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운의 명리터’의 ‘연봉보기’ 게시판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서 설명해 보기로 한다.
‘연봉보기’에서는 오행을 사람의 씀씀이 습관으로 이원화시켜 해석하였다. 오행으로 생활형 인간과 여가형 인간으로 구분하고 이를 기초로 각 개인의 연봉 수준을 가늠하는 해석법이다.
먼저 생활비로 소비하는 유형의 상생상극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土는 생활비를 의미한다. 일단 土가 왕하면 엥겔지수가 높아진다는 해석이 된다.
火로 생활비를 벌어서 金이 소비하는 형태이다. 金이 약하면 생활비는 많이 버는 데 생활비 지출은 상대적으로 적다는 해석이 된다. 돈벌이 하느라 사는 게 무척 바쁘다는 말도 된다.
火가 약하면 벌이는 적은데 생활비가 많이 나간다는 해석이 된다.
土와 金이 모두 약하면 가난한 형상이다. 돈을 많이 버는 데도 생활비로 소비하고 남는 게 없다. 화극금 형상이다. 土가 약한데 金이 강한 경우는 土가 설되는 형상으로 바뀐다. 생활비가 필요이상으로 많이 나간다는 말이다.
다음은 여가비로 즐기는 유형의 상생상극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水는 여윳돈을 의미한다. 일단 수가 왕하면 펑펑 쓸 자격이 있다는 해석이 된다.
金로 여윳돈을 마련해서 木이 즐기는 형태이다. 木이 약하면 여윳돈 마련은 많이 하는 데 여가비 지출은 상대적으로 적다는 해석이 된다. 여가를 즐길 생각은 있지만 실행하지는 잘 못한다는 말도 된다.
金가 약하면 여윳돈 마련은 많이 못 하는 데도 돈 쓰려는 많이 나간다는 해석이 된다. 돈 없어도 논다는 말도 된다.
水와 木이 모두 약하면 이 또한 가난한 형상이다. 많이 버는 데도 생활비로 소비하고 남는 게 없다. 금극목 형상이다.
--- (3)에서 계속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