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퍼온] 게시판

삼원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해설문 보천가(步天歌) - 서방 백호

작성자이호근|작성시간11.01.21|조회수303 목록 댓글 0

◐ 제 3. 서방 백호가 거느리는 칠수(七宿)에 관한 보천가.

 

  

1. 규수(奎宿)의 보천가(步天歌)

 

 

腰細頭尖似破鞋(요세두첨사파혜)

                     -허리부분이 가늘고 머리 부분이 뾰족한 해진 신발모양으로,

一十六紅遶鞋生(일십육홍요혜생)

                    -열여섯 개의 주홍색별이 신발의 형태로 둘러있네.

外屛七烏奎下橫(외병칠오규하횡)

                    -외병(外屛)은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별로 규의 아래 가로 놓였고,

屛下七烏天溷明(병하칠오천혼명)

                    -외병의 아래에는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인 천혼(天溷)

                     이 밝히고 있으며, 

司空左畔土之精(사공좌반토지정)

                    -천혼의 왼쪽 곁에 있는 사공(司空)은 흙의 정기(精氣)라네.

奎上一黑軍南門(규상일흑군남문)

                    -규의 위쪽(북쪽)으로 한 개의 검은색 별이 군남문(軍南門)이고,

河中六赤閣道形(하중육적각도형)

                    -은하수 가운데 있는 여섯 개의 붉은색(赤色)별이 각도(閣道)이며,

附路一赤道傍明(부로일적도방명)

                     -한 개의 붉은색별인 부로(附路)는 각도의 곁에서 밝히고 있네.

 五紅吐花王良星(오홍토화왕랑성)

                     -주홍색의 꽃을 토해 놓은 것 같은 다섯 개 별이 왕랑(王良)이고,

 王良近上一策明(왕랑근상일책명)

                     -왕랑의 바로 위에 있는 한 개의 별이 책(策)이라네.  

 

 

 

2. 루수(婁宿)의 보천가(步天歌)

 

三紅不均近一頭(삼홍불균근일두)

                    -세 개의 주홍색 별로 서로간의 거리가 균일하지 않고,

 左梗右梗烏來婁(좌경우경오래루)

                     -좌경(左梗)과 우경(右梗)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루를

                      양쪽에서 끼고 있다네. 

天倉六赤婁下頭(천창육적루하두)

                    -천창(天倉)의 여섯 개 적색 별은 루의 아랫머리에 놓여 있고,

 天庾三烏倉東脚(천유삼오창동각)

                     -천유(天庾)의 세 개 짙은 검은색 별은 천창 동쪽 다리 쪽이네. 

婁上十一將軍侯(누상십일장군후)

                    -루의 위에는 열한개의 별로 이루어진 천장군(天將軍)이 살피네.

 

 

 

3. 위수(胃宿)의 보천가(步天歌)

 

 

三紅鼎足河之次(삼홍정족하지차)

                    -세 개의 주홍색별이 솥 다리 형상을 하고 은하수의 밑에 있으며,

 天廩胃下斜四星(천름위하사사성)

                     -위의 아래에 네 개의 별이 빗겨져 놓인 것이 천름(天廩)이라네.

 天囷十三如乙形(천균십삼여을형)

                     -천균(天囷)은 열 세 개의 별이 ‘乙(을)’자의 형태로 있고,

 河中入赤名大陵(하중입적명대릉)

                     -은하수의 가운데에 놓여 있는 여덟 개의 붉은색별은 대릉

                      (大陵)이라 한다네.

 陵北九赤天船名(능북구적천선명)

                     -대릉의 북쪽에 아홉 개의 붉은색별을 천선(天船)이라 하고,

 陵中積戶一黑星(능중적호일흑성)

                      -대릉의 가운데 있는 적시(積戶)는 한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며,

 積水船中一黑精(적수선중일흑정)

                     -적수(積水)도 천선의 가운데에 한 개의 검은색(黑色)

                      정화(精華)로 되어 있다네.  

 

 

 

4. 묘수(昴宿)의 보천가(步天歌)

 

 

七紅一聚實不少(칠홍일취실불소)

                    -일곱 주홍색별이 마치 한 별처럼 모여 있으나, 실지로 적지 않고,

阿西月東各一星(아서월동각일성)

                    -천아(天阿)는 묘수의 왼쪽에, 월(月)은 오른쪽에 있는데, 

                     각기 한 개의 별로 되어 있다네.

月下五黃天陰明(월하오황천음명)

                   - 월의 아래에 다섯 개의 누런 색 밝은 별이 천음(天陰)이고, 

陰下六烏蒭藁榮(음하육오추고영)

                    -천음의 아래에 여섯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추고(蒭藁)의 경작지(蒭藁榮)이며,

營南十六天苑形(영남십육천원형)

                    -추고의 남쪽에 열여섯 개의 별이 천원(天苑)의 모습으로 있다네. 

河裏六紅名卷舌(하리육홍명권설)

                    -은하수 안의 여섯 개의 주홍색별을 권설(卷舌)이라 부르고,

舌中一黑天讒星( 설중일흑천참성)

                     -권설의 가운데에 한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 천참(天讒)이며, 

礪石舌傍斜四丁(려석설방사사정)

                   - 려석(礪石)은 권설의 옆에 빗겨서 놓여있는 네 개의 별인데       

                     정(丁)자 형태로 있다네. 

