엔진을 그대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성능 향상(최고 속도가 거의 50 kph 정도 증가)을 확인하게 된다. 이 당시 La-5또한 프로토타입 Shetsov M-71엔진을 장착하여 실험중이었는데, 이 실험 기체보다 더 성능이 좋았다. 재미있는 건 이 기체도 주된 재료가 목재였다는 것이다. 이후 미국의 렌드 리스 계획에 의해 합금 공급이 늘어나자 금속 재료 비중을 늘리게 되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동체는 목재로 되어 있었다.




[LA-7에 이르면 기존의 LA-5N 기체에 사용된 Shvetsov ASh-82FN 14-cylinder, two-row, air-cooled radial, 1,230 kW (1,650 hp) 엔진을 장착하였으나 기체설계를 전체적으로 다듬은 결과 LA-5 보다 더 빠르고 정교한 조작이 가능했다고 한다]



[LA-7 의 무장은 기수에 ShVAK 20mm 기관포 2문, 문당 탄약 200발/기수에 Berezin B-20 20mm 기관포 3문, 문당 탄약 100발 정도로 독일군의 BF-109G형이 장착하고 있는 기관포에 비해는 부족하지만 대부분 20밀리 기관포라 몇발만 스쳐맞아도 공중분해될 정도로 파괴력이 뛰어났다]
실전용 모델은 이전의 ShVAK 20 mm 캐논 2정을 제거하고 B-20캐논을 3정 장착하기로 했으나, B-20의 생산이 늦어지는 바람에 그대로 ShVAK을 장착하고 투입된다. 역시나 탁월한 비행 성능 덕분에 조종사들의 반응은 좋았으나, 설계 미스로 인해 비전투 손실을 보게 되는데, 제일 가관인 건, 엔진 흡기구가 아래쪽에 나 있었는데, 여기로 먼지가 빨려들어가서
망했어요 가 된 경우도 있을 정도였다. 이후 45년에 접어들어 B-20을 3정 장착한 모델이 투입되었는데, 어찌된 일인지 ShVAK 2정 장착된 모델보다 60 kg가량 무거웠음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더 빨랐다고 한다. 이렇게 화력을 강화한 이유는 이 당시 FW-190등을 격추시키려면 20 mm 두 정으로도 화력이 모자랐기 때문이라 한다.




[LA-7의 실전용 모델은 이전의 ShVAK 20 mm 캐논 2정을 제거하고 B-20캐논을 3정 장착하기로 했으나, B-20의 생산이 늦어지는 바람에 그대로 ShVAK을 장착하고 투입된다. 역시나 탁월한 비행 성능 덕분에 조종사들의 반응은 좋았으나, 설계 미스로 인해 비전투 손실을 보게 되는데, 제일 가관인 건, 엔진 흡기구가 아래쪽에 나 있었는데, 여기로 먼지가 빨려들어가서 망했어요 가 된 경우도 있을 정도였다. 이후 45년에 접어들어 B-20을 3정 장착한 모델이 투입되었는데, 어찌된 일인지 ShVAK 2정 장착된 모델보다 60 kg가량 무거웠음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더 빨랐다고 한다. 이렇게 화력을 강화한 이유는 이 당시 FW-190등을 격추시키려면 20 mm 두 정으로도 화력이 모자랐기 때문이라 한다.]





몇몇 단점에도 불구하고, 비행 성능은 발군이었는데, 이 당시까지만 해도 Bf 109G형은 소련제 기체들보다 수직 기동 성능은 우월했었으나, La-7는 이걸 뭉개버렸다. 물론, Fw-190또한 수직 기동에서 따라잡을 수 있었음에 따라, 독일군의 수직 기동에 대처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기체였다.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던 Yak-3보다 공중전 손실 댓수가 반 정도 밖에 안 되는 115 대였다는 것이 이를 보여준다.

[La-7은 몇몇 단점에도 불구하고, 비행 성능은 발군이었는데, 이 당시까지만 해도 Bf 109G형은 소련제 기체들보다 수직 기동 성능은 우월했었으나, La-7는 이걸 뭉개버렸다. 물론, Fw-190또한 수직 기동에서 따라잡을 수 있었음에 따라, 독일군의 수직 기동에 대처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기체였다.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던 Yak-3보다 공중전 손실 댓수가 반 정도 밖에 안 되는 115 대였다는 것이 이를 보여준다.]

[La-7 의 우수한 비행성능 특히 최대시속이 무려 661 km/h (411 mph; 357 kn) @ 6,000 meters (19,685 ft) 나 되는지라 당시 최신 제트전투기인 ME-262 를 상대로 이를 격추할 정도로 빠른속도를 보여주었다]


[이로인해 수많은 에이스들을 생산하는데 중요한 기체로 많은 사랑을 받게 된다]

그러나 고공 성능은 아직도 딸렸기에 개량에 개량을 거듭하고 있었는데,
P-47처럼 터보 수퍼차져를 장착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사고로 취소되었고, 꼬리 부분에 로켓 엔진을 장착해 순간적인 가속을 통해 속도를 상승시켜 보려는 노력도 있었다. 물론, 이 시도도 로켓 엔진이 폭발하는 바람에 위험에 빠졌으나, 꼬리 부분이 날아간 상태에서도 귀환할 수 있었다고... 이 외에도 램제트 엔진을 주 날개에 각각 장착한 모델도 존재하는데, 800 kph를 내도록 설계했는데, 고작 680 kph밖에 나질 않았다고 한다...

[고공에서의 빌빌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터보차저등을 장착한 LA-9 등이 계획되어 있었으나 이미 당시에는 전투기의 판도가 제트엔진을 장착한 제트기로 넘어간지 오래라.. 자연스럽게 도태되었다]


[북한공군이 운용하던 LA-7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