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자료]]시대를 너무 앞서간 비운의 전투기 Northrop–McDonnell Douglas YF-23 블랙위도우 II (Black Widow II) PT1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작성시간13.12.25조회수3,725 목록 댓글 0안녕하세요~~ 미라지나이트 입니다.
오늘이 성탄절이네요... 즐거운 성탄절 되시길 바랍니다~~
크리스마스 아침 오늘도 리뷰 하나 시작합니다.. 내일 모레면 하비보스사 신제품이 입고예정인데요.. 이중 가장 기대되는 제품중 하나인 81722번 USAF YF-23 을 살펴보죠..
그전에 실기체 자료부터 정리해봤습니다.
Northrop YF-23 "Black Widow II"
1 현실의 시험 전투기 YF-23 블랙 위도우
Northrop YF-23 Black Widow II |
|
Specifications (YF-23)Data from Pace,[41] Sweetman,[42] Winchester,[11] National Museum of the U.S. Air Force[1]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Armament None as tested but provisions made for:[11]
|
미국 공군이 F-15의 후속기를 선정하기 위해 시작한 ATF (Advanced Tactical Figther 고등 전술전투기) 사업에 노스롭 / 맥도넬 더글라스 컨소시엄이 제출한 시작용 전투기. 형식번호는 시작기를 뜻하는 YF를 달고 있다. 주요한 특징은 수평꼬리날개가 없이, 기울어진 수직꼬리날개가 수평꼬리날개를 겸한다는 점이다.
[YF-23 은 미국 공군이 F-15의 후속기를 선정하기 위해 시작한 ATF (Advanced Tactical Figther 고등 전술전투기) 사업에 노스롭 / 맥도넬 더글라스 컨소시엄이 제출한 시작용 전투기. 형식번호는 시작기를 뜻하는 YF를 달고 있다. 주요한 특징은 수평꼬리날개가 없이, 기울어진 수직꼬리날개가 수평꼬리날개를 겸한다는 점이다. 닉네임은 검은색의 실험기(PAV-1)가 검은과부거미(Black Widow II)[1] 회색의 실험기(PAV-2)가 회색 유령(Gray Ghost) 이다]
[당시 미 군부는 소련 공군의 최신예 전투기였던 Su-27과 MiG-29를 근접전에서건, 원거리 교전에서건 완벽하게 제압할 수 있는 전투기를 원했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근접전 성능이 더 우수한 YF-22가 선정, 현재의 F-22 랩터가 채택되었다. YF-23 은YF-22와 비교하면 고속성능과 스텔스성에서 뛰어났으나 기동성, 가격면에서 열세였다]
[YF-23은 스텔스성(주로 적외선에 대한 스텔성)을 중시하여 엔진 노즐이 동체 위쪽에 있는 구조이다보니, 추력 편향 노즐을 달 수 없는 구조였고(추력 편향 노즐은 YF-22에도 설치되어 있지 않고 개념만 있다가 선정후 개량과정에서 설치되었다.) 그래서 실제 양산된다고 하더라도 YF-22에 비하면 기동성(특히 저속 기동성)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YF-23의 주요 탈락 원인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
[특히 YF-23은 기체 크기는 YF-22보다 크지만 항력이 적은 형상덕에 동일한 엔진을 사용해도 최대속도는 더 빨랐으며 고속에서의 가속성능 및 기동성 역시 YF-23가 좀더 앞섰다. ]
[YF-23 은 전투기로는 이외로 파격적인 디자인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스텔스 설계와 동시에 전투기로서 뛰어난 기동성을 동시에 취하기 위한 설계였다. 특히 레이더에 잘 걸리는 수직미익을 없애버린 파격이 인상적이다]
