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사회복지기관 차량공모사업 지원신청서
사 업 계 획 서
1. 기관현황
(1) 기관의 설립목적 및 연혁
□ 설립목적
다양한 재활사업을 통하여 장애를 가진 이들의 잠재능력과 자립능력을
최대한 계발하여 전인재활을 도모하며, 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으로 가족능력을 강화하고, 지역주민과의 연결고리가 되어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추구한다.
□ 연 혁
2000. 9. 14. 울산광역시로부터 사회복지법인 가톨릭 부산교구
사회복지회가 위탁받고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가
관리운영을 맡음.
11. 20. 울산광역시 장애인 종합복지관 개관
2001. 1. 8. 재활 프로그램 실시
3. 6. 수중치료 및 동아리활동반 등 개설
4. 2. 주간보호센터 개설
7. 4. 장애인 정보화 교육수행기관으로 지정됨
11. 1. 장애인 무료 치과진료실시
(아산복지재단-장비구입비 지원
가톨릭 울산치과의사협회-자원봉사)
11. 5. 장애인 전화상담소 개소(1588-0420)
11. 20. 홈페이지 개설(www.ulsanrehab.or.kr)
2002. 5. 1. 장애인 작업활동장마련 및 작업시작
8. 1. 2001년 사업보고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발간
11. 1. 이동(차량)목욕 서비스 시작(목욕차량-LG복지재단 지원)
2003. 1. 28. 부산보호관찰소 울산지소 협력기관(사회봉사)으로 지정됨
2. 21. 부산 아․태 장애인경기대회 유공단체 보건복지부 장관상
받음
3. 20. 2002년 사업보고서발간
5. 1. 직업재활센터 개설
(보건복지부 직업재활기금사업 - 장애인고용촉진공단 지원)
7. 1. 지역주민자조활동을 통한 장애인 자립지원을 위한
도우미 파견사업 실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수행기관으로 선정됨)
8~10월 재가장애인(20세이상) 욕구조사실시
2004. 1. ‘2003년 사업보고 및 재가장애인 욕구조사’ 발간
5. 방문재활사업 실시 - 특수교육, 놀이치료
(울산광역시 장비 지원)
6.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사업 실시(보건복지부 지원)
9. 17. 장난감 도서관 실시
(2) 조직 및 직원현황
□ 조직표
□ 직원현황
〈본 관〉
계 |
사회 복지사 |
특수 교사 |
언어 치료사 |
심리 치료사 |
상담 심리사 |
간호사 |
물리 치료사 |
작업 치료사 |
체육 교사 (수중운동) |
35명 |
10 |
1 |
2 |
2 |
1 |
2 |
2 |
1 |
1 |
직업 재활사 |
정보처리산업기사 |
정보처리 기사 |
기타 |
운전 기사 |
위험물 취급기사 |
조리사 |
미화원 |
재활 전문의 | |
1 |
2 |
1 |
3 |
3 |
1 |
1 |
1 |
2 (미포함) |
〈주간보호센터〉
계 |
사회복지사 |
생활교사 |
4명 |
2 |
2 |
〈정보화교육센터〉
정보처리 산업기사 |
1명 |
〈직업재활센터〉
계 |
사회복지사 |
직업재활사 |
4명 |
2 |
2 |
(3) 기관 이용자 및 수용자 현황
□ 일일평균이용자(2004년 4월 기준) : 250여명
|
총계 |
진단 판정 사업
|
의료 재활 사업
|
교육 재활 사업
|
직업 재활 사업 (센터) |
사회 심리 재활 사업 |
재가 복지 사업
|
주간 보호 센터
|
장애인정보화교육
|
일일이용자 (평균) |
252 |
18 |
33 |
22 |
60 |
42 |
37 |
23 |
17 |
월이용자 (평균) |
5,252 |
324 |
594 |
396 |
1320 |
924 |
814 |
506 |
374 |
(4) 주요사업내용
사 업 명 |
사 업 내 용 |
진단․판정사업 |
접수상담, 각종검사․진단을 통한 평가 및 판정, 장애등록 등 |
의료재활사업 |
건강상담 및 건강관리, 치과진료, 물리치료, 작업치료, 수중운동치료, 운동치료, 목욕실 운영, 이․미용실 운영 등 |
교육재활사업 |
언어치료, 조기특수교육, 학습지도, 통합지원교육, 사회적응 훈련, 부모교육 등 |
직업재활사업 |
직업상담 및 평가, 직업적응훈련, 지원고용, 취업 및 사후지도 사회적응훈련, 동아리활동, 작업활동장, 정보화 교육 등 |
사회심리재활사업 |
재활상담, 전화상담, 가족상담, 심리상담(개별․집단), 심리치료(놀이, 행동, 미술 등), 장난감 도서관 운영, 사회적응훈련, 동아리활동, 계절학교, 캠프, 법률상담, 결혼상담, 각종행사, 가족집단육성(부모모임) 등 |
사회교육사업 |
장애체험 및 교육, 실습생지도, 지역지도자교육, 장애아동 부모교육, 수화교실 등 |
재가복지사업 |
상담 및 정서적 지원, 가사지원, 홈헬퍼 파견, 방문간호 및 의약품 지원, 방문진료 및 물리치료, 외출 및 차량지원, 결연․후원사업, 이동(차량)목욕서비스, 재가장애인정보화 교육, 나들이, 보장구 수리 및 대여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사업 등 |
조사연구사업 |
장애인욕구 및 실태조사, 이용자 만족도 조사, 사례연구, 직원교육, 재활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재활치료연구 및 자료제작 등 |
계몽․홍보사업 |
관보발행, 대외홍보, 견학안내, 안내 팸플릿 제작, 장애예방 캠페인, 장애관련 계몽 등 |
기타사업 |
이탈청소년 선도교육, 시설대여 |
주간보호센터 |
