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타마 싣다르타의 생명치료 1

작성자썸머7|작성시간15.11.27|조회수160 목록 댓글 0




목차



펴내면서 _6
들어가며 _8
제1장 생명치료와 생명철학
우주 평화와 인간의 행복을 갈구하는 법화사상 _23
생명치료의 근본 목적 _26
말법 중생구제는 법화경 가르침 뿐 _29
실패하는 이유 안 되는 이유 _35
정신세계를 바라보는 생명철학 _39
숙업을 바꾸는 것은 불교 철학밖에 없다 _42
부정부패는 생명의 고장 때문 _45
색향미미()의 양약()이 어떠하냐? _47
3천 년 전에도 생명의 병을 고쳤다 _50
일불승()이 대우주 양의() _53
진정한 선진국과 선진국민이 되는 길 _56
생명철학을 왜곡해서는 안 돼 _60
업병도 사라지게 하는 기도 _63
정신계가 건강하지 않으면 육신도 병이 든다 _66
생명치료는 36.5도의 소우주를 만드는 것 _69
마음의 때를 벗겨 거울을 찾는 것이 생명치료 _72
법화경은 생명철학(1) _77
법화경은 생명철학(2) _80
법화경은 생명철학(3) _84
법화경은 생명철학(4) _87
법화경은 생명철학(5) _91
법화경은 생명철학(6) _94
불행을 밀어내고 행복을 찾게 하는 힘 _96
과학이 발전하면 위대한 불법은 증명된다 _99
과거세의 탁업()을 당겨 명복()하는 것이 수행 _103
불력과 법력의 주파수를 모르는 수행 _109
숙명은 소리 없이 공덕은 소문 없이 _112
법화경은 삼세를 가르치는 스승 _115
다보여래가 말법 법화경의 증인 _118
법보()가 생명을 치료한다 _123
불법은 ‘내 탓’을 가르치는 생명철학 _126
법화경 비방의 죄업과 찬탄의 업보를 가르침 _128
삳다르마푼타리카수트라의 실체를 밝히다 _138
성불하는 지혜는 과연 무엇인가? _143
미진()의 점() 펼치면 대우주 생명 _146
일념삼천의 법문은 생명철학의 대명사 _149
5시8교()에 나타난 불전() _153
생명세계의 번뇌를 가르치는 팔풍() _158
권지품제13의 20행의 게언()은 재가승에게 준 것 _163
갱사수명()의 공덕 _167
원겸어업()의 정신 _170
악멸() 선생()이 공덕 _174
불법의 불이()사상 _178
여래비밀() 신통지력() _183
십사비방() _186
무의왈신() _190
선()의 일념삼천과 악()의 일념삼천 _193
사겁()의 성()주()괴()공() 원리 _196
부처님 복과십호() _200
삼장사마()의 불도수행 방해 작용 _203
불경보살()이야말로 인성()교육의 표상 _208
삼세()의 생명은 생사불이()(1) _212
삼세()의 생명은 생사불이()(2) _216
금강불괴의 일념으로 난()을 뛰어넘자 _220
불안()으로 바라본 삼재()와 칠난() _222
가족에게는 이해타산을 버리는 생명으로 _226
생명의 꽃을 피우기 위하여 _229
제2장 인생은 업보의 고뇌
숙업은 역사처럼 계속 흐른다 _235
동생천 동명천에서 배운다 _238
거역할 수 없는 운명이 왔을 때는 받아들여야 _241
업()을 바꾸면 일체가 변한다 _245
신()의 선택을 거부한다 _248
이기주의 생명에 불행이 숨어있다 _253
숙습(宿)이 나의 앞길을 가로막는다 _256
스스로 만들고 괴로워하는 삼악도() _260
생명그릇과 복운() _263
외가()가 중요하다는 것은 _266
태아에서 나타나는 성격과 식성() _269
사악()이 오래가면 불치병이 온다(1) _273
사악()이 오래가면 불치병이 온다(2) _278
사악()이 오래가면 불치병이 온다(3) _282
사악()이 오래가면 불치병이 온다(4) _286
빙의 현상은 육도윤회를 보여 주는 높은 가르침(1) _291
빙의 현상은 육도윤회를 보여 주는 높은 가르침(2) _296
빙의 현상은 육도윤회를 보여 주는 높은 가르침(3) _299
빙의 현상은 육도윤회를 보여 주는 높은 가르침(4) _302
빙의 현상은 육도윤회를 보여 주는 높은 가르침(5) _305
늘어나는 신경정신계 질환 _308
마음을 내려놓으면 50% 치료 효과 _312
초자연적인 현상을 업보로 받아들이고 기도해야 _316
불법으로의 생명치료(1)우울증과 불면증 _321
불법으로의 생명치료(2)빙의 현상 _326
불법으로의 생명치료(3)사고방식의 변화 _330
생명의 창고가 비어있으면 정신계 질병이 온다 _333
빙의 걸린 시간만큼 정신적인 성장이 느리다 _338
현재의 내 모습은 숙업 숙습의 결과 _342
악업() 탁업()을 가르친 법화경 _346
임종으로 끝나지 않는 삼세의 업보 _349
갱사수명 대자대비의 공덕 _353
숙명에 얽매이다 보면 때를 놓친다 _357
찰나에 나타나는 일념삼천의 고뇌와 복 _362
공력()을 모르면 부처님을 알 수 없다 _372
내면의 세계가 풍요해야 행복하고 아름다운 인생 _376
자신과 너그럽게 타협하지 말아야 한다 _381
불법의 가르침은 도리와 상식이다 _385
낮은 가치관을 높게 만드는 실천이 기도 _389
진정한 수행은 자신을 낮추는 것 _393
3천 년 전의 남녀 평등사상 _397
나를 찾는 수행, 나는 누구인가? _401
임종을 가르치는 불법의 도리 _405
눈 뜬 수행으로 세상을 밝게 해야 _409
수행이란 숙습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는 것 _413
끝맺는 말 _418



