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향기 ♡ 감동글

영성아백(盈成我百)

작성자아상 사무사|작성시간24.03.25|조회수190 목록 댓글 1


영성아백(盈成我百) .


영성아백(盈成我百)

백을 채우기를 원했다는 뜻으로,
양 99마리를 가진 자가 양 한 마리를 더해
100마리로 채우고 싶어 했다는 말로 가진 자의 욕심을 비유하는 말이다.

盈)찰영 成)이룰성 我)나아 百)일백 백
출전 : 금루자(金樓子)
위진남북조 시대에 양(梁)나라의
원제(元帝) 소역(蕭繹)이 지은 '금루자(金樓子)'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초(楚)나라에 부자가 있었다.
그는 양(羊)을 아흔아홉 마리나 기르고 있었다.
언제나 그는 한 마리를 더해 백 마리를 채우고 싶어 했다.

그래서 그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웃 마을의 친구들을 찾아다니기도 했다.
그의 이웃에 가난해 겨우 양 한 마리를 기르고 있는 사람이 있었다.



부자가 그를 찾아가 사정을 하며 말했다.
"내가 지금 아흔아홉 마리의 양을 기르고 있는데
당신이 그 양을 나에게 준다면
나는 100마리를 채울 수 있으며, 키우기에 딱 맞는 숫자가 됩니다.”

인간의 욕심은 어디까지 인가?
인간의 물욕에 대한 욕심은 끝이 없다.
산속의 멧돼지도 칡을 나눠 먹고
들판의 소와 말도 풀을 나눠 먹는데
인간만이 과대한 욕심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도서] 두 발로 걷는 개
가진 자의 끝없는 욕심
등장하는 주요 인물이 '두 발로 걷는 개'라는 점이
눈길을 끌었던 이 책은 전래동화가 안겨주는
대부분의 교훈처럼 권선징악을 이야기하고 있다.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형은 동생을 내쫓아 버렸다.
그래도 동생은 형과 사이좋게 지내길 바랐다.
그렇게 맨몸으로 쫓겨난 동생은,
'열심히 일만 잘하면 먹고 사는데 문제 없겠지~'라고
생각하며 옆집에서 황소 두마리와 밭을 빌려서 일을 시작한다.

밭고랑을 다 갈았건만 뿌릴 씨앗이 없어 난감하던 동생...
갑자기 씨앗 바구니를 들고 나타난
'두 발로 걷는 개'가 쉬지 않고 씨앗을 뿌려주는게 아닌가!
동생은 그 개가 너무도 고마워 자신이 가지고 온 밥을 몽땅 개에게 준다.

세상에! 정말로 개가 사람처럼 두 발로 서서 다니네.
거기다 씨를 뿌리고 흙을 덮다니!
밥을 먹고 난 개와 함께 잠시 잠을 자던 동생은,
길을 지나는 비단장수들이 그 개를 쫓아달라 부탁하자,



두 발로 걸으며 씨를 뿌리는 개이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고 대답하고...
그 대답을 들은 비단장수들은 어이없어 하면서 동생과 내기를 한다.

그 말이 사실이라면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비단을 몽땅 주고,
거짓말이면 황소 두 마리를 가져가겠다고 말이다.

물론, '두 발로 걷는 개'는
다시 일어나 비단장수들 앞에서
척척 씨앗을 뿌리고 흙을 덮으며 일을 시작하고, 동생은 비단을 몽땅 얻게 된다.

이야기가 이렇게 진행되면,
이제 못된 형이 등장할 시간!
형은 동생에게 벌어진 일을 듣고
심술이 나서 '두 발로 걷는 개'를 빼앗아가 버린다.



그리고 동생과 똑같이 밭을 갈아보니
'두 발로 걷는 개'가 역시 두 발로 걸으며 씨를 뿌리고 흙을 덮는 게 아닌가!

하지만 개가 그 일을 했는데도,
못된 형은 개에게 밥 한 톨 주지 않고 자기만 혼자 밥을 먹어버린다.

이번에도 나타난 또다른 비단장수들...
비단장수들이 그 개를 쫓아버려 달라고 하자
형은 특별한 개이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고 하고,
그 말을 들은 비단장수들은 비단을 걸고 형과 내기를 하게 된다.

그런데, 동생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두 발로 걷는 개'가 네 발로 걷기만 할 뿐이다.
비단을 얻어 보려고 하다가 황소까지 잃어버린 형은 너무도 화가나서 그 개를 죽이고 만다.



개의 죽음을 알게 된 동생은
그 개를 자신의 집 뒤뜰에 묻어주었는데,
그 무덤에서 배나무가 자라서 맛있는 배가 열리고
서로 사겠다는 동네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해 들은 형은
이번에도 동생에게 와서 그 무덤을 빼앗아 자신의 집에 옮겨 놓는다.

형이 옮겨 놓은 그 무덤에서도 배나무가 자랐는데,
맛있는 배가 아닌~ 먹지 못하는
딱딱한 돌배가 잔뜩 달린 배나무에서~
돌배가 우두두 형의 머리에 떨어지는 바람에 형은 그만 죽음을 맞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아흔아홉 칸 가진 부자가
한 칸 가진 가난한 사람의 집을 빼앗아
백 칸을 채우고자 하는 것처럼,
가진 자의 욕심은 왜이렇게 끝이 없는 것일까?

두 발로 걷는 개에게 베푼 한 끼의 밥이
동생에게는 비단을 안겨주었지만,
그 한 끼조차 아까워 했던 형에게는 황소마저 뺏기게 만들었으며



나아가 죽음까지 가져왔는데,
아마도 '두 발로 걷는 개'가 죽어서
무덤에 묻혔을 때만이라도 형이
욕심을 부리지 않았다면, 죽음은 면했을테니~
지나친 욕심을 부리다 죽음까지 맞게 된 형의 이야기는,

'흥부와 놀부'의 놀부처럼 마음을
고쳐먹지도 못해서 더욱 안타깝다.
물론, 이 책은 형제우애에 관한 교훈도 얻을 수 있다.

그치만 악한 마음을 가진 자에겐 징계를,
착한 마음을 가진 자에겐 복이 온다는
권선징악적 요소가 훨씬 강하다고 해야겠다.

-옮긴 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추억여행 | 작성시간 24.03.26 감사합니다 굿밤되세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