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자료]]새로운 전쟁환경의 새로운 무기시스템 RWS ( Remote weapon system or station)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작성시간11.01.12조회수2,250 목록 댓글 7
안녕하세요~~ 미라지나이트 입니다.
새벽에 어쩐지 공방에 가고 싶더라니 오후부터 서울에도 눈이 엄청나게 오네요... 화요일과 목요일은 첫째넘 수영과 요즘들어 배우기 시작한 스케이트를 가르치러 가까운 고려대 아이스링크에 데려다 주고 데려오는 임무(?) 를 수행중인데 정오부터 내리기 시작한 눈이 강습을 마치고 나니 엄청나게 내리더군요..
내일 고생하게 생겼습니다. 어릴적은 눈내리는게 그렇게 좋더니 어른되니 눈내리면 당장 내일 일을 어찌하나 걱정이 앞서는게 이래서 나이들면 순수함이 사라진다는 말이 도나 봅니다.
각설하고 오전에 AFVCLUB 의 #AF 35S58번 'Stryker Upgrade Equipment for Stryker Series' 를 올리고 나니 이넘도 생각나네요..
바로 재작년 2009년에 출시된 AF 35157 번 'M151 Remote Weapons Station' 입니다.
우선 RWS 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도록 하죠!!!
******************************************************************************************
RWS ( Remote weapon system or station)
원격조작무장시스템 혹은 스테이션 - A remote weapon system or station, (RWS)는 최근 다양한 형식의 차량이나 다른 플랫폼 - 지상이나 해상의 - 에 장착할 수 있는 경량과 중간중량의 구경을 가진 무장을 위한 원격 조작식 무장 탑재대입니다.
[M1126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장착된 M151 Remote Weapons Station 의 모습]
이런 장비들은 최근 들어 많은 현대식 군용차량에 도입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사수가 장갑의 보호하에서 안전하게 무장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기때문입니다. 기존의 차량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점도 장점으로 예를 들어 CROWS 시스템은 미국의 Humvees에 장착되며 네덜란드가 도입한 Bushmaster IMV는 Thales SWARM를 장착합니다.
[RWS 는 ' Remote weapon system or station' 총칭하는 단어로 리모콘 콘트롤을 이용한 화기체계를 의미합니다. 사진은 RWS 중 가장 유명한 노르웨이 'Kongsberg Defence & Aerospace (Kongsberg, Norway and Johnstown, PA, USA)' 가 개발한 Protector M151 RWS 시스템의 모습]
[ 마찬가지로 Kongsberg Defence 사가 개발배치중인 Common Remotely Operated Weapon Station program, (CROWS or CROWS II ) 야간 추적장치와 시커 그리고 다양한 화기를 장착할수 있는 마운트가 장착된 최신형 장비 입니다.]
| |
|
|
[RWS 의 장점은 외부에 병사를 노출하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 장비로 조준 및 발사할수 있어 적의 자격의 위험이 높은 시가전등에서 병사의 생존성을 높일수 있는 장비 입니다.]
[RWS 는 외부의 렌즈를 통해 적을 감시 및 추적 조준할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완벽하게 마운트된 화기는 100% 정확한 조준 사격이 가능합니다. 조준은 외부의 시커를 통해 15~17인치급 화면을 통해 목표물이 보여지며 별도의 조이스틱을 통해 정확한 조준 및 발사가 가능합니다. 이는 마치 게임을 하는 느낌으로 임무를 수행이 가능하며 누가나 쉽고 정확한 조준 사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게임과 같은 느낌으로 지나치게 비인간적이라는 비판도 있습니다.]