 1. 자신의 업보를 깨닫는 것

불교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불경을 공부하는 곳인가? 아니면 공덕을 얻는 곳인가? 또 아니면 천도재로 귀신을 해결하는 곳인가? 이리저리 생각하여도 미신 같은 느낌이 드는 곳인가? 고리타분한 곳인가? 무엇을 달라고 비는 곳인가?

종교라는 기준에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불교의 현실이다. 그것은 불경이 많아서도 아니고 부처라는 불상도 아닐 것이다. 불법을 조화롭게 접목하지 못하고 설명하지 못하고 실천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교가 혼란스럽고 번잡하게 이루어져서 지금에 이르렀다.

가르침은 단순한데 현실은 복잡하게 펼쳐져 있기 때문에 공덕이라는 의미만 자리를 잡은 것 같다. 불교는 인간의 업보를 가르치고 있다. 이유는 업보가 곧 인간의 행복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기 때문이다. 업보가 왜 행복의 잣대가 되는 것인가? 업보 속에는 인간이 추량할 수 없는 선과 악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법화경에는 인간의 업보를 밝히고 업보를 바르게 하는 비법이 숨겨져 있다. 업보를 치료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인생이 좀 더 행복해진다는 것이다. 이것을 생명치료라고 하는 것이다.

법화경은 생명철학이다. 삼라만상이 가지고 있는 근본 사상에서 생명을 움직이는 철학이고 특히 인간이 가지고 있는 정신세계는 법화경 양약()만이 치료가 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그러므로 불교는 이런 생명철학을 가지고 인간을 위한 등대가 되어야 한다. 그래야 인간이 사는 세상은 좀 더 화목하고 편안한 인생을 살 수가 있다.

왜 인간으로 태어났는가에 대한 의문을 던져 주는 생로병사는 이미 석존께서 의문을 가지고 몸을 던져 깨달은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얻은 것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업보라는 것이다.

치료의 목적을 제시한 것이 생명철학이고 결과를 밝힌 것이 법화경이며 치료하는 것이 수행이라는 것이다. 법화경은 행복을 위한 처방전이다.
인생이라는 것은 업보에 따라 살게 되므로 이를 고치지 않으면 가지고 있는 업보대로 살게 된다는 것이다. 불교라는 위대한 철학을 재조명하고 인생의 등대로 삼아 고민만 하는 인생에서 벗어나라고 석존께서는 가르쳤다.

생명치료는 모든 사람에게 해당된다.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된다는 논리가 아니다.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적용받는 보편타당한 상식의 공덕이다.

불교를 미신처럼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우주를 바라보는 시야를 가져야 부처도 보이고 업보도 보이고 인생도 보인다. 자신의 업보가 어떤 것인지를 알아 인생에 도움이 되는 기회로 삼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2. 일념삼천 법문이 곧 업보

불법에서 가르치는 일념삼천의 법문은 인간의 업보를 풀어서 밝힌 것이다. 자신의 업보를 살펴보는 사람은 인생을 그만큼 아는 것이 된다.

불법을 알면 세상 이치를 안다고 했을 정도로 중요하다. 오대양 육대주의 인간이 70억 명이다. 그중에서 한 사람의 업보가 자신인데 이것을 생명 상태로 말하면 십계가 근본이 된다.