[무장 탑재능력 자체는 YF-23과 YF-22 모두 단거리 미사일 2발, 중거리 미사일 4발(AIM-120A형 기준) 내부 탑재로 동일했다. 단 동체 중앙부근에 중거리 미사일용 내부 무장고를 마련한 YF-22와 달리 YF-23은 동체와 노즈 사이 중거리 미사일용 공간을 사용했다. 다만 실제 제작된 YF-23에는 무장고는 없었으며, 설계 데이터만 제출되었고 양산된다면 실제로 만들 예정이었다. YF-22가 무장고에 AIM-120A 공대공 미사일을 나란히 4개를 다는 것과는 달리 YF-23은 미사일을 위아래로 2개씩 총 2개를 쌓는 구조였다. 즉 무장고가 YF-22에 비하여 좌우로 폭이 좁고 위아래로 공간이 많은 셈인데, 이는 대형무장을 탑재하기 좋은 장점도 있는 반면, 밑에 달린 미사일이 무언가 이상이 생겨서 발사되지 않으면 위쪽에 탑재된 미사일까지 발사 못하는 막장스런 상황이 연출될 위험도 있었다]
[YF-23 은 같이 경쟁하던 록히트마틴사의 YF-22 에 패하게 되는데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큰 단점은 가격이 경쟁기체인 YF-22 에 비해 너무 비쌌다고 한다. 그리고 부수적으로 너무 파격적인 기체 디자인도 보수적인 공군 장군들에게 반감도 있었다고 한다]
[센서와 엔진은 처음부터 경쟁을 통해 한두 종류만 개발해 YF-22와 YF-23 둘중 승자 쪽에 탑재할 예정이었다. 이에 따라 레이더는 애초에 대안없이 AN/APG-77 한 종류만 개발되었으며, F119와 F120 엔진은 YF-22와 YF-23이 모두 시험했다. 즉 센서와 엔진에서는 YF-22건 YF-23이건 둘 사이의 차이가 전혀 없었던 셈이다. ]
[YF-23 의 조종석.. 커다란 LCD 화면이 3개가 있는 글라스 콕픽 개념을 도입한 조종석으로 쾌적하면서도 직관적인 형태로 설계되었다.]
[미공군의 차기 전투기로는 결국 록히트마틴사의 YF-22 (훗날 F-22A 랩터가 되는기체) 로 낙찰되는데 지금의 F-22가 채택된 것은 미군의 전술방향의 차이때문이지 어느 기종이 우월한지의 문제만은 아니라고 봐야할 것이다. 가장 결정적인 것은 여러 혁신적인 신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넙치같이 생긴 외모와 더 비싼 가격, 그리고 노스롭 그루먼의 상습적인 납기지연이었다.[3] 더구나 보다 보수적으로 접근한 장성들의 눈으로 봤을 때 덜 못생긴 YF-22로도 요구한 성능은 맞출 수 있었고 그 차이가 나는 것도 방향성의 차이 정도인지라, YF-22가 이기는 건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YF-23 은 이후 나사에서 여러가지 실험기체로 사용되다 이후 방치되다싶이 하였는데...]
[ 현재는 각기 국립 미 공군 박물관과 서부 항공 박물관(Western Museum of Flight)에서 전시물로 근무중이다. ]
그리고 여기에는 더욱 안습한 뒷이야기가 있는데, 사실 YF-23와 F-22의 개발 당시에는 미 해군을 위해서 두 기종의 함재기 사양인 YF-23N과 F-22N의 개발도 함께 진행되고 있었고, 미 공군의 ATF 사업에서 F-22가 승리하여 미 공군의 차기 주력기로 선정되면서 당연하게도(...) YF-23의 함재기 사양인 YF-23N 역시 F-22의 함재기 사양인 F-22N에게 밀려나 개발 취소라는 씁쓸한 운명을 맞았다고 한다. 문제는 그 F-22N도 예산감축 문제로 역시 개발이 취소되어 사라지는 운명을 맞이했다는 것이지만(...). 여하튼 그 이후 미 해군은 YF-23N과 F-22N을 모두 포기하고 F/A-18E/F 슈퍼 호넷의 대량 도입과 F-35C의 개발로 선회하게 되었다. 일찍부터 포기해버린 YF-23N은 그렇다 쳐도, 기껏 차기 주력기로 점찍었던 F-22N까지도 결국 같이 포기해야 했다는 사실이 미 해군 입장에서는 꽤나 눈물이 났을 것 같다(...).