각국의 RCWS (Remote Controlled Weapon Station)개발 현황
- 브라질 : REMAX
- 캐나다 : Nanuk Weapon Station, Amarok RCWS, Qimek RCWS
- 독일 : FLW 100/200 , MTS Lance - 대형 모듈식 포탑 시스템 (Modular Turret System)으로 25mm-40mm 기관포를 운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유인조작이나 원격조작형이 가능
[독일의 마이파이사가 개발한 FLW 100/200 , MTS Lance 시스템은 경량의 RWS 시스템으로 대형 모듈식 포탑 시스템 (Modular Turret System)으로 25mm-40mm 기관포를 운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유인조작이나 원격조작형이 가능하며 레오파트II A7 전차를 비롯 새롭게 개발중인 팬듀 장갑차등에 장착될 예정입니다
[독일의 마이파이사가 개발한 FLW 100/200 , MTS Lance 시스템은 다른 RWS 보다 경량이라 다양한 장갑차 부터 전차까지 다양한 플래폼에 장착 운용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진은 독일이 개발중인 차기 장갑차인 팬듀에 장착운용중인 모습]
- 이스라엘 : Typhoon Weapon System, Samson RCWS, Rafael Overhead RCWS, Elbit UT-30 Overhead RCWS
[이스라엘 이 개발중인 Typhoon Weapon System 은 25~30밀리급의 대구경 주포를 장착할수 있는 RWS 로 최근 코르벳급 함선등에 장착 주무장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이탈리아 : Enforcer II RCWS - SELEX Galileo사에서 개발
- 노르웨이 : Protector M151 CROWS II- M151 Protector의 파생형.
- 스웨덴 : Trackfire - Saab사가 개발
- 영국 : SWARM
[영국군의 챌린져II 전차에 장착운용중인 SWARM ] - 미국 : Raven Srws, CROWS, Silent Guardian - 덜 치명적인 RWS로 directed energy사용, Sandia National Laboratories에서 개발
[CROWS 의 모습 M151 RWS 의 개량형으로 야시장비와 조준장비가 개량되었다]
- 우크라이나 : Sturm 30mm RCWS
출처 비겐님블로그펌 http://kr.blog.yahoo.com/shinecommerce/29246
|
시가전을 대비한 차세대 무장시스템 RWS ( Remote weapon system or station)
번역 및 정리 미라지나이트 (미라지의 콤프방www.compmania.co.kr)
1991년 걸프전을 계기로 지상전투는 일대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과거 70~80년대 전투가 주로 평야와 산악지형 같은 야전에서의 전투에 중심을 둔 전략전술이였다면 걸프전을 계기로 도시에서의 시가전이 중요 전투의 화두로 떠오르게 됩니다.
[1991년 벌어진 걸프전과 이어 1992년 치루어진 소말리아의 모가디수 전투 (영화 블랙호크 다운의 배경이 되는 전투) 는 향후 전투는 복잡한 도시에서의 시가전에 주가 될것이라는 예상을 하기에 충분했다. 사진은 모가디슈전투에서 건물을 엄페삼아 작전 수행중인 미국 레인져 부대원들]
특히 여기에는 2001년 9월 11일 벌어진 9.11 테러사건으로 인한 미국주도의 '테러와의 전쟁' 으로 인한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세력 그리고 2003년 이라크 침공으로 시가전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게 됩니다.
[이라크에서의 실제 저격수에 의한 저격모습 방탄유리가 없었다면 이 화면을 촬영중인 병사중 한명은 저세상으로 갔을것이다.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전은 시가전과 더불어 저격수에 대한 방어책이 절실하게 필요한 전투였다]
[바그다드 시내에는 방심하면 어디던 총탄이 날아왔다. 이 동영상은 저격을 받은 미군 병사를 촬영한 실제 동영상으로 험비에서 잠시 내려 경계를 서는 순간 적에게 저격을 받고 쓰러진 병사를 촬영한 귀중한 동영상중 하나이다. 다행히 이 병사는 방탄조끼를 착용한 상태라 치명상은 피할수 있었다 뒷 부분에 인터뷰 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이처럼 이라크를 비롯 현대전은 과거의 전투방식을 송두리째 바꾸어넣는 전투 기술을 필요로 했다]]
현대 시가전은 과거의 평야나 산지전투와는 개념자체가 틀렸습니다.
