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자첨사공파 분파(시조세대 = 중조세파 + 15세)[1]
별제공파 別提公派(관 寬; 13세),
금성공파 金城公派(엽 曄; 13세),
이천공파 伊川公派(세안 世安; 12세),
소윤공파 少尹公派(온량 溫良; 12세),
판관공파 判官公派(인휴 仁畦; 10세),
진위공파 振威公派(오 塢; 11세),
경주공파 慶州公派(전 ?; 11세),
별좌공파 別坐公派(번수 蕃壽; 12세),
재령공파 載寧公派(대승 大升; 12세),
사평공파 詞平公派(공승 公升; 12세),
삼척공파 三陟公派(말 말[土+末]; 11세),
내의정공파 內醫正公派(하손 夏孫; 11세),
현령공파 縣令公派(언성 彦性; 13세),
전주공파 全州公派(언경 彦憬; 13세),
장령공파 掌令公派(언침 彦?; 13세),
진사공파 進士公派(언핍 彦?; 13세)
◎ 소부감판사공파 분파(시조세대 = 중조세파 + 16세)[2][3]
좌랑공파 佐郞公派(선민 先民; 14세)
쌍계공파 雙溪公派(번민 蕃民; 14세),
판관공파 判官公派(관민 寬民; 14세)
승사랑공파 承仕郞公派(광현 光玹; 15세),
좌랑공파 佐郞公派(제민 悌民; 14세)
호군공파 護軍公派(충민 忠民; 14세),
서민공파 恕民公派(서민 恕民; 14세)
진사공파 進士公派(주 澍; 14세),
윤공파 淪公派(윤 淪; 14세)
응립공파 應立公派(응립 應立; 14세),
응현공파 應賢公派(응현 應賢; 14세)
흥무공파 興茂公派(흥무 興茂; 14세),
흥창공파 興昌公派(흥창 興昌; 14세)
장수공파 長水公派(빈 ?; 14세), - ? : 표기불가능
세마공파 洗馬公派(지 贄; 14세)
참봉공파 參奉公派(현 賢; 14세),
지평공파 持平公派(보 寶; 14세)
통덕랑공파 通德郞公派(갱 : 14세) = 주부공파(主簿公派)(시민 時敏:15세)
사우당공파 四友堂公派(시담 時聃; 15세)
충정공파 忠定公派(귀 貴; 14세),
직장공파 直長公派(경한 景漢; 14세)
수한공파 守漢公派(수한 守漢; 14세),
주부공파 主簿公派(신 愼; 14세)
참군공파 參軍公派(뇌 ?; 14세),
찰방공파 察訪公派(빈 賓; 14세)
죽창공파 竹窓公派(시직 時稷; 15세),
시겸공파 時謙公派(시겸 時謙; 15세)
시성공파 時省公派(시성 時省; 15세),
시회공파 時晦公派(시회 時晦; 15세)
교관공파 敎官公派(괴 ?; 14세),
교위공파 校慰公派(신 ?; 14세)
동지공파 同知公派(천 ?; 14세),
언우공파 彦佑公派(언우 彦佑; 14세)
언종공파 彦宗公派(언종 彦宗; 14세),
사직공파 司直公派(경흥 景興; 14세)
교관공파 敎官公派(복흥 復興; 14세),
장사랑공파 將仕郞公派(중흥 中興; 14세)
현공파 鉉公派(현 鉉; 14세),
종공파 鍾公派(종 鍾; 14세)
연공파 鍊公派(연 鍊; 14세),
용공파 鏞公派(용 鏞; 14세)
전공파 銓公派(전 銓; 14세),
참봉공파 參奉公派(노 櫓; 14세)
성제공파 城齊公派(추 樞; 14세),
추담공파 秋潭公派(남 楠; 14세)
감찰공파 監察公派(즙 楫; 14세),
별제공파 別提公派(장 檣; 14세)
봉사공파 奉事公派(제 梯; 14세),
사복시정 司僕寺正 欄派(란 欄; 14세)
승지공파 承旨公派(영 木+英; 14세),
사복시정 司僕寺正 樺派(화 樺; 14세)
월사공파 月沙公派(명한 明漢; 14세),
사복시정 司僕寺正 俊漢派(준한 俊漢; 14세)
익한공파 翼漢公派(익한 翼漢; 14세),
창한공파 昌漢公派(창한 昌漢; 14세)
경한공파 經漢公派(경한 經漢; 14세),
계정공파 繼鄭公派(계정 繼鄭; 14세)
인춘공파 仁春公派(인춘 仁春; 14세),
별좌공 別坐公 逢春公派(봉춘 逢春; 14세)
덕희공파 德禧公派(덕희 德禧; 14세),
덕록공파 德祿公派(덕록 德祿; 14세)
덕량공파 德良公派(덕량 德良; 14세),
진충공파 盡忠公派(진충 盡忠; 14세)
택룡공파 澤龍公派(택룡 澤龍; 14세),
사립공파 士立公派(사립 士立; 14세)
천립공파 天立公派(천립 天立; 14세).
