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남방 주작이 거느리는 칠수(七宿)에 관한 보천가.
1. 정수(井宿)의 보천가(步天歌)
八紅橫列河中淨(팔홍횡렬하중정)
-여덟 개의 주홍색별이 횡으로 두 줄의 열을 지으면서 은하수
속에 있는 것이 정(井)이고,
一紅名鉞井邊安(일홍명월정변안)
-한 개의 주홍색별이 열월(列鉞: 鉞)인데, 정의 가장자리에
안정된 모습으로 있다네.
兩河各三南北正(남하각삼남북정)
-남하(南河)와 북하(北河)는 각기 세 개의 별로 되어 있으면서
남과 북으로 대치되어 있고,
天樽三烏井上頭(천준삼오정상두)
-천준(天樽)은 세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로 정의 윗머리
부분에 있으며,
樽上橫列五諸侯(준상횡렬오제후)
-천준의 위에 횡으로 열을 짓고 있는 것이 오제후(五諸侯)라네.
候上北河西積水(후상북하서적수)
-오제후의 위에 있는 것이 북하(北河)인데, 그 서쪽으로는
적수(積水)가 있고,
欲覓積薪東畔是(욕멱적신동반시)
-적신(積薪)은 북하의 동쪽 부근에서 엿보고 있다네.
鉞下四烏名水府(월하사오명수부)
-열월의 아래에 네 개의 짙은 검은색별을 수부(水府)라 하고
水位東邊四紅是(수위동변사홍시)
-수위(水位)는 동쪽변두리에 네 개의 주홍색별로 이루어져 있네.
四瀆橫黑南河裏(사독횡흑남하리)
-사독(四瀆)은 네 개의 검은색(黑色) 별로 남하의 안쪽에
횡으로 누워 있으며,
南河下頭是軍市(남하하두시군시)
-남하의 아랫머리에 있는 것이 군시(軍市)인데,
軍市圓紅十三星(군시원홍십삼성)
-군시는 13개의 주홍색별이 원을 그리며 있고,
中有一赤野鷄精(중유일적야계정)
-그 안에 한 개의 붉은색별인 야계(野鷄)가 그 정화(精華)를
보이고 있다네.
孫子丈人市下列(손자장인시하열)
-손(孫)과 자(子) 및 장인(丈人)은 군시 아래에 열을 짓고 있는데,
各立兩烏從東設(각립양오종동설)
-각 두 개의 짙은 검은색별이 동쪽을 따라 베풀어져 있다네.
關丘二黑南河動(관구이흑남하동)
-관구(關丘)는 두 개의 검은색(黑色) 별로 남하의 동쪽에 있고,
丘下一狼蒙離茸(구하일랑몽리용)
-관구의 아래에 한 개의 별로 되어 있는 랑(狼)이 어지럽게
빛을 발하고 있다네.
左畔九赤彎弧弓(좌반구적만호궁)
-랑의 왼쪽 가에 아홉 개의 붉은 색 별이 활의 시위를 당기듯이
있는 것이 호(弧)인데,
一矢擬射頑狼胸(일시의사완랑흉)
-한 개의 시(矢: 화살의 뜻을 지닌 별로, 마치 활(호)에 살을
멕인 것 같은 상태이다)를 완강한 랑(이리)의 가슴에 겨눈 것
같은 모습이라네.
有箇老人南極中(유개노인남극중)
-한 개로 이루어진 노인(老人)이 남극의 가운데 있는데,
春秋出入壽無窮(춘추출입수무궁)
-춘분과 추분에 출입하니 수명이 영원하네.
2. 귀수(鬼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冊方似木樻(사홍책방사목궤)
-네 개의 주홍 색 별이 정 방향으로 나무궤 짝처럼 있는 것이
귀(鬼)이고,
中央一白積戶氣(중앙일백적호기)
-그 중앙의 한 개의 흰색 별로 되어 있는 것이 적시(積戶)라네.
鬼上四烏是爟位(귀상사오시관위)
-귀의 위로 네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관(爟)의 자리고,
天狗七烏鬼下是(천구칠오귀하심)
-천구(天狗)는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별로 귀의 아래에 있다네.
外廚天間柳星次(외주천간류성차)
-외주(外廚)는 류수(柳宿)의 밑에 천구(天狗)와 천기(天紀)의
사이에 있고,
天社六黑弧東倚(천사육흑호동의)
- 천사(天社)는 여섯 개의 검은색(黑色) 별로 호(弧)의
동쪽(왼쪽)에 의지하고 있으며,
社東一烏是天紀(사동일오시천기)
-천사의 동쪽에 한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바로
천기(天紀)라네.
3. 류수(柳宿)의 보천가(步天歌)
八紅曲頭似垂柳(팔홍곡두사수류)
-여덟 개의 주홍 색 별이 머리를 구부리고 있는데, 마치
버드나무 가지가 땅을 향해 드리운 것과 같은 형상이라네.