기존의 전술과 전략은 거의 필요가 없었으며 적과 아군이 구분되지 않는 가운데 어디서 날아올지 모를 저격수의 총탄에 미군은 많은 피해를 입게 됩니다.
[미군 저격수에서 사살된 이라크의 저격수의 모습... 2003년 벌어진 이라크전과 그전에 벌어진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과의 전투를 예상대로 치열한 자격수들간의 싸움이였다. 미군은 이에 대한 대치책이 절실하게 필요했다]
특히 전차병 이나 장갑차의 승무원들의 피해는 막심했는데 이는 은페할 공간이 많은 시가전에서는 필연적으로 겪을수 밖에 없는 전투의 문제점중 하나였습니다.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전의 교훈은 시가전에 대비한 지정사수 (특별한 저격훈련을 받지 않고도 사격실력이 좋은 병사를 뽑아 속성으로 교육후 전용 화기와 함께 투입 이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고급 저격수를 대신해 그런대로 적의 저격수를 방어할수 있는 좋응 방법이 되었다) 와 저격기술의 발전이 더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점이였다. 적의 저격수를 찾아 경계임무인 미육군 소속의 저격수들]
그리하여 미군은 시가전에 대비한 새로운 무기 시스템을 개발하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RWS ( Remote weapon system or station) 라 불리는 새로운 개념의 무기 시스템이였습니다.
[아울러 적의 저격에 막심한 피해를 입었던 장갑차와 전차승무원들을 위한 무인방어무기가 개발되어 장착되기에 이른다]
RWS ( Remote weapon system or station) 는 단어 뜻대로 유선 리모트컨트롤 장비로 움직이는 무기시스템으로 여기에는 정밀한 조준 및 추적이 가능한 광학장비와 다양한 무장을 장착할수 있는 무장베이 그리고 이를 전차나 장갑차의 내부에서 정교하게 조종할수 있는 컨트롤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진 장비 입니다
[그것이 바로 RWS ( Remote weapon system or station) 이라 불리는 유선콘트롤방어시스템 이였다. 그림은 노르웨이의 'Kongsberg Defence & Aerospace 사가 (Kongsberg, Norway and Johnstown, PA, USA)' 개발한 ' Protector M151 RWS' 의 모습으로 이는 미육군에 최초로 납품된 RWS 장비중 하나이다]
미군은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전에서의 막심한 병력피해를 대비하여 노르웨이의 'Kongsberg Defence & Aerospace 사가 (Kongsberg, Norway and Johnstown, PA, USA)' 개발한 ' Protector M151 RWS' 을 도입하여 새롭게 편재된 스트라이크 여단에 우선 보급하게 됩니다.
[노르웨이의 'Kongsberg Defence & Aerospace 사가 (Kongsberg, Norway and Johnstown, PA, USA)' 개발한 ' Protector M151 RWS' 시스템은 911 테러이후 벌어진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에서 적의 저격에 대비한 방어무기로 미육군이 우선 채용되게 됩니다.]
|
[ Kongsberg Defence 사가 개발배치중인 Protector M151 RWS 의 경우 12.7미리 M2HB 중기관총을 비롯하여 MK19 40mm 고속유탄발사기 그리고 M240G 등을 다양한 무장을 장착할수 있습니다.]
최신의 8X8 방식의 장륜식 장갑차인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장착된 ' Protector M151 RWS' 들은 탁월한 성능으로 실전에서 많은 성과를 이루게 됩니다.
