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10시의 인기글

카페방문
도탁스 (DOTAX)

(진지) 교권 붕괴 = 국가 붕괴

작성자너진똑|작성시간23.05.27|조회수558 목록 댓글 7

최근 중고등학생들이 마약을 판매하고 성매매를 하는 등 악랄하게 변한 이유는 어렸을 때부터 잘못된 것을 잘못되었다고 제대로 혼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교권이 강했던 시절에도 학생들이 문제를 일으키긴 했지만, 마약이나 성매매 같은 극악한 짓을 하는 비중이 적었습니다.

교권이 지나치게 강해서 학생과 학부모가 불합리하게 당하는 것도 문제지만, 학생과 학부모가 지나치게 권리를 강화해주면 미래의 학생들이 나중에 성인이 되어서도 자기가 지금보다 더 상상할 수 없는 범죄나 사회적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봅니다.

어렸을 때부터 잘못된 것을 제대로 가르쳐야만이 앞으로 우리 사회의 치안이 유지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교권 붕괴의 원인

교권 붕괴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원인은 학생 인권의 강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교사가 학생을 체벌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학생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교사가 학생을 체벌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교사는 학생들을 통제할 수 없게 되었고, 학생들은 교사의 권위에 도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또 다른 원인은 학부모의 권리 강화입니다. 과거에는 학부모가 교사에게 자녀의 교육에 대해 간섭할 수 없었지만, 지금은 학부모가 교사에게 자녀의 교육에 대해 간섭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교사는 학부모의 눈치를 보게 되었고, 학부모의 눈치를 보느라 학생들을 제대로 지도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교권 붕괴의 영향

교권 붕괴는 우리 사회에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학생들의 비행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교권이 붕괴되면서 학생들은 교사의 권위에 도전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비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권 붕괴는 학생들의 학습 분위기를 저해합니다. 교사가 학생들을 통제할 수 없게 되면서 학생들의 학습 분위기가 저해되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떨어집니다.

교권 붕괴의 해결책

교권 붕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법적으로 면책특권 범위를 확장해주고 교육청에서 담당 변호사 인력을 원활히 충원해서 교육현장에 있는 실무자분들이 겪게 되는 법적 리스크를 줄여줘야하고 학부모가 큰 명분없이 사소한 부분으로 교권을 위축 시키는 행위에는 큰 패널티로 다른 학교로 전학을 갈 수 제도가 있어야지. 패널티 부담으로 사소한 걸로 클레임 넣는 행위가 낮아질 것이고 촉법소년 연령을 하향하여 만 7세 이하 아동으로만 적용 되도록 해야합니다.


앞으로 미래를 위해서는 잡음이 있더라도 강행 해야지만
사회적 문제를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이상한 No EXIT 캠페인을 할 게 아니라 법과 제도 시스템이 갖추고 제대로 돌아가야만 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7

댓글 리스트
  • 작성자이게무슨일이야이렇게좋은날에 작성시간 23.05.27 중고등학생 마약이나 성매매는 교권보다는 sns 발달로 봐야지 않읗까요?
  • 답댓글 작성자너진똑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5.27 교권붕괴와 SNS 발달로 인한 문제 둘다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마약과 성매매 문제가 심화 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교권 강화와 교육환경 개선이 먼저 시행되어야하며 그 이후에 SNS 플랫폼 광고 규제와 게시글 규제가 도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 작성자며르치 작성시간 23.05.27 요즘 학생들이 마약을 얼마나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본드 불었습니다.
    뇌에 구멍난다고 하지말라 했었죠.
    성매매도 다 했습니다.
    팬다고 바뀌지는 않습니다.
    앞에서는 조심할 뿐이죠.
    못팰거면 미국처럼 운영하는게 좋다고 생각.
    폭력이 만능키는 아닙니다, 억제는 가능하지만.
    촉법관련된 법이 문제라고 봅니다.
    법이 제대로 된 처벌을 못하니까 겁없이 나대고 설치고 어른들은 빨간줄 긋기 싫어서 참으니까 훈육이 안되고.
    치맛바람은 예전부터 문제였지만 요즘은 더 극성이라 들은듯하니 그건 문제.
    도덕을 등한시하고 인성을 중요시하지 않고 점수로만 등수를 매기는 교육 자체도 문제.
    문제풀이하는 기계를 양산하는거지 사람만드는 교육은 아니라는게 제 짧은 소견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너진똑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5.27 법적 처벌만 의존하기에는 실무현장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법적분쟁이 생각보다 정신과 육체 소모전이 꽤 심하고 그걸 본업과 병행하면서 할려고 하는 게 보통사람들은 견디기가 매우 힘듭니다. 차라리 면책특권을 강화하고 체벌이 적당한 선에서 부활을 해야지 아이들이 시시비비 가치관이 제대로 바로 서지... 성인과 커뮤니케이션 하듯이 이거 하면 안되라고 이야기하면 아이들은 어떻게든 하려고 애를 써요
  • 작성자리 아 코 작성시간 23.05.27 SNS에 발달이 더 큰 이유인거 같음
    예나 지금이나 청소년들이 사고치는건 비슷하다고 보는데 미디어의 노출이나 시선집중이 예전에 비해 더 크게 작용하는거 같고
    SNS의 발달로 인해 그게 매스미디어에 더 큰 소재제공이 된다고 생각함
    매스미디어에 노출되면 그게 작든 크든 사회적 현상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카페 방문해 더 많은 댓글 만나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