생원공파 生員公派(흥림 興林:8세)[4][5]
감찰공파 監察公派(덕림 德林:8세)[6]
평장사공파 平章事公派(안군 顔君:2세)[7]
◎ 통례문부사공파 분파(시조세대 = 중조세대 + 18세)
소윤공파 少尹公派(척 ?; 3세),
남대공파 南臺公派(남대 南臺; 4세),
정랑공파 正郞公派(보민 補民; 5세),
현감공파 縣監公派(숭경 崇經; 6세),
충간공파 忠簡公派(숭원 崇元; 6세),
승정공파 承政公派(숭윤 崇允; 6세),
직강공파 直講公派(숙황 淑璜; 6세),
현감공파 縣監公派(숙형 淑珩; 6세),
감찰공파 監察公派(숙규 淑珪; 6세),
정양공파 靖襄公派(숙기 淑琦; 6세),
문장공파 文莊公派(숙감 淑?; 6세).
◎ 대장군공파 분파
대장군공파는 파계의 확인이 늦은 관계로 다른 파에서 볼 수 있는 지파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위의 파들은 모두 현재까지 이어져오나, 아래의 파들은 모두 현존하지 않는 파이다.
◎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 영광군사공파(靈光郡事公派)
◎ 예부상서공파(禮部尙書公派)[8]
◎ 이부시랑공파(吏部侍郞公派)
◎ 전법판서공파(典法判書公派)
◎ 판도정랑공파(版圖正郞公派)
연안 이씨(延安 李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연안 이씨(延安 李氏)에 대(對)하여
1. 연안 이씨(延安 李氏) 시조(始祖) : 이 무(李 茂)
2. 연안 이씨(延安 李氏) 유래(由來) :
연안 이씨(延安李氏)의 시조(始祖)는 당(唐)나라 장군(將軍) 이무(李茂)이다. 그는 660년 나당연합군의 중랑장(中郞將)으로
소정방(蘇定方)을 따라왔다가 신라(新羅)에 귀화(歸化)한 것으로 전(傳)해진다.
연안 이씨(延安 李氏)는 비조(鼻祖) 고요(皐陶)와 노자(老子)의 후예(後裔)인 중국(中國) 농서 이씨의 후손(後孫)으로
한무제(漢武帝)때 명장(名將)인 이광(李廣)이 있다. 그의 후손(後孫)으로 오호 십육국 시대(時代)의 서량(西凉)을 세운
무소왕(武昭王) 이호(李暠:漢族)로 가문(家門)이 이어졌다.
무소왕(武昭王)의 아들은 흠(歆:西凉의 二代王), 순(恂:西凉의 三代王), 번(飜)이 있는데 이중 당(唐)나라 황실(皇室)은 흠(歆)의
계통(系統)이고 연안 이씨(延安 李氏)는 번(飜)의 계통(系統)이라 한다.
당(唐)나라 황실(皇室)과 종실(宗室) 사이라고 전(傳)해진다.
3. 연안 이씨(延安 李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 태자첨사공파(太子詹事公派) : 파조(派祖)는 이습홍(李襲洪)이며 별제, 금성, 이천, 소윤, 진위, 경주, 별좌, 재령, 사평, 삼척, 내의정, 현령, 전주, 장령, 진사, 참봉공파로 분파(分派)가 된다.
- 예부상서공파(禮部尙書公派) : 파조(派祖)는 이 핵(李 核).
- 판소부감공파(判少府監公派) : 파조(派祖)는 이현려(李賢呂)이며 판서공파, 대호군공파, 호군공파, 영상공파, 문검공파, 생원공파, 참봉공파, 부정공파로 분파.
- 이부시랑공파(吏部侍郞公派) : 파조(派祖)는 이분양(李汾陽).
- 전법판서공파(典法判書公派) : 파조(派祖)는 이 방(李 昉).
- 대장군공파(大將軍公派) : 파조(派祖)는 이원주(李元柱).
-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 파조(罷朝)는 이득량(李得良).
- 판도정랑공파(版圖正郞公派) : 파조(派祖)는 이백연(李伯衍).
- 영광군사공파(靈光郡事公派) : 파조(派祖)는 이계연(李季衍).
- 통례문사공파(通禮門使公派) : 파조(派祖)는 이 지(李 漬)이며, 현감, 교수, 감찰, 삼사, 수찬공파로 분파.
이습홍(태자첨사공파), 이핵(예부상서공파), 이현려(판소부감공파), 이분양(이부시랑공파), 이방(전법판서공파),
이원주(대장군공파), 이득량(밀직부사공파),
이백연(판도정랑공파), 이계연(영광군사공파), 이 지(통례문사공파) 등을 중시조(中始祖) 1세로 하는 10개 파가 있다.