[이라크전에 우선 투입된 스트라이커 여단의 기본장비인 M1126 ICV 스트라이커 장갑차에는 M151 RWS 가 기본 무장으로 장착되어 이라크에 파견되었으며 기대이상의 성능과 성과를 보여주었다]
[RWS 의 가장 우수한 점은 안전한 실내에서 원격으로 적을 탐색 추적 및 공격할수 있다는 점으로 이는 적의 저격으로 부터 장갑차량의 승무원을 안전하게 보호시켜 주었다]
[M151 RWS 의 조종은 실내에서 15~17인치 급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시커를 통해 게임을 하듯 조이스틱으로 조준하며 발사 역시 조이스틱의 버튼을 이용 발사할수 있다. 발사모드는 단발 및 연발 그리고 점사등 다양한 모드로 발사가 가능하여 단단하게 거치된 거치대에 의해 정확한 조준 사격이 가능했다]
이어 이를 개량한 ' CROWS' 혹은 'CROWS II (Common Remotely Operated Weapon Station program)' 가 개발되게 되는데 이는 ' Protector M151 RWS' 에 야간전투가 가능한 적외선추적장치와 시커 그리고 M2HB 12.7 mm 중기관총 부터 MK19 40mm 고속유탄발사기 그리고 M240G 7.62 밀리 중기관총등 다양한 화기를 장착할수 있는 마운트가 장착된 최신형 장비로 발전되기에 이릅니다.
[Protector M151 RWS 의 성능에 만족한 미육군은 이어 야간탐지 능력과 조준및 탐색능력을 개량한 ' CROWS' 혹은 'CROWS II (Common Remotely Operated Weapon Station program)을 개발 배치하게 됩니다.]
[' CROWS' 혹은 'CROWS II (Common Remotely Operated Weapon Station program) 의 경우 기존의 M2 12.7 밀리 중기관총이나 MK19 40 밀리 고속유탄발시기 위주의 무장에서 벗어나 M240G 7.62 밀리 경기관총등을 탑재함으로서 헙비같은 작은 차량에도 RWS를 장착 운용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증가된 시커에 의해 낮뿐 아니라 야간에도 적을 탐색및 추적할수 있는 능력이 증대되었습니다.]
['CROWS II (Common Remotely Operated Weapon Station program) 를 장비한 험비의 모습 험비는 1992년 소말리아의 모가디수 전투에 외부에 노출된 중기관총 사수의 피해가 막심했는 이 신형 RWS 의 장착 운영으로 내부에서 안전하게 적의 공격에 대비할수 있게 되었다]
RWS 는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높은 효과에 현재 미국을 비롯 독일 , 영국 , 이스라엘 등 많은 나라들이 비슷한 장비를 개발하려 애쓰고 있습니다.
이중 당연 앞서가는 나라는 미육군이 채용한 'Protector M151' 와 'CROWS II' 를 제작하고 있는 'Kongsberg Defence & Aerospace (Kongsberg, Norway and Johnstown, PA, USA)' 입니다.
[ 'Kongsberg Defence & Aerospace (Kongsberg, Norway and Johnstown, PA, USA) 사의 'Protector M151' 와 'CROWS II' 는 현재 개발되어 있는 RWS중 가장 신뢰성과 성능이 우수한 장비중 하나이다]
그외 이스라엘은 구경이 큰 20~30밀리 급의 기관포를 장착하는 Typhoon Weapon System과 전차나 장갑차에 장착하기 위한 Samson RCWS, Rafael Overhead RCWS, Elbit UT-30 Overhead RCWS 등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현재 미국 다음으로 RWS 에 대해 많은 기술과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개발중인 나라중 하나이다. 사진은 Samson RCWS 의 모습]
[Rafael Overhead RCWS 은 장갑차등의 무인포탑용도로 개발되어지고 있는 장비로 20~40밀리 급의 대구경의 기관포를 장착하는 RWS 중 하나이다. 위 사진은 BMP-2 에 장착된 Rafael Overhead RCWS 모습이다]
[Elbit UT-30 Overhead RCWS 은 전차의 대인무기등으로 개발된 것으로 이스라엘은 메르카바 1 부터 RWS 에 대한 관심이 많아 당시에는 철사로 방아쇠를 작동시키는 원시적인 RWS 를 개발 장착하기도 하였다. 사진은 최신 MERKAVA MK IV LIC 에 장착운용중인 Elbit UT-30 Overhead RCWS 의 모습]
이중 독일의 마파이사는 'FLW 100/200 , MTS Lance' 라 불리는 새로운 개념의 RWS 를 개발완료하여 배치중에 있는데 이는 미육군이 채용한 'CROWS II' 와 비슷한 개념의 RWS 로 레오파트 II A5/A6 를 비롯 신형 장갑차인 팬듀 장갑차와 독일판 험비로 불리는 딩고 (DINGO) 등에 장착되어 운용중에 있습니다.
