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국경 재정학 질문방

IS-LM-BP의 금융수지, 스톨퍼-사무엘슨 정리 질문드립니다.

작성자김말이|작성시간21.03.23|조회수173 목록 댓글 1

마인드로 공부하는데 이해 안되는 내용 질문드립니다.

첫번째, IS-LM-BP 고정환율제, 완전한 자본이동에서 국제수지 균형 문제인데요, 좀 길어서 캡쳐본으로 올리겠습니다. 제 질문은 재정정책에서 제가 아래 달아놓은 논리가 맞는지, 통화정책에서는 금융수지 적자만 발생하는 것 같은데 어떻게 최종적으로 BP선상에 균형이 위치하게 되는지?(경상수지 흑자는 어디서 발생하는 것인지?) 입니다.

두번째, 헥셔올린 가정 하에서 스토퍼-사무엘슨 정리에 관한 내용입니다.
SS정리가 상대가격이 상승한 재화에 집약적으로 투입되는 요소에 대한 보수가 절대적, 상대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인데
X재가 노동집약재, Px/Py 가 상승한 상황을 가정할 때 X, Y재 모두에서 K/L 비율이 증가하므로 W/Px=MPLx, W/Py=MPLy 가 상승하기에 상대적 요소 보수가 증가하는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W=Px * MPLx, W=Py * MPLy 가 절대보수인데, 상대가격은 상승했지만 Py가 Px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하락해서 절대가격이 하락한 경우에 절대적 요소 보수는 감소할 수도 있지 않나요?



좋은 책과 강의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economind | 작성시간 21.03.24 1. BP 위에 있으면 자본수지는 0이라고 합니다만 사실 경상수지는 반드시 0이 아니어도 된다고 해요. 보통은 0임을 가정하지만 만약 변화를 묻는다면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IS위의 각 균형의 변화들을 고려하여 최종판단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위의 논리는 맞습니다. 아래의 논리도 문제가 없어요. 마음에 걸리는 것은 '태화정책' 언급이 전혀 없어서 안적은 것인지 모르는 것인지 저도 모르겠어요. 아래 그래프에서는 경상수지가 흑자가 되나요? 어디 나온 내용이지요?

    2. 당연히 둘 다 가격이 변화하는 경우는 절대적으로 같이 오를수도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정의상 문장이 약간 애매하게 느껴질수는 있으나 일단 둘 중 하나의 가격은 불변임을 가정하여 활용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