[
[YF-23 은 러시아가 개발중인 차기 스텔스 전투기 PAK-FA (위) 와 중국이 개발중인 스텔스기 J-20 의 설계에 영향을 끼친것으로 의심(?)받고 있는데 그 수준이 참고가 아닌 개발정보를 훔친것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다]
1.1 YF-23이 나온 게임
- 소닉윙즈2(국내명: 에어로 파이터즈 2)- Whity라는 돌고래가 타고 다닌다.(...)
- 스트라이커즈 1999 - 자코로 등장.
- 스카이 타겟 - 역시 자코로 등장한다. 특이한 건 스텔스 컨셉 기종인데 구식 기종들에게 록온까지 당한다. 그야말로 안습.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전국 에이스 - 특수한(?) 개인 켄노마루가 타고 다닌다.
- H.A.W.X. 시리즈
- 액트 오브 워 - 컨소시움 측에서 끌고다닌다. 흠좀무
- Strike Commander - YF-22와 YF-23의 드림매치가 벌어진다.
어째서 이런 기밀스러운 물건들이 2015년에 터키에 와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1994년 출시작이므로 현재 게임들과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스토리라인을 가진 비행 시뮬레이션이라는 재미있는 장르를 개척했던 작품이다.
1.2 기타 매체 ¶
- 전설의 용자 다간 - 18화에서 YF-23으로 보이는 기체가 GDO(지구방위기구군)의 최신형 기체로 등장, 장갑수 마르가리테와 안네트에게 빵빵 터진다.(…) 이후에도 몇번 등장한다. 물론 빵빵 터지는 역할이다.(...)
- 마크로스 시리즈 - 마크로스 플러스의 YF-21은 YF-23을 본딴 것이다. 그나마 YF-21은 특수목적기로 채용되기라도 했지만 현실은 시궁창.
- 마브러브 시리즈 - 전술기 YF-23은 마브러브 시리즈에서도 F-22 랩터에게 패해서 미군 차기 주력기 경쟁에서 밀려난 것으로 되어있다. 총 2기가 롤아웃되었으며, 1호기는 스파이더, 2호기는 그레이 고스트라는 코드네임으로 백팩의 형상이 다르다고 한다. 미군용 전술기로는 드물게 근접전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올라운드형 무장[10]을 갖추고 있어서 타국의 전술기와도 근접전에서 밀리지 않을 것이라 추측되지만 F-22에게 밀렸다. 덤으로 수출제한까지 걸려있어서 기술 수출이나 타국 전술기 사업에도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 안습 그런데다가 현실과 마찬가지로 이쪽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고철소리를 들으면서 격납고에 방치중이라는 설정이라서 더 안습이다. 사실 모의전 등 종합능력에서는 YF-22보다 앞섰지만 미국의 군사 독트린이 하이브에 대한 G탄 사용후 잔적 소탕인데 이에는 F-22의 'First look, First shot, First kill'이 더 맞았다고 한다. YF-23은 근접전 능력에서 보여지듯 하이브 돌입쪽에 맞춰져 있다.
- 건쉽 - 국내에서 완결난 단편 전투기 만화로 여기서는 러시아가 YF-23을 통째로 들여와가지고는 최신 전투기로 개량해 참전하는 내용이 나온다. 한마디로 이때의 밀덕들도 미국에서 버림받은 YF-23의 기술이 다른 나라에서 유출될지도 모른다는 말을 반 농담삼아 해왔는데 PAK-FA, J-20 등을 통해 그 우려가 현실이 된 것이다.