[독일의 마이파이사가 개발한 FLW 100/200 , MTS Lance 시스템은 경량의 RWS 시스템으로 대형 모듈식 포탑 시스템 (Modular Turret System)으로 25mm-40mm 기관포를 운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유인조작이나 원격조작형이 가능하며 레오파트II A7 전차를 비롯 새롭게 개발중인 팬듀 장갑차등에 장착될 예정입니다.]
[독일의 마이파이사가 개발한 FLW 100/200 , MTS Lance 시스템은 다른 RWS 보다 경량이라 다양한 장갑차 부터 전차까지 다양한 플래폼에 장착 운용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진은 독일이 개발중인 차기 전차인 LEOPARDII A7 에 장착운용중인 모습]
RWS 의 단점과 미래
위 설명에서도 언급했듯 RWS 는 현대 전투에 있어 필수라고 할 수 있는 시가전을 대비한 장비로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전은 RWS 의 유용성과 효과를 제대로 보여준 전쟁이라 하겠습니다.
[RWS 의 12/7 밀리 부터 40밀리 고속유탄에 달하는 엄청난 공격력은 보이지 않는 적을 처리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전에서 잘 보여주었다 사진은 40밀리 유탄을 발사하는 M151 RWS의 모습]
그로인해 현재 많은 국가에서 RWS를 개발 전차와 장갑차 그리고 험비 같은 차량에 장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운용중이며 우리나라 역시 한국형 RWS 를 개발중에 있습니다.
한편 RWS 의 단점도 적지않게 존재하는데 일단 가격이 비싸다는 점 입니다.
또한 시커에 해당되는 렌즈부분이 오픈되어 있어 저격이나 적의 포격의 파편에 의해 렌즈가 파손될 경우 그 역할을 제대로 하기 힘들다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바로 이를 운용하는 병사들의 심적부담과 생명존중에 대한 부재의 문제점으로 마치 게임을 하듯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적을 조이스틱으로 찾아 사살하는 것은 인간으로 가져야하는 생명존중의 가치와 최소한의 양심마저 사라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한편 조이스틱으로 게임하듯 적을 찾아 사살하는것은 반인류적인 행위하는 비판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RWS 를 운용하는 병사들은 하나의 게임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어찌되었던 현재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비용증가등의 문제점이 있긴 하지만 전쟁 반대여론에 의한 병력손실을 최대한으로 줄여야 하는 미군의 입장에서 RWS 의 배치는 날로 증가될 예정에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육상용 무기로서뿐 아니라 작은 보트에도 장착하여 해상감시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라크에 투입된 M1A1과 M1A2 Abrams MBT는 시가전 특유의 근접전투와 RPG를 이용한 게릴라성 공격에 따른 여러가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TUSK (Tank Urban Suvival Kit : 시가전용 생존키트)를 추가장착하기로 합니다. 여기에도 M151 RWS 의 장착이 우선 고려되었을 정도로 M151 RWS의 성능을 우수했습니다. 결국 비용문제로 장착되지는 못합니다.]
[RWS 는 또한 함선의 장비로도 활용되고 있는데 CIWS 와 비슷하게 무인으로 작동되는 근거리 함포로 개발되고 있다. 사진은 MK38 25mm RWS의 모습]
우리 역시 현재 삼성테크윈 등을 통해 일부 공개된 한국형 RWS 등이 선보이고 있고 실제로 이를 장착한 한국형 군사용 로봇 ‘견마로봇’ 등에 5.56 밀리급의 K-2 급의 소총을 장착한 RWS 장비가 장착 운용되고 있습니다.