일상생활훈련, 사회적응훈련, 학습지도 및 동아리 활동, 캠프, 치과진료, 이․미용서비스 등 |
장애인정보화 교육센터 |
초․중․고급별 과정 및 재가방문 컴퓨터교육 지도 등 |
장애인전화 울산상담소 |
정서적 지지, 장애관련 각종 복지정보 제공 및 서비스 기관연계, 장애인 인권관련 상담 등 |
(5) 신청기관이 위치한 지역의 특성
울산광역시는 총면적 1천56km에 인구 110만여명으로 한국 7대 도시의 하나이며, 5개 구․군으로 행정구역이 나뉘어져 있다.
동구의 화정주공아파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화정사회복지관과 중구의 삼일아파트를 중심으로 중구사회복지관, 남구의 달동 주공아파트 중심의 남구종합사회복지관 등에서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각종 사회복지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동구의 경우 현대기업의 도움으로 사업이 질적, 양적으로 주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각 사회복지관들이 지역사회 주민뿐만 아니라 주변의 영세 장애인들에게 힘이 되고자 하였으나, 5개 구․군에 산발적으로 넓게 분포된 28,793명(2004년 6월 기준)의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활동은 수요를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의 경우 울주군과 중구 및 북구 외곽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이들 사회복지관이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이에 2000년 11월 본 복지관이 장애인을 위한 종합복지관으로 개관되고, 2003년 시각장애인복지관이 개관되어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본 복지관의 경우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해 있어 장애인이 이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본 관에서는 찾아가는 복지관이라는 슬로건으로 재가복지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장애인의 이동권 확보를 위한 차량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6) 예산 및 결산현황
(단위:천원)
수 입 |
지 출 | ||||
구 분 |
내 역 |
구 분 |
내 역 | ||
2003년 결산 |
2004년 예산 |
2003년 결산 |
2004년 예산 | ||
정부보조금 |
691,783 |
809,010 |
인 건 비 |
657,231 |
739,499 |
법인보조금 |
39,805 |
33,000 |
사 업 비 |
93,826 |
173,828 |
후 원 금 |
11,118 |
37,400 |
시설운영비 |
119,167 |
120,382 |
사업수입금 |
134,615 |
138,323 |
재산형성비 |
24,040 |
24,352 |
기 타 |
28,949 |
46,308 |
기 타 |
12,006 |
5,980 |
계 |
906,270 |
1,064,041 |
계 |
906,270 |
1,064,041 |
(7) 외부지원금 수혜현황(최근2년간)
(단위 : 천원)
년도 |
지원기관 (재단 및 다른기관 포함) |
지원사업명 |
지원금액 |
2003년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장애인전화상담소 |
15,000 |
정보통신부 |
장애인정보화교육센터 |
21,183 |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홈헬퍼 파견사업 |
22,500 |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복권기금사업 차량지원 |
17,530 | |
장애인고용촉진공단 |
직업재활센터 |
93,351 | |
2004년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장애인정보화교육센터 |
24,000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홈헬퍼 파견사업 |
45,000 | |
장애인고용촉진공단 |
직업재활센터 |
107,602 |
2. 신청사업 내용
(1) 필요성
첫째, 장애인이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2003년 울산광역시 재가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욕구조사 결과 장애인의 약 77.1%가 혼자서 외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22.9%는 혼자서 외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표1 참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장애인의 약 61.0%는 일상생활을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할 수 있으나 나머지 39.0%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발달장애, 뇌병변장애, 정신장애를 가진 장애인들이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참조〉
