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자료]]스웨덴 항공기술의 자존심! 사브 JAS-39 그리펜 ( Saab JAS 39 Gripen (griffin) ) 전투기 PT1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작성시간13.07.26조회수2,131 목록 댓글 1안녕하세요~~ 미라지나이트 입니다.
거의 20여일간 지겹게도 내리던 장마도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섰고 너무나 반가운 하지만 너무 뜨거운 여름햇볕이 짱짱한 7월의 마지막주 입니다. 좀 덥긴해도 햇볕이 드는게 이렇게 고마운지 새삼스럽게 다시 느끼네요..
반가운 햇볕을 보니 요새 손놓고 있던 설정자료 몇개를 정리해 올려보고 싶어지네요.. 오늘 키티호크사에서 1/48 Saab JAS 39 Gripen 제품이 출시된다는 소식을 들고 보니 전부터 준비해왔던 이 전투기를 언급하지 않을수 없네요.,.
[중국의 신예 모형메이커인 키티호크사에서 1/48 JAS-39 A/C 그리핀이 출시된다고 합니다. 가격은 65,000원!!]
바로 중소강국으로 알려진 에릭슨과 사브사의 고향인 스웨덴 항공기술의 자존심 사브 그리픈전투기 입니다.( Saab JAS 39 Gripen ) 입니다.
Saab JAS-39 Gripen
개발배경
ㅇ JAS-39는 현재 스웨덴 공군이 주력기로 사용 중인 JAS-37 Viggen의 후속기로 개발 중인 다목적 전술기로서 1982년 6월 Saab사를 포함한 5개사에서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ㅇ JAS-39의 JAS는 스웨덴어의 전투(Jakt)/공격(Attack)/정찰(Spaning)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독자개발의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다용도기를 목표로 한 것이다.
ㅇ 스웨덴은 2차대전 당시 수입에 의존하던 군용기가 종전 후 수출규격에 부딪히게 됨에 따라 항공산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유럽의 독특한 지세와 기상조건, 그리고 중립국가라는 상황에 적합한 항공기를 독자개발한다는 국가정책 아래 Saab-Scania 회사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전투기 를 비롯한 많은 군용기를 생산해 왔다.
ㅇ 성 능
ㅇ 제 원
| ||||||||||||||||||
|
주요특성 및 성능개량
ㅇ JAS-39 조종석에는 다목적 임무에 맞는 레이더나 적외선 전방탐지 장비(FLIR)에서 보내 주는 정보를 표시해 주는 전방시현 장비(HUD)가 장치되며, 조종시스템은 디지털식 3중 FBW (Fly-by-Wire)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ㅇ JAS-39는 일반 항공기와는 달리 델타형의 귀날개가 조종석 좌우 측면에 있고 동체 중간부에 45도 의 후퇴각을 갖는 주날개가 있어 귀날개와 주날개가 합쳐져 전체적으로 Delta형 날개로 되어 있다.
ㅇ Grippen의 RM 12 엔진은 G.E(General Electric)사의 F404 엔진을 Volvo Flygmotor사에서 생산 하는 면허생산형으로서 팬의 공기유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성능개량을 통해 추력을 증가시켰다.
ㅇ 무장은 고정탑재되는 '마우샤(mauser) BK 27' 27mm 기관포 2문과 날개 끝에 단거리 적외선 유도 미사일 2기를 장착하며, 주익 하면의 4개 무장장착대에는 작전임무에 따라 유도미사일,폭탄 또는 정찰 및 ECM 포드를 장착한다.
ㅇ 성능개량 및 변종
- JAS-39A : 기본형으로 단좌임
- JAS-39B : 복좌항공기(Gripen SK)로 동체와 캐노피가 확장되어 전술훈련 및 전투능력이 향상 되었고 전방석의 전자장비가 향상되었다.