[삼성테크윈을 통해 선보인 차기 장륜식 장갑차량 모크업에는 한국형 RWS의 모델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전자제품 기술력이 앞선 한국에 있어 RWS 의 개발은 그리 어려운 기술이 아니다]
추후에는 2012년부터 양산 배치될 예정인 한국군 차기 주력전차인 K-2 흑표에도 이와 비슷한 RWS장비가 장착운용될 것이라고 하니 기대가 큽니다.
참고싸이트 및 실기체 자료출처
미라지의 콤프방 (www.compmania.co.kr)
아카데미 홈페이지 (http://www.academy.co.kr)
트럼페터 홈페이지 (http://www.trumpeter-china.com/)
유용원의 군사세계(http://bemil.chosun.com/)
비겐님의 블로그
(http://kr.blog.yahoo.com/shinecommerce/2227.html?p=1&t=3)
위키백과사전 영문판 (http://en.wikipedia.org/wiki/M151_Protector )
http://www.kongsberg.com/en/KDS.aspx
http://www.army-technology.com/projects/abrams/
http://www.fprado.com/armorsite/abrams.htm
http://www.inetres.com/gp/military/cv/tank/M1.html
http://www.defense-update.com/products/m/M1A2SEP.htm
http://www.defenseindustrydaily.com/digital-abrams-the-m1a2-sep-program-updated-02834/
출처 http://kr.blog.yahoo.com/sturmgechutz/540.html?p=2&pm=l&tc=40&tt=1289114502
http://www.onwar.com/tanks/ussr/fkv1m39.htm
http://www.armchairgeneral.com/rkkaww2/galleries/KV/KV_2M40_bp.htm
내쇼날지오그래픽스 특집 다큐멘터리 메가팩토리 ‘에이브람스’편
http://beute.narod.ru/Beutepanzer
http://www.1999.co.jp/eng/10071049
참고서적
세계의 전차 (주식회사 군사정보 2000.9.1)
98 전차연감 (주식회사 군사정보 1998.5.1)
세계의 전차 1946~2000 (주식회사 군사정보 2000.9.1 )
취미가 17호 (1993년 1월호)
M1A1 에이브람스 주력전차 (주식회사 군사정보 1999.8.30 )
컴뱃암스 24호 (1998.9월 주 군사정보)
ㅇ 한상철, 한기상, CD 롬 : 세계 각국 전차 소개, 현대정공 기술연구소, 1999
ㅇ 유승식, 21세기의 주력병기, (주)군사정보, 1998, pp206~207
* Wrighten By Mirageknight (2011.1.12 ver 1.0) *
(본 게시물의 권리는 미라지콤프(www.compmania.co.kr) 에 있습니다.)
본 게시물의 상업적 이용과 무단게재를 엄격히 금합니다. 게재를 원할시는
King331@hanmail.net 으로 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단 개인적 사용하시는건 마음껏 퍼가
셔도 됩니다. 다만 출처는 꼭 밝혀주시길… 틀린내용이나 수정부분의 대한 지적은 언제
나 환영 합니다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hullangy [정헌용] 작성시간 11.01.12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더불어 우리나라도 많은 준비를 하고 있고 기술력도 뒤지지 않는거 같아 뿌듯합니다~~
-
작성자박승욱 작성시간 11.01.12 게임하듯 죽인다고 비난을 받는게 귀중한 자국군의 생명을 쉽게 버리는 것 보단 좋습니다.
참수리 357의 M60 위치에 저게 있었다면 한 사람은 더 살아남았겠지요. -
작성자타쿠미 [문병국] 작성시간 11.01.12 이걸볼때마다 큰렌즈에 총알맞으면 이무기는 말짱꽝대버리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이렇게 많은 종류가 있는지 미라지님덕분에 알게되네요^^
-
작성자정제도 작성시간 11.01.13 오~~이런 별매품이 있었군요... 멋진 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레이(정호경) 작성시간 11.01.14 모던워페어2에서 줄창 지원으로 쏴주던게 바로 이 거였군요... 우리나라 군에 정말 필요한 무기체제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