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 3학년 사설모의고사 모음(국어)-1(3월 중앙 대성 종로).hwp
[2016] 3학년 사설 모의고사 모음(국어)
1. 2016 3월 대성 국어 /
[1~5] 화법
[6~10] 작문
[11~15] 문법
[16~19] 고대 그리스 시대의 윤리
[20~23] 이준구, ‘관세’
[24~26] 김봉렬, ‘전통 건축의 공간 전이’
[27~30] 반기성, ‘뇌우구름이란 무엇인가?’
[31~33] 황석영, ‘삼포 가는 길’
[34~36] 오영진, ‘살아 있는 이중생 각하’
[37~39] 작자 미상, ‘왕경룡전’
[40~42] 윤선도, ‘만흥(漫興)’ / 정훈, ‘탄궁가(歎窮歌)’
[43~45] 박목월, ‘이별가’ / 최승호, ‘북어’
정답 및 해설(2016 3월 대성 국어)
2. 2016 3월 중앙 국어 /
[1~5] 화법
[6~10] 작문
[11~15] 문법
[16~18] (과학) 「생태계의 가위바위보」
[19~21] (인문) 「맹자의 '부동심'」
[22~23] (예술) 「숭고미에 대한 다양한 관점」
[24~27] (사회) 「퍼블리시티의 개념과 특징」
[28~30] (기술) 「연료 전지의 구조와 원리」
[31~33] 허난설헌, 「규원가(閨怨歌)」 / 윤선도, 「견회요(遣懷謠)」
[34~36] 작자 미상, 「임진록(壬辰錄)
[37~39]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 김수영, 「파밭 가에서」
[40~42] 염상섭, 「삼대」
[43~45] 이근삼, 「아벨만의 재판」
정답 및 해설(2016 3월 중앙 국어)-
2016 3월 종로 국어
[1~5] 화법
[6~10] 작문
[11~15] 문법
[16~18] (인문) 한영우, ‘역사라는 말의 이유’
[19~20] (과학) 김충섭, ‘양력은 어떻게 발생하나?’
[21~24] (사회) 손석춘, ‘참여 민주주의 미래’
[24~27] (기술) 과학동아,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
[28~30] (예술) 김광선, ‘디오니소스 제전에서 뮤지컬까지’
[31~33] (고전 소설) 작자 미상, ‘전우치전’
[34~36] (현대시)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 정희성, ‘저 문 강에 삽을 씻고’
[37~39] (현대 소설) 김소진, ‘쥐잡기’
[40~42] (고전 시가) 작자 미상의 사설 시조 / 정철, ‘속미 인곡’
[43~45] (극 문학) 천승세, ‘봇물은 터졌어라우’
정답 및 해설(2016 3월 종로 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