〈표 1〉 혼자 외출 가능여부
구 분 |
빈 도 |
백 분 율 |
가능하다 |
172 |
77.1 |
불가능하다 |
51 |
22.9 |
계 |
223 |
100.0 |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2003년
〈표 2〉 장애유형별 일상생활시 타인 도움 정도
(단위 : %)
구 분 |
지체 장애 |
뇌병변 |
시각 장애 |
청각장애 |
언어장애 |
정신 지체 |
발달 장애 |
정신장애 |
신장 장애 |
심장장애 |
계 |
모든 일상생활이 혼자 가능 |
54.6 |
13.7 |
57.6 |
65.0 |
56.3 |
29.7 |
7.7 |
24.5 |
54.8 |
41.3 |
46.1 |
대부분 남의 도움없이 가능 |
16.9 |
11.7 |
10.9 |
15.9 |
14.7 |
16.4 |
10.1 |
13.2 |
12.2 |
19.1 |
14.9 |
일부 남의 도움 필요 |
18.0 |
22.8 |
16.2 |
13.3 |
17.7 |
21.9 |
15.7 |
22.9 |
19.9 |
22.6 |
18.6 |
대부분 남의 도움 필요 |
6.2 |
19.3 |
10.4 |
4.4 |
10.4 |
15.6 |
29.4 |
24.5 |
8.4 |
8.1 |
10.3 |
거의 모두 남의 도움 필요 |
4.3 |
32.6 |
4.9 |
1.3 |
0.8 |
16.5 |
37.0 |
14.8 |
4.8 |
8.9 |
10.1 |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장애유형별 일상생활 도움 제공자 여부에 대하여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 중 실제로 도움 제공자가 있는 경우는 80.3%이며, 없는 경우는 19.7%나 된다.
여기서 도움 제공자는 배우자 46.9%, 부모 19.9%, 자녀 21.6% 등으로 도움 제공자의 대부분(93.8%)은 가족 구성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3 참조〉
〈표 3〉 장애유형별 일상생활 도움 제공자 여부
(단위 : %)
구분 |
지체 장애 |
뇌병변 |
시각 장애 |
청각 장애 |
언어 장애 |
정신 지체 |
발달 장애 |
정신 장애 |
신장 장애 |
심장 장애 |
계 |
있다 |
71.6 |
90.3 |
79.7 |
64.0 |
70.0 |
93.6 |
100.0 |
84.0 |
92.1 |
82.4 |
80.3 |
없다 |
28.4 |
9.7 |
20.3 |
36.0 |
30.0 |
6.4 |
- |
16.0 |
7.9 |
17.6 |
19.7 |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외출에 대한 불편정도는 장애인의 64.5%가 집밖활동에 불편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뇌병변장애(85.7%), 심장장애(84.6%), 신장장애(73.9%)를 가진 장애인이 집밖활동의 불편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4 참조〉
장애인이 집밖활동 시 불편을 느끼는 원인은 교통수단 이용이 3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5 참조〉
〈표 4〉 장애유형별 외출(집밖활동) 불편정도
(단위 : %)
구분 |
지체 장애 |
뇌병변 |
시각 장애 |
청각 장애 |
언어 장애 |
정신 지체 |
발달 장애 |
정신 장애 |
신장 장애 |
심장 장애 |
계 |
매우 불편하다 |
28.7 |
59.3 |
35.2 |
17.7 |
15.8 |
20.8 |
28.2 |
16.0 |
25.2 |
40.0 |
31.7 |
약간 불편하다 |
36.1 |
26.4 |
30.4 |
31.9 |
33.4 |
23.0 |
26.5 |
27.6 |
48.7 |
44.6 |
32.8 |
그저 그렇다 |
4.8 |
1.2 |
4.6 |
5.7 |
10.4 |
4.7 |
- |
8.1 |
1.6 |
6.2 |
4.5 |
불편이 없는 편이다 |
14.9 |
34.9 |
16.8 |
20.2 |
19.1 |
19.2 |
10.2 |
40.6 |
12.4 |
21.3 |
19.8 |
거의/전혀 불편하지 않다 |
3.1 |
3.0 |
2.9 |
2.7 |
1.8 |
6.8 |
8.2 |
6.6 |
- |
1.6 |
3.3 |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42,425 |
100.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표 5〉 외출(집밖활동) 시 불편원인
구 분 |
빈 도 |
백 분 율 |
교통수단 이용 |
67 |
31.6 |
주위 사람들의 시선 |
7 |
3.3 |
편의시설 부족 |
10 |
4.7 |
자원봉사자의 부족 |
4 |
1.9 |
지리를 잘 몰라서 |
6 |
2.8 |
거동 불편 |
38 |
18.0 |
기 타 |
20 |
9.4 |
없 다 |
60 |
28.3 |
계 |
212 |
100.0 |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2003년
중증 장애인의 경우 일상생활이 다른 이의 도움으로 이루어지는데 거의 가족에게 의존되어 있다. 그리고 외출을 하더라도 바깥 편의시설의 부족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현실에서 장애인을 위한 차량 지원 및 봉사자의 도움은 장애인들에게 절실하게 요구되는 서비스 중의 하나이다.
