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일반수필

분꽃

작성자김희자|작성시간11.08.24|조회수62 목록 댓글 5

 

분꽃 / 박규환




늦여름에서 늦가을에 이르도록 분꽃들은 핀다. 제법 화단에 어엿한 자리를 차지할만치 그 지체가 높을 것도 없어서 분꽃은 하냥 장독대의 가장자리거나 아니면 담벼랑 아래 남몰래 자란다.
그러나 그 척박한 토양이 그 성장과는 상관이 없는 듯 잡초처럼 건장해서 노동에 시달린 늙은 아낙네의 손가락처럼 튀어나온 마디마디에서 뻗은 가지들이 아늑한 소나무처럼 적은 땅을 덮고 좁은 하늘을 가리우면 거기 빨갛고 노란 화변들이 밤하늘 별처럼 피어나는 꽃, 그러나 아무도 귀히 여기지도 않는 가련한 꽃, 그게 바로 분꽃인 것이다.
피기를 가을에 피니까 가을꽃의 족속임에는 틀림이 없으련만 가을꽃을 헤아리는 선비의 머리속에 냉큼 떠오르지도 않는, 하찮은 초화에 지나지 않다. 그라디오러스니 칸나니 나중엔 사루비아까지, 그 빛깔의 처절이 불볕나는 가을 하늘 아래 조화를 이루워 가을 꽃 하면은 저희들이냥 생각할테지만 저녁 건들마에 지천으로 피었다. 아침 햇볕에 시들어 버리는 계절감에다 그 조화가 어찌 앞에 꽃들에 비겨 뒤질가보랴! 오후 네시가 되면 일제히 하늘을 향해 귀대(歸隊)의 나팔을 불기 위해 분꽃은 아침나절부터 말없이 봉우리를 키운다. 아침 아홉시 쯤의 분꽃 봉우리는 선비의 휴대용 모필(毛筆)처럼 작고 가늘어서 저게 어느새 크게 부풀어 오후 네시의 나팔을 불게 될 것인가 시답잖은 생각이 들지만 어느새 피어야 될 시각이면 어김없이 부풀고 터져서 일제히 나팔을 불어대는 것이다. 따아리아의 농염과 코스모스의 잎새와 줄기에 묻혀 화로 속의 콩이 튀듯 피어나는 오후 네시의 기적에는 그저 놀라움이 앞선다.
지난 봄의 일, 마당가의 손바닥만한 화단에 잡초를 뽑다말고 거기 자생한 분꽃의 어린 싹을 하마트면 뽑아 버릴 뻔 했는데 어릴 때의 일을 생각하고 그대로 두었던 것이 늦봄에서 여름을 나는 동안 방석을 덮어 쓴 소나무처럼 건강히 자라서는 늦여름부터 늦가을까지 밤하늘까지 밤하늘에 뿌려진 별가루 처럼 피었다가 지고 또 감았다 다시 뜨는 눈인양 밤과 낮 세월을 재는동안 가을은 초부(樵夫)가 갈대밭을 걸어들 듯 처음엔 허리께였던 것이 다음엔 가슴께, 그리고, 이젠 머리만 보일락 말락 깊을대로 깊었다.
분꽃이 눈 뜨는 게 사람의 잠자는 시간과 상반(相反)됨은 별을 흉내고자 함일지도 모른다.
만뢰 잠들어 보아주는 사람 없는데 밤하늘의 별과 뜰 아래 분꽃들은 서로 다정해 밀담을 나누다가 아침해와 함께 잠시 갈라져 다시 오는 밤을 기약하는 것일까? 별은 하늘의 꽃, 분꽃은 땅위의 별, 아니 어느 것이 별이고 어느 것이 꽃이랴! 별과 꽃이 하나이지 둘이 아님은 이미 태초의 약속임에 지나지 않다.
분꽃은 잠자는 시간이 사람과 다르듯 삶의 취향이 또한 다르다 반도의 백의가 칠레와 브라질과 알젠친을 찾아 건 거기전, 내 할 아버지가 어렸을 적에 이 땅의 잡초 속에 뿌리를 내렸으니 저 넓고 푸른 바다를 무슨 소로 건너왔을까? 그 씨앗이 검은 콩이나 다를 바 없어 스페인 해적의 옷깃에 묻어왔을 코스모스의 씨앗처럼 부침성이 없고 관모를 단 민들레의 씨앗이 아니어서 바람이 어찌 예까지 날라다 주었으랴! 멕시코에 사신 다녀온 문익점이 있었단 아야길 듣지 못했는데, 그런데도 그 콩의 분가루가 얼굴에 희 얼룩을 남겼을 아련히 먼 옛날의 이미 이곳에 이주해 왔음이 분명한데 혹시나 가을 밤 별과의 소요(逍遙)길이 잘못 여기서 날이 밝자 돌아가지 못한 채 그냥 이곳에 영주의 차비를 마련했을지도 모를일이다.