柳上三烏號爲酒(류상삼오호위주)
-류의 위에 세 개의 짙은 검은색별을 주기(酒旗)라고 부르는데,
享宴大酺五星守(형안대포오성수)
-잔치를 크게 베푸는 일을 하고, 오성이 머무르는 곳이라네.
4. 성수(星宿)의 보천가(步天歌)
七紅如釣柳下生(칠홍여조류하생)
-일곱 개의 주홍 색 별이 낚시 바늘처럼 류수(柳宿)의 아래에서
있는 것이 성(星)인데,
星上十七軒轅形(성상십칠헌원형)
-성의 위에 열일곱 개로 되어 있는 별이 헌원(軒轅)이고,
軒轅東頭四內平(헌원동두사내평)
-헌원의 동쪽 위로 네 개의 별이 내평(內平)이네.
平下三黃名天相(평하삼황명천상)
-내평의 아래에 세 개의 누런색별을 천상(天相)이라 하는데,
相下稷星橫五靈(상하직성회오령)
-천상의 아래에 다섯 개의 별로 된 직(稷)이 가로로 신령스럽게
놓여 있다네.
5. 장수(張宿)의 보천가(步天歌)
六紅似軫在星旁(육홍사진재성방)
-여섯 개의 주홍 색 별이, 진수(軫宿)와 비슷한 형태로
성수(星宿)의 곁에 있는 것이 장(張)이라네.
張下只是有天廟(장하지시유천묘)
-장의 아래에 있는 것은 천묘(天廟)인데,
十四之星冊四方(십사지성책사방)
-열 네 개의 별이 사방으로 방책을 이루고 있다네.
長垣少微雖向上(장원소미수향상)
-장원(長垣)과 소미(少微)는 비록 장수의 바로 위에 있으나,
星數歌在太微傍(성수가재태미방)
-별자리 노래 할 때는 태미원(太微垣)에 속해 있는 것이고,
太尊一星直上黃(태존일성직상황)
- 한 개 누런색 별로 되어 있는 태존(太尊)도 위에 있을 뿐이라네.
6. 익수(翼宿)의 보천가(步天歌)
二十二紅大難識(이십이홍대란식)
-스물두개의 주홍색별인 익은 찾기가 쉽지 않으니,
上五下五橫者行(상오하오횡자행)
-위로 다섯 개 아래로 다섯 개가 횡으로 놓여 있고,
中間六點恰如張(중간육점흡여장)
-중간의 여섯 개의 별은 장수(張宿)와 흡사 하다네.
更有六星在何許(갱유육성재하허)
-다시 남은 여섯 개의 별은 어디에 있나,
三三相連張畔附(삼삼상련장반부)
-셋씩 서로 이어져서 장수(張宿)의 곁에 붙어 있네.
必若不能分處所(필약불능장반부)
- 장수와의 나뉘어 진 곳을 찾지 못하겠거든,
更請向前看野取(갱청향전간야취)
-반드시 다시 앞에(남쪽에) 있는 벌판을 봐서 찾게나.
五箇黑星翼下頭(오개흑성익하두)
-다섯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 익의 아래에 머리를 두고 있으니,
要知名字是東甌(요지명자시동구)
-요컨대 이 별의 이름이 동구(東甌)인 것을 알게나.
7. 진수(軫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如張翼相近(사홍여작익상근)
-네 개의 주홍색별이 장수(張宿)와 비슷한 모습으로 익수(翼宿)
와 서로 가까운 것이 진(軫)인데,
中央一赤長沙子(중앙일적장사자)
-중앙의 한 개 붉은 색(赤色)별이 장사(長沙子)라네.
左轄右轄附兩星(좌할우할부양성)
-좌할(左轄)과 우활(右轄)은 양쪽에 붙어 있고,
軍門兩黃近翼是(군문양황근익시)
-두 개의 누런 색 별인 군문(軍門)은 익수(翼宿)의 근처에 있네.
門下四黃土司空(문하사황토사공)
-군문의 아래에 네 개의 누런색별이 토사공(土司空)이고,
門東七烏靑丘子(문동칠오청구자)
-군문의 동쪽에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 별이 청구(靑丘)라네.
靑丘之下名器府(청구지하명기부)
-청구의 아래에 있는 것을 기부(器府)라 이름 하는데,
器府黑星三十二(기부흑성삼십이)
-기부는 검은색(黑色) 별 서른 두개로 되어 있네.
巳上便爲太微宮(이상편위대미궁)
-이러한 별들의 위쪽은 태미원(太微垣)인데,
黃道向上看取是(황도향상간취시)
- 황도(黃道)가 위에 있어 이를 보고 구별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