둘째, 경제적인 활동이 어려워 수입이 적고, 의료비 및 교통비 등으로 지출의 부담이 많은 장애인 가정에 경제적인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서울시의 경우 2002년 12월부터 중증장애인을 위해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콜택시를 도입하고 2003년 1월부터 시행중이다.
장애인 콜택시가 장애인 편의를 위해 마련된 이동수단이지만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없고, 일반택시요금보다 40% 할인이 된다고는 하지만 일반 대중 교통비보다는 휠씬 비싸 대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에게는 콜택시 요금이 너무 부담스럽다. 그리고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해 그나마 이용을 하려고 해도 기본적으로 한, 두시간정도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다.
울산광역시에는 시각장애인복지관 및 단체에서 운영하는 심부름센터 차량과 해피콜택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장애인의 이용률이 많아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 장애인의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고, 콜택시 형식으로 운행되고 있는 리프트 봉고차량 운행은 하루 2~3차례 예약제로 하루 이용률이 2~3명이며 병원 및 각 복지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본 관 재가복지팀에서는 리프트를 장착한 봉고 차량 1대(울산광역시 지원)와 라비타 차량 1대(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를 지원받아 관 이용자를 위해 차량운행을 최대한하고 있으나, 울산 전역에 산재되어 있는 장애인의 이동권 확보에는 아주 제한적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울산시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경우 서울시보다 열악한 환경권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애인들은 하루 빨리 이동권이 보장되기를 갈구하나, 모든 시책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알기에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차량이 복지관 내에 배치되어 장애인의 사회통합도모와 더불어 장애인 가족들의 부양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셋째, 울산 외곽에 거주하여 접근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관에서 재가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차량은 리프트가 장착된 봉고차량 한대로 방문하는 데만 1시간이 넘게 소요되는 동구, 북구, 울주군의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면 다른 지역의 장애인에게 제공할 서비스 제공의 시간적 여유가 없다.
또한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장애인의 경우 대부분 도심에서 멀고 주택 임대료가 저렴한 곳(주택 환경 및 주변의 환경이 열악함)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길이 가파르고 위험하여 봉고 차량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위치해 있다.
본관 재가복지팀에서는 수차례 소형차량의 필요성을 피력하였으나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편성상의 어려움으로 아직 지원이 되지 않고 있다.
이번 차량지원 공모사업 지원신청서를 통한 차량 지원으로 접근이 어려운 장애인에게도 복지서비스의 확충을 기대해 본다.
(2) 사업 대상
(2004년 6월 현재 기준)
대상구분 |
서비스대상자 산출근거 |
단위수(명) |
일반 대상 |
울산광역시 전체 장애인 수 |
28,793 |
위기 대상 |
일반대상 중 1~3급 중증 장애인 수 |
13,061 |
표적 대상 |
위기 대상 중 이동 시 지원해 줄 보호자가 없어 곤란한 장애인 수 |
200여명 |
(3) 사업내용 및 차량 활동 내용
용 도 |
사용주기․ 시간 |
비 고 |
재가 장애인 이송 |
월 금 (09:00-18:00) |
|
(4) 기대효과
첫째, 장애인이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다.
둘째, 경제적인 활동이 어려워 수입이 적고, 의료비 및 교통비 등으로 지출의 부담이 많은 장애인 가정에 경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울산 외곽에 거주하여 접근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5) 차량 보유 내역
차종(차명) |
운영용도 |
수 량 |
구입년도 |
상 태 |
비고 |
버 스(45인승) |
장애인 이송 (리프트장착) |
1대 |
2001년 |
양호 |
|
버 스(35인승) |
장애인 이송 (리프트 장착) |
1대 |
2003년 |
양호 |
|
그레이스(12인승) |
장애인 이송 |
1대 |
2002년 |
양호 |
|
이스타나(롱15코치) |
이동목욕 차량 |
1대 |
2002년 |
양호 |
|
스타렉스(12인승) |
재가장애인 이송 (리프트 장착) |
1대 |
2001년 |
양호 |
|
라비타(승용차) |
재가장애인 이송 (리프트 장착) |
1대 |
2004년 |
양호 |
|
(6) 신청기관의 약도
오시는 길 : ▪55번, 56번 버스 : 백양사 입구 하차, 도보 약 10분 소요
▪5, 5-1, 19, 48번 버스 : 성안입구 고가차도 하차
▪성안입구 ←2.2.km → 장애인종합복지관(도보 약 40분 소요)
▪성안 입구의 복지관 정류장(“함께탑시다”)에서 복지관 버스 또는
복지관 이용자 자가 차량을 함께 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