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현과 만명부인
김성문
김서현은 신라에서 공을 세운 장군이다. 김서현의 아버지는 금관가야 마지막 왕인 양왕의 둘째 왕자 김무력 장군이고 아들은 김유신 장군이다. 장군은 나라와 백성을 지켜야 한다는 사명감에 살았다. 금관가야 후예로서 신라를 위해 목숨 바친 김서현과 그의 부인 만명을 양산 취서사에 있는 영정각에서 만났다.
김서현은 그의 아들 김유신(흥무대왕)의 비석에 보면 아버지는 소판 김소연(金逍衍)이라고 했다. 소연(逍衍)이 그의 자(字)인지, 아니면 서현(舒玄)이 고친 이름인지 알 수 없다. 『삼국사기』 「김유신 상」 편에 따르면, 김서현은 길에서 갈문왕 입종(立宗)의 아들인 숙흘종(肅訖宗)의 딸 만명(萬明)을 보자 첫눈에 반했다. 만명도 혼처를 정한 곳이 없었다. 숙흘종은 신라 제24대 진흥왕의 동생이다. 그 후 김서현이 현재 충북 진천군인 만노군(萬弩郡) 태수(太守)로 가게 되었다. 만명이 함께 떠나려 하자 숙흘종은 비로소 김서현과 딸이 사귄 것을 알았다. 숙흘종은 만명을 별채에 가두어 사람을 시켜 지키게 했다. 그러나 갑자기 별채의 문에 벼락이 떨어져 구멍이 뚫렸다. 지키는 사람들은 깜짝 놀라 흩어졌다. 만명으로 봐서는 기회였다. 만명은 그 구멍으로 황급히 빠져나가 김서현과 함께 만노군으로 달아났다는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은 김서현과 만명의 사랑 이야기를 볼 때, 두 사람은 용감했다. 운명이 아니었던가 싶다. 신라 왕실의 숙흘종이 자기 딸과 김서현의 혼인을 반대한 이유는 김서현이 진골의 신분이기는 해도 가야계였기 때문이다. 김서현도 신라는 골품제 간 혼인이므로 공식적인 절차를 밟아서는 신라계 진골과 혼인할 수 없었기에 길거리에서 만명을 보자 마음이 통했다.
『화랑세기』에 의하면, 김서현은 화랑에 들어가 화랑 조직의 네 번째 지위인 전방화랑을 거쳐, 세 번째 지위인 우방대화랑이 되었다. 이후 28세 때인 591년에는 풍월주 바로 아래 지위인 부제(副弟)가 되었다. 부제는 대체로 풍월주의 지위를 계승한다. 그러나 김서현은 풍월주가 되었다는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풍월주는 되지 못한 것으로 짐작이 간다.
만명의 어머니인 만호부인은 김서현의 어머니인 아양 공주와 사이가 좋지 않아 만명이 김서현과 관계 맺는 것을 싫어했다. 특히 김서현과는 계통이 달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 결과 화랑 조직에 영향력을 가진 만호부인은 김서현을 부제 자리에서 물러나게 했다. 집안 간의 좋지 않은 관계로 자녀가 피해를 보거나 혼인을 못 하는 경우는 예나 지금이나 대동소이하다.
김서현은 신라 진흥왕이 설치한 현재 경남 합천의 대량주 도독이 되어 백제 방어에서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그 후 대량주 도독은 김춘추의 사위인 김품석(金品釋)이 등장한다. 그는 대량주를 642년 백제에 빼앗기면서 부인과 함께 죽임을 당했다. 648년 김유신 장군에 의해 대량주를 탈환하면서 김품석 부부의 유해도 찾았다. 김품석이 대량주 도독이 되기 전 어느 시점에 김서현은 현재 경남 양산의 양주 총관이 된 것으로 파악 된다. 언제 총관이 되었는지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양산 총관일 때 여러 차례 백제가 신라를 기습적으로 공격하자 그 기세를 꺾어 영토를 침범하지 못하게 했다. 이에 따라 신라 변방의 백성은 농사와 양잠의 일을 편안히 하였다고 『삼국사기』 에 기록하고 있다.
629년 김서현이 66세가 되었을 때 신라 제26대 진평왕은 김용춘과 함께 대장군으로 명하여 현재 충북 청주 지역에 있었던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격하게 했다. 수많은 고구려 군사를 참살하고 성을 함락하는 전과를 올린 후 김서현은 역사 기록에서 보이지 않는다. 낭비성 전투에서 신라 제25대 진지왕계를 대표하던 김용춘과 가야계를 대표하던 김서현이 대장군으로서 함께 참가한 사실은 두 가문의 정치적 결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전투의 승리로 양자가 친교를 맺어 두 가문이 결합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군사적으로 확고한 입지를 다지게 되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밑바탕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양산 취서사(鷲棲祠)와 울산 은월사(隱月祠)에는 김무력 장군과 김서현 장군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취서사에는 김서현과 만명부인의 영정을 봉안한 영정각이 취서사 사당 바로 옆에 있다. 영정각 안에는 바라보아 왼편에 대도독 김서현지상(大都督金舒玄之像)이 있고, 오른편에 소판부인 만명지상(蘇判夫人萬明之像)이 있다. 취서사와 은월사에는 후손들이 매년 음력 9월에 제향을 올린다. 취서사 영정각에 있는 김서현과 만명부인 영정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한다. 영정의 크기는 부부 각각 가로 56.1cm, 세로 78.3cm이다. 이 영정은 원래 경상남도 양산시 신기리 신기북정고분군중 제10호분인 양산 부부총 인근에 있는 존영각(尊影閣)에 보존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1959년 사라호 태풍으로 사당이 훼손되었고, 한 무속인이 이들 영정을 수습했다. 그 후 가락양산시총친회에서 회수하여 진품은 양산시립박물관에 보관하고 사본을 취서사 영정각에 봉안했다.
김서현의 관등은 3관등인 소판(蘇判)을 거쳐 1관등인 각간(角干)까지 이르렀다. 관직은 만노군 태수를 거쳐 대량주 도독이었다. 특별 관직으로 대량주(합천) 백성의 사정을 살펴서 어루만져 위로하는 것을 총괄하는 안무대량주 제군사(按撫大梁州諸軍事)가 되었다. 그 후 양주 총관을 거쳐 66세에 대장군(大將軍)에 이르렀다. 김서현은 564년에 출생했고 사망은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현재 김서현의 무덤은 양산시 북정리고분군에 있는 부부총으로 추정하며, 1963년 사적 93호로 지정되었다.
김서현 장군은 가야계와 신라계라는 틈바구니 속에서 30세 경에 혼인했다. 595년에 만명부인은 만노군에서 김유신을 낳았다. 만노군은 지금의 진천군이다. 그 후로 만명부인은 2남 흠순, 1녀 보희, 2녀 문희, 3녀 정희를 낳았다. 김서현 부부는 김유신과 김흠순 장군, 문명왕후 등 자녀들을 훌륭하게 키웠다. 신라 변방에서 나라를 위해서 큰 공도 세웠다. 부부는 서로가 사랑하면서 힘을 합칠 때 큰일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김서현 장군과 만명부인이 있는 영정각 문을 살며시 닫는다.
김서현 장군과 만명 부인 영정, 촬영: 2018.8.2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