역시 현실은 판타지를 능가한다참고로 도그파이트에 불리한 디자인이라는 YF-23 본래의 특징이 무색하게 이 전투기는 코브라 기동까지 선보이며 주인공 일행을 농락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 [1] 2차대전중 활약한 노스롭의 야간전투기 P-61 블랙위도우로부터 따왔다. P-61 또한 낮은 신뢰성때문에 예전의 보잉사인 노스 아메리칸의 F-82 트윈 머스탱에게 밀려 이른 퇴역을 당한 것을 생각한다면 패배가 예정된 이름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 [2] 물론 노스롭/그루먼도 YF-23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기존 전투기와 공통되는 부품을 많이 썼다. 이를테면 랜딩기어는 F-15의 것을 사용하는 등의 시도를 했지만 결국 전반적인 가격은 YF-22보다 비싸졌다. 그리고 애초에 스텔스성이 뒤진다는 평가도 어디까지나 '그래 보인다'는 것이지 RCS값은 공개된 적도 없다. 또한 모든 면에서 RCS값이 동일하지도 않기에 미 공군 측에선 평균 RCS값보다 당시 전술교리에 적합한 방향에서 원하는 RCS값을 나타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3] 이것은 YF-23에 채용한 V-tail의 특성도 한몫 했는데, V-tail 특유의 공력특성에 기인한다. V-테일의 채용으로 RCS 감소에 이득이 있으나, 특유의 공력특성 때문에 선회에 방해가 되고, 만약 채용이 되었더라도 날개 하나에 걸리는 부하가 주익보다 더 크기 때문에(말 그대로 수평, 수직미익의 역할을 동시에 해야 한다.) F-22 랩터보다 더 많은 정비 횟수와 유지비가 들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런 특성과 미 공군 특유의 보수적인 성향도 작용한 면이 있다. 기체 자체만 봐도 배치하더라도 그 뒤가 골아픈 물건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이를 파악한 그루먼사는 마지막에 결국 수평꼬리날개를 추가하는 방안을 미 공군에 제시했으나 이미 미 공군의 의중은 YF-22로 굳어진 상태였다. 이런 수평꼬리날개가 없는 X-32 역시 결국 비슷한 문제로 JSF에서 탈락했다. 또 지나치게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한 나머지 안정성이 떨어져서, 쉽게 말하면 블루 스크린이 자주 떴고 이런저런 문제점들을 수정하느라 미 공군이 정한 제출기간을 못 지킨 점도 감점사유였다.
- [4] 밀덕들과 실제 운용자들의 차이가 많이 드러나는 부분이 이런 곳으로 무기를 직접 굴려볼 일이 별로 없는 밀덕들은 설계사상이나 테크 스펙 등을 주로 보지만, 운용예산을 따오고 가동율을 관리하고 직접 몰아야 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설계상 성능만큼이나 가격, 신뢰성, 정비성, 기존 교리 같은 요소들 역시 중요하게 본다.
- [5] 이유는 20세기 전장과는 달리, 21세기의 전장에는 F-22 수준보다 높은 스텔스성이 필요하며, F-22의 기동성은 사거리밖 교전 양상으로 변한 현대에는 그다지 쓸모없는 기능이라는 것이다. 또한 YF-23의 문제점이었던 비싼 가격과 정비, 유지비 등은 F-22 역시 그대로 가지고 온 문제이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어차피 사는 것 YF-23으로 샀어야 한다, 이런 이야기다.
- [6] 하지만 F-22도 YF-22와는 다르며 상당부분 개량되었으므로 현재의 F-22를 시제기인 YF-22와 같다고 생각하고 YF-23과 단순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 [7] 심지어 여타 시작기들과 달리 NASA의 항력실험기로도 채택되지 못하고 말 그대로 짧고 굵게 끝났다.
- [8] 특히 공대지 무기 계열.
- [9] 초기 시리즈인 에이스 컴뱃 1,2에는 나오지 않았다. 에이스 컴캣 3에서 Su-43 베르쿠트라는 이름으로 첫 참전한후 개근하고있다.
- [10] 미군 전술기중 유일하게 장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마운트할 수 있는 무장이 F-22보다 많다.
출처 엔하키미러 (http://rigvedawiki.net/r1/wiki.php/YF-23#fn5)
PT2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