불행한 사람은 삼악()이나 사악()이 많은 것이다. 가장 불행한 사람에게도 보살의 생명 상태는 있지만 좁쌀만큼도 안 되고 지옥이나 아귀, 축생, 수라의 생명이 많아서 복이 없는 것이다. 업보는 “불변”이다.

업보는 삼세에 걸쳐서 나타나는데 과거세 업보의 결과는 현재에 나타나고 현재 업보의 결과는 미래에 나타난다. 그래서 불법에서는 삼세의 업보를 가지고 가르치므로 의심이 들겠지만 과학적이고 이치에 맞는 가르침이기 때문에 생명철학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아주 현실적이고 인간의 모습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밝히고 있다.

석존은 사상가이고 철학자이고 우주학을 전공한 인문학의 대부라고 해도 아무런 손색이 없다고 바라본다. 사람들이 이런 업보를 말하여 주면 믿지 않는다.

그러나 곰곰이 가르침을 배워 보면 자신의 업보를 짐작하게 되므로 복에 없는 욕심을 부리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게 된다.

업보는 인연, 재물, 건강, 수명, 명예, 성격, 사고방식, 사상, 철학 등 모든 것이 각각으로 일어나고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일어나고 나타나기 때문에 복잡하다.

똑같은 업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다고 했다. 나보다 나은 사람은 복이 많은 것이고 못한 사람은 복이 적다고 보면 답이다. 인물도 성격도 부모도 형제도 부부도 모두 업보에서 이루어져서 현재에 나타나는 것이므로 불평한다고 업보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더 놀라운 것은 사주에 맞추어서 분만하는 사람도 있다. 모두가 자신이 만든 업보에 의해서 복이 있고 없고, 건강하고 못하고, 잘 살고 못 살고, 좋은 가정이고 불행한 가정이고, 태어나고 죽는 것조차 업보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어리석은 생각을 하는 것이다.

이런 것을 깨달은 석존께서는 인간의 불행을 막을 방법이 무엇일까 하고 깨닫고 찾은 것이 부처의 불력과 법체의 법력이다. 이 모두가 우주에서 일어나고 나타나는데 사람들은 이를 배우지 못하였다.

인간의 업보를 깨달은 석존께서는 이미 만들어져 나타나는 업보를 없앨 수는 없지만 잠재우는 방법이 있음을 밝혔다. 이를 법화경에서 가르치고 있는데 이를 분별하여 일념삼천의 법문으로 해설한 것은 천태대사와 묘락대사다.

이렇듯 불교는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철학이고 가르침이다. 현명한 사람은 받아들일 것이고 무지한 사람은 버릴 것이다. 이것 또한 각자의 업보에서 나온다고 했다. 




채장식

저자 : 채장식
저자 덕명 채장식은 1966년 불교에 출가 입문하였으며 40여년 법화경을 수학하고 인생의 구두심()의 법칙을 정립하였으며 불교의 사상과 철학을 근본으로 법화경 생명철학인 일념삼천의 법문에 심취하여 인간의 숙업을 밝힌 법화경 가르침에 파묻혀 육근청정의 800, 1200의 공덕이 있음을 경험하고 말법의 때에 인간에게 일어나는 오탁악세의 중생구제를 향한 석존의 가르침을 실천으로 받아 대우주 법화경 부처님 기도만으로 빙의, 신기, 신병, 정신병을 잠재우고 정확히 밝혀 천도재나 굿, 부적, 점 등 미신으로 빠지지 않도록 초혈사 재가승가원을 만들고 (HTTP://CAFE.NAVER.COM/05CHO) 생명치료희망쉼터 카페를 개설하여 각자 집에서 수행하는 말법 법화경의 홍교 홍통에 힘쓰고 있다.

부처가 신격화되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불교가 미신화된 것에 다하여 부처의 제자로써 자책하며 불교의 사상과 철학이 담긴 법화경 불도수행 기도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중생구제의 뜻을 받들어서 행학()에 전념하고 있다.

꾸준히 저술에 전념하여 고타마싣다르타의 생명치료1,2,3권과 법화경의 기본을 가르친 생명의 문을 여는 0.5초의 비밀 등을 출간하였으며 곧이어 법화경 해설의 완결판인 소설 법화경과 법화경 수행과 기도의 자세를 밝힌 운명을 만드는 사람들 시리즈도 출간 예정에 있다. 또 청소년과 청년들의 생명이 바르게 성장하도록 법화경의 정신을 알리고 있다.

빙의, 신기, 신병, 정신병에 대한 올바른 판단과 판별로 사람들이 헷갈리고 방황하지 않게 하며 특히 미신에 빠져 해결하려는 사람들에게 정확한 정답을 주며 상담으로 이해시키는 데에도 진력하고 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