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향기 ♡ 좋은글

큰 길로 걸어갑시다.

작성자하늘 바래기|작성시간24.05.07|조회수407 목록 댓글 2








큰 길로 걸어갑시다.


연암은 ‘갈 길과 요령’의 자세로 학문을 했고, 
글을 썼다고 합니다. 

다산이 조선이라는 ‘틀’에서 격물치지를 했다면
연암은 조선을 넘어 동아시아의 ‘틀’에서 갈 길과
요령을 생각했습니다. 

조선이 급변하는 동아시아의 정세를 파악하지 못하고 우물 안의
개구리처럼 정책을 세운다면 위기가 올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연암은 만주 벌판을 거닐면서 드디어
‘울음’을 터트릴 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연암의 ‘열하일기, 호질, 허생전, 양반전’은
다산의 격물치지는 아니지만
당시 동북아시아의 정세를 판단한
자신의 생각을 요령껏 기록한 것입니다. 

연암이 다산처럼 기록했다면
당시 조선의 법정에서 유죄판단을 받을 수 있고, 
자칫 죽을 수도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연암은 배고픈 이에게 물고기를 주는 것이 아닌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연암에게는 박제가, 이덕무와 같은
창조적인 문하생들이 있었습니다.

 
글을 쓸 때에 다산의 ‘격물치지’와
연암의 ‘갈 길과 요령’이 조화를
이룬다면 환상적인 작품이
나올 것 같습니다. 



그러나 다산의 격물치지를 따르며
평생 유배생활을 하기도 어렵고, 
연암의 창조적인 갈 길과 요령을
배우기도 또한 어렵습니다. 


신앙인들의 ‘격물치지’는 겸손과 인내로서
‘칠죄종’을 잘라내는 것입니다.

 더 큰 배려와 통큰 용서와 믿음과 기도로  
죄업을 멀리하고 사랑을 실천하며
내세까지 바라보며 이웃과 함께가는
큰 길을 걸어가야 합니다.


<조재형 신부님 강론중에서> 




함께 가는 길

손을 잡으면 마음까지 따뜻해집니다
누군가와 함께라면
갈 길이 아무리 멀어도 갈 수 있습니다

눈이 오고 바람 불고
날이 어두워도 갈 수 있습니다

바람 부는 들판도
지날 수 있고 위험한 강도 건널 수 있으며,
높은 산도 넘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험난한 인생길
누군가와 손잡고 걸어갑시다

[ 좋은생각 中에서]


*
칠죄종(七罪宗, septem peccata capitales),
[즉 일곱 가지 대죄:
교만, 인색, 질투, 분노, 음욕, 탐욕, 나태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단미그린비 | 작성시간 24.05.07 하늘바래기님!
    우리 손잡고
    오래오래 함께 가봐용...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하늘 바래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05.07 늘 하느님 은총 가득한
    행복한 날 되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