이들 각파(各派)는 중시조(中始祖) 이상(以上)의 세계(世系)를 잃어버려 계촌은 못하지만 모두 같은 혈손이다.
이 10파 중에서도 판소부감공파, 태자첨사공파, 통례문사공파가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이 들은 다시 크고 작은 파로 분파가 되는데,
태자첨사공파에는 별제공파, 금성공파, 이천공파, 소윤공파, 진위공파, 경주공파, 별좌공파, 재령공파,삼척공파,
내의정공파, 현령공파, 전주공파, 장령공파, 진사공파, 참봉공파 등으로 분파,
통례문사공파는 현감공파, 교수공파, 감찰공파, 삼사공파, 수찬공파 등으로,
판소부감공파는 판서공파, 대호군공파, 호군공파, 영상공파, 문검공파, 생원공파, 참봉공파, 부정공파 등으로 분파가 되었다.
4. 연안 이씨(延安 李氏) 역대(歷代) 중요(重要) 인물(人物)
이승안 : 고려, 대호군.
이정공 : 고려, 상호군.
이 송 : 고려, 대장군.
이인정 : 고려, 문하시중.
이귀령 : 조선, 시호 강호공, 좌의정.
이석형 : 조선, 시호 문강공, 판중추부사.
이숭원 : 조선, 시호 충간공, 병조판서.
이숙기 : 조선, 시호 정양공, 이조판서.
이숙감 : 조선, 시호 문장공, 이조참판.
이수장 : 조선, 대호군.
이효장 : 조선, 대호군.
이후백 : 조선, 시호 문청공, 대제학.
이 주 : 조선, 시호 정목공, 정언.
이호민 : 조선, 시호 문희공, 좌찬성.
이정구 : 조선, 시호 문충공, 좌의정.
이 귀 : 조선, 시호 충정공, 이조판서.
이명한 : 조선, 시호 문정공, 대제학.
이시백 : 조선, 시호 충익공, 영의정.
이 현 : 조선, 시호 충정공, 관찰사.
이시방 : 조선, 시호 충정공, 호조판서.
이일상 : 조선, 시호 문숙공, 대제학.
이단상 : 조선, 시호 문정공, 부제학.
이은상 : 조선, 시호 문양공, 형조판서.
이관징 : 조선, 시호 문희공, 이조판서.
이익상 : 조선, 시호 문희공, 이조판서.
이희조 : 조선, 시호 문간공, 대사헌.
이정보 : 조선, 시호 문간공, 대제학.
이직보 : 조선, 시호 문경공, 이조판서.
이천보 : 조선, 시호 문간공, 영의정.
이 후 : 조선, 시호 충헌공, 좌의정.
이민보 : 조선, 시호 정효공, 판돈령부사.
이문원 : 조선, 시호 익헌공, 이조판서.
이성원 : 조선, 시호 문숙공, 좌의정.
이복원 : 조선, 시호 문정공, 좌의정.
이시원 : 조선, 시호 문간공, 이조판서.
이조원 : 조선, 시호 문경공, 이조판서.
이존수 : 조선, 시호 문익공, 좌의정.
이정운 : 조선, 시호 강민공, 형조판서.
이익운 : 조선, 시호 정숙공, 예조판서.
이가우 : 조선, 시호 문정공, 이조판서.
이종우 : 조선, 시호 문헌공, 이조판서.
이조연 : 조선, 시호 충정공, 이조참의.
5. 연안 이씨(延安 李氏) 집성촌(集成村)
- 경기도 고양시 지도면 행주외리 18
- 경기도 양주군 진잠면 금곡리 20
- 경기도 여주시 가남면 정단리 15
- 경기도 용인군 모현면 갈담리 160
- 경기도 안성군 대덕면 모산리 169
- 경기도 김포군 185
- 경기도 파주시 조리면 궁조리 500
- 경기도 개풍군 서면 전포리 30
- 강원도 회양군 안풍면 안미리 60
- 강원도 통천군 고저면 전청리 25
- 강원도 홍천군 36
-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후곡리 65
-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131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33
- 충청남도 공주시 150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덕암리 36
- 충청남도 부여시 32
- 충청남도 서산군 고북면 대사리 40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오목리 19
- 전라북도 완주시 구이면 평촌리 24
- 전라북도 고창군 부일면 58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연동리 22
- 전라남도 승주군 상사면 봉래리 28
-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상대리 15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71
- 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사리동 19
- 경상북도 김천시 상대원 300
-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송곡리 35
- 경상남도 양산군 동면 금산리 20
- 경상남도 진주시 20
- 경상북도 안동시 30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129
- 황해도 연백군 80
- 황해도 금천군 서북면 42
- 황해도 서흥군 70
- 평안남도 성천군 70
- 평안남도 중화군 해압면 100
- 평안남도 용강군 지운면 양원리 59
- 평안남도 평원군 155
- 평안남도 덕천군 잠상면 100
- 함경남도 정평군 잠원면 사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