 

 

 

5. 필수(畢宿)의 보천가(步天歌)

 

 

恰似瓜叉入紅(흡사과우입홍출)

                    -여덟 개의 주홍색 별로 흡사 오이의 갈래처럼 나와 있고,

附耳畢股一星光(부이필고일성광)

                    -부이(附耳)는 한 개의 별로 필의 끝에서 빛나며,

天街兩星畢眥傍(천가양성필자방)

                    -천가(天街)는 두개의 별로 필이 갈래지는 곳의 근처에 있다네.  

天節耳下八烏幢(천절이하팔오당)

                    -천절(天節)은 부이의 아래에 여덟 개의 검은색(烏色) 별로

                     휘장 치듯이 있고,

畢上橫黑六諸王(필상횡흑육제왕)

                    -필 위로 빗겨서 여섯 개 검은 별로 이루어진 제왕(諸王)이 있네.

王下四天高星(왕하사조천고성)

                    -제왕의 아래에 있는 네 개의 검은색(皀色)별이 천고(天高)이고,

節下黑團九州城(절하흑단구주성)

                    -천절의 아래에 검은색(黑色) 원의 형태로 성(城)을 쌓은 것이

                     구주(九州:九州珠口)라네.

畢口斜對五車面(필구사대오거면)

                    -필의 입 쪽으로 빗겨서 대면한 것이 오거(五車)이고,

車有三柱任縱橫(거유삼주임종횡)

                     -오거에는 세 개의 주(柱:기둥)가 종횡으로 놓여 있으며,

車中五點天(거중오점천황명)

                    -오거의 안에 다섯 개의 점을 이룬 천황(天潢)이 밝고,

潢上咸池三黑星(황상함지삼흑성)

                    -천황의 위에 세 개의 검은 색 별이 함지(咸池)라네.

天關一赤車脚邊(천관일적거각변)

                    -천관(天關)은 한 개의 붉은 색 별로 되어 있는데,

參旗九赤參車間(심기구적삼거간)

                    -오거의 다리 근처에 있고, 삼기(參旗)는 아홉 개의 붉은 색

                      별로 삼수(參宿)와 오거의 사이에 있네.

旗下直立九(기하직립구유련)

                    -삼기 아래로 직립한 것이 구유(九斿)로 아홉 개 별이 연이어있고,

下十三烏天園(유하십삼오천원)

                    -구유의 아래에 열 세 개의 짙은 검은색별이 천원(天園)인데,

九斿天園參脚邊(구유천원삼각변)

                   - 구유와 천원은 삼(參宿)의 다리 근처에 있다네. 

 

 

 

 

6. 자수(觜宿)의 보천가(步天歌)

 

 

三紅相近作參(삼홍상근작삼예)

                     -세 개의 주홍색별이 서로 가까이 있어서 세 개의 꽃술을 만들고,

上坐旗烏指天(자상좌기오지천)

                    -자의 위에 짙은 검은색(烏色)의 별로 된 좌기(坐旗 또는

                     座旗)가 하늘을 가리키니  

尊卑之位九相連(존비지위구상련)

                    -위 아래로 아홉 개의 별이 연이어져 있네.  

司怪四黑坐旗邊(사괴사흑좌기변)

                    -사괴(司怪)는 네 개의 검은색(烏色) 별로 좌기의 가에 있으며,

曲立大近井鉞前(곡립대근정월전)

                     -곡선을 그리며 서 있되 정수(井宿)와 무척 가까우며 열월(列鉞) 

                      의 앞쪽(남쪽)에 있다네. 

 

 

 

7. 삼수(參宿)의 보천가(步天歌)

 

 

總有十星觜相侵(총유십성자상침)

                    -총 열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삼(參)은 자수(觜宿)와 서로 영역을

                      침범하고 있다네.  

兩肩雙足三爲心(양견쌍족삼위심)

                    -삼은 두 어께와 두 다리가 있고, 두 다리 안에 있는 세 개의

                      별이 심장(心)이 되며,  

伐有三星腹裏深(벌유삼성복리심)

                    -벌(伐)의 세별은 배(腹) 안에 깊이 들어가 있다네.

玉井四紅右足陰(옥정사홍우족음)

                    -옥정(玉井)은 네 개의 주홍색 별로 오른쪽 다리를 감싸고 있고,

屛星兩赤井南(병성양적정남금)

                    -병(屛)은 두 개의 붉은색 별로 옥정의 남쪽에 있으며,

軍井四烏屛上吟(군정사오병상음)

                    -군정(軍井)은 네 개의 짙은 검은색 별로 병(屛)의 위에서 입을

                     다물고 있다네.

左足四赤天厠臨(좌족사적천칙림)

                    -삼의 왼쪽 다리 쪽에는 네 개의 붉은 색 별로 이루어진

                     천측(天厠)이 임했고,

厠下一赤天屎沈(칙하일적천시침)

                    -천측의 아래에는 한 개의 붉은 색 별로 된 천시(天屎)가

                      깊숙이 있다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