- JAS-39C/D : A/B타입을 스웨덴 목적에 따라 개량하였음
- JAS-39X : C/D타입을 수출형으로 개조한 형임
운용국가
JAS-39 Grippen은 현재 2002년까지 약 140대를 생산하여 8개 비행대를 구성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부터 Saab사의 전투기를 구매해 온 자연조건이 스웨덴과 비슷한 덴마크, 핀란드 등 여러 국가에 수출할 예정인데, 예상대수는 250여대 이다.
※ 참고자료
ㅇ 항공우주무기총람, 공본, 1999.4.
ㅇ JAS-39 카다로그, Saab사
출처 대한민국 공군 (http://www.airforce.mil.kr:7778/PF/PFF/PFFAA2900.html)
JAS-39
최종 확인 버전:
분류: 단발 터보팬 다목적 전투기 제작국가: 스웨덴 제작연도: 1994년 제원: 승무원 1명(JAS 39A)/2명(JAS 39B), 길이 14.1m(단좌기)/14.8m(복좌기), 높이 4.5m, 운용가능 자체중량 7.4톤(단좌기)/7.7톤(복좌기), 최대이륙중량 14톤, 최고속도 마하 2, 이륙활주거리 400m, 착륙활주거리 500m 무장: 마우저 NK-27 27mm 기관포 1문, Rb74 사인드와인더/IRIS-T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Rb71 스카이플래시/AIM-120 암람/MICA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미티어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상 공대공 무장), RBS51F 공대지 미사일, AGM-64 매버릭 중거리 공대지 미사일, KEPD 350 등 각종 레이저 유도폭탄 및 일반폭탄(공대지 무장) |
1 개요
2 판매 실적 및 진행 내용
3 기타
- 항전갤에서는 작은 사이즈와 터무니없는 무장능력 덕분에 로리거유, 그리고 애칭으로 로리펜이라 불린다. 그리고 혹자는 NATO 표준 화기를 못 쓴다고 하지만 사실 명칭이 그래서 그렇지 척보면 NATO 표준 항공무장도 탑재할 수 있으며 하푼보다 약간 더 무거우며 부피도 약간 크나 사거리는 비슷한 RBS-15를 처음부터 탑재하고 있으니 무장 호환이 어쩌고는 무시해도 좋을 것이다. 검색창에 로리펜을 입력하면 이곳으로 리다이렉트 된다(...).
-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미국은 노르웨이에 F-35를 팔기 위해 AESA의 판매를 늦추고 노르웨이 정계에 압박을 가해서 이겼다고 한다.
- 여담이지만 이 전투기와 관련된 안좋은 경험을 가진 파일럿이 존재한다.
[2] 이건 스웨덴 공군만의 특징이다. 애초부터 주변에 전쟁날만한 국가라고는 소련뿐이었는데. 소련 공군을 상대로 하려면 소수의 공군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내야 했기 때문에 이런 독특한 전술을 선택한것. 이 데이터링크를 이용한 교전은 J-37때부터 있었다고...비슷한 예로 사브의 전투기(=스웨덴 공군)들이 단거리 이착륙에 집착하는 이유도 소련(현재는 러시아)때문.
[3] 이 E/F형이 아래 NG형의 양산형이다.
[4] 어느정도냐 하면 24시간 초계가 거의 불가능할 지경이다. 게다가 공대공 무장은 소프트웨어상의 문제로 ASRAAM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1발밖에 달지 못한다고 한다.
[5] 그리펜보다 더 대형인 라팔M(프랑스 해군용)도 주익을 접지 않는다.
[6] 위의 오스트리아와 대비되는데 오스트리아나 스위스나 작은 내륙국인지라 오스트리아는 유로파이터를 도입하면서 수량도 제한(그래서 24시간 초계가 안된다고 설명된 것이다. 교대로 임무를 수행할 기체 숫자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에...)되고 예산문제로 성능도 제한되는 것은 물론 비행중 최고속도를 내기 어렵다고 한다. 왜냐면 자칫하면 이웃국가의 영공을 침범할수 있기 때문... 그래서 그리펜을 선택하지 않고 유로파이터를 선택한데 대해 까이고 있는 것이다.
출처 http://mirror.enha.kr/wiki/JAS39
PT2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