어렸을 적, 장독대에 깔린 모양새 예쁜 돌을 줍다가 거기 가장자리에 서있는 분꽃의 꽃나발을 뽑으면 花 를 남긴채 뽑혀나오는데 이건 어린 입술에도 불기엔 너무 작은 나팔이었다.주은 돌을 절굿대로 꽃을 모아 짓이겨 빨간 꽃도 노란꽃도 분홍꽃도 다같이 검은 떡이 되던것이 이상했다. 우리는 떡을 나누는 소꿉놀이로 선린(善隣)의 정을 두텁게 했었다.
꽃이 시들고 사흘 쯤 지나면 시들은 꽃밑에서 파란콩이 도드라지는데 처음엔 파란 콩이지만 차차 검은 줄무늬가 일고 내중은 칠흑의 검은 콩이 되는데 만지면 손끝을 간지럽히는 얽은 콩이다.
우리는 이 검은 열매를 따서 빈 성냥갑에 가득히 담아서 햇볕에 말렸다가 다음날 검은 겉 껍질을 벗기면 엷은 속 껍질 속의 고형의 분덩어리인데 갈면 분가루가 되고 이걸 소꿉놀이 소녀의 얼굴에 발라놓고 모두 웃고 떠들며 좋아라 했었다. 당시 유일한 화장품이던 박가분 요즘 유행하는 정제의 아스피린 방사한게 여섯알들이 한 곽이었는데 이것 혹시 이 분꽃 열매가 원료는 아니었을까? 하긴 밀가루도 열매에서 나오는 가루이긴 다를바 없지만......이웃집 힘이 황소 같다던 대동정센, 저희 어머니 시집올 때 두엄자리에서 닭을 뜯었다고 우겨대서 웃음거리가 되었다던 그 대동정센, 지독한 근시여서 무엇이거나 눈앞 한치 앞에 가져다대고 찡그리고 보고 나서야 알아보던 그, 무명 베인지 삼베인지 만져만 보아도 알고도 남을 것을 바짝 눈앞에 들이대고서야 겨우 알아내던 그 대동정센, 그의 딸 윤임이는 나의 소꼽놀이 친구였지만 그 옛 친구와 헤어진 지도 60년이 가깝다. 시집 갈 때를 겨냥하고 이 분꽃 열매를 열심히 곽 속에 따모았던 윤임이, 지금은 어디서 사는 노파일까, 혹은 이미 땅속에 묻혔을까? 내 기억의 눈엔 아직도 소녀일 뿐인데.......
우리 집 뜰엔 한떨기 분꽃나무. 이른 봄에 뽑아 없앤던들 나에게 추억의 계절이라 하여 이러한 옛 생각이 부질없지 않고 소슬한 갈바람 속, 분꽃에 묻어오는 철없던 시절이 회소(回蘇)로만도 과시 분꽃은 아름다운 가을 꽃임에 틀림없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정애선 | 작성시간 11.08.24 오후 네시에 피어나 밤새도록 별들과 밀담을 나누는 분꽃이 야화였군요.
    고향 다랭이 마을의 분꽃인가요?
  • 답댓글 작성자김희자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1.08.24 네, 고향에서 산책을 하다가 담아온 분꽃입니다. 하도 예뻐서 분꽃이라는 수필을 찾아보았더니 박규환 선생님의 글이 있대요. 그래서 올려보았습니다. 이 글로 분꽃에 대한 것도 더 알게 되고 추억도 떠올려보았습니다. ^^
  • 작성자김경순 | 작성시간 11.08.25 예전 우리 고향 마을에도 분꽃이 참 흐드러지게 피곤 했는데... 너무 잊고 사는 옛시절입니다.
    김희자선배님은 고향을 멋진데 두어서 좋겠어요. 정말 정말 부러워요.^^
  • 작성자장수영 | 작성시간 11.08.24 우리집 화단에 지천으로 핀 분꽃 옆에 개량채송화가 함께 하는데,
    꽃이 서로 번갈아가며 피네요.
    채송화가 질때면 분꽃이 그제사 피더라구요.
    아주 게으름 뱅이예요
  • 작성자박명순 | 작성시간 11.08.25 어린 시절 고향집 화단에 해마다 피던 분꽃을 오랜만에 실컷 보았습니다. 박규환님의 글과 잘 어울리는
    그림입니다.참 예쁘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