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피겨상식

[펌]아이스댄스 리프트1(지금 필요한건 뭐?ㅎ)

작성자바다에비친여나|작성시간11.06.07|조회수442 목록 댓글 2

우선 '검색'후에 질문 부탁드립니다. (중복글은 무통보삭제됨)

 

 링크 : http://gall.dcinside.com/list.php?id=figureskating&no=1179935&page=1&recommend=1&recommend=1&bbs=

          kk 님 IP Address : 222.112.***.*** 2011-06-06 19:27:24

 

아이스댄스 리프트

원래 오늘은 스몰 점프에 대해서 정리해볼려고 하는데 키스앤크라이로 아댄에 대한 관심이 좀 높아지는 것 같아서 리프트에 대해 아는 것만 간략하게 정리해봤어. 페어 리프트도 그룹 1, 2 뭐시기 하며 있긴 하나 페어에 대해선 내가 거의 문외한이므로 이건 페어 고수횽들이 해줬음 좋겠네ㅋ

암튼 아댄 리프트에 들어가기에 앞서, 아댄 리프트와 페어 리프트의 가장 큰 차이는 아댄은 파트너(주로 여 선수지. 남 선수여도 상관 없음.)를 머리 위로 들 수 없어. 그리고 페어에서는 아댄 같은 리프트는 전부 필수 요소가 아닌 안무 처리가 됨.(점수에 영향이 없다는 이야기) 리프트 되는 사람이 리프트 하는 사람 머리 위에 앉거나 누울 수 없고(생각만 해도 끔찍하지 -_-;) 리프트 하는 사람의 어깨나 등에 앉거나 서 있을 수 없음. 또한 리프트 되는 사람이 거꾸로 되어서 다리를 스플릿 자세로 할 수도 없어.(리프트 되는 사람이 리프트 도중 자세를 바꿀 때 잠시 스플릿 자세가 되는건 허락됨)  그 외 아댄 리프트에 대한 규제가 좀 있는데 이건 좀 있다가 설명하기로 하고.


아댄 리프트는 크게 두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는데 쇼트 리프트 short lift와 롱 리프트 long lift야.
말 그대로 쇼트 리프트는 짧은 리프트이고 롱 리프트는 긴 리프트인데 각각 제한 시간이 6초, 12초지. 이 제한 시간이 아주 중요한데 제한 시간을 넘겨버리면 디덕션이 1점이 붙어버려. 크게 넘어지지 않는 한 감점 요인이 별로 없는 아댄 경기를 생각해 볼 때 이 디덕션 1점은 매우 크지. 상위권으로 올라가면 이 점수 때문에 골치 아파질 때도 있어.

그럼 각각 쇼트 리프트와 롱 리프트에 들어가는 리프트를 살펴보자.
들어가기에 앞서 리프트 명명법을 알아야 하는데 기본 적으로 아댄 리프트를 명명하는 방법은 간단해. 리프트 하는 선수의 발의 궤적에 따라 이름이 붙여져.



쇼트 리프트 short lift

1. 스테이셔너리 리프트 stationary lift

<페샬라/부르자의 스테이셔너리 리프트>
리프트 하는 선수가 한 자리에 정지해 있는 리프트. 플짤의 부르자가 돌고 있기는 하나 위치는 한 곳에 정지해 있으므로 스테이셔너리 리프트가 된다.

2. 직선 리프트 straightline lift

<돔니나/샤발린의 직선 리프트>
리프트 하는 선수가 직선으로 빙판을 가로 지르는 리프트. 매우 시원하고 드라마틱한 리프트라서 하이라이트에 많이 볼 수 있는 리프트.

3. 커브 리프트 curve lift

<벨빈/아고스토의 커브 리프트. 개인적으로 커브 리프트를 좋아하는데 벨아의 이 OD에서의 커브 리프트는 특히 인상에 오래 남더라>
리프트 하는 선수가 커브로 이동하는 리프트. 보통 리프트 하는 선수가 스프레드 이글이나 하이드로블레이딩을 하는 경우가 많음.

4. 회전 리프트 rotational lift

<버츄/모이어의 로테이셔널 리프트. 이 때 GOE +3점 만점을 받았던 걸로 기억함. 버모 로테 리프트는 레알임.>
리프트 하는 선수가 몇바퀴 회전하면서 이동. 중요한건 한 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traveling을 해야함.



롱 리프트 long lift
롱 리프트는 간단하게 쇼트 리프트를 합친 거라고 생각하면 쉬움. FD에서만 볼 수 있다.

1. 서펀틴 리프트 serpentine lift

<버츄/모이어의 서펀틴 리프트. 모이어가 S자를 그리며 계속 움직이고 있다.>
리프트 하는 선수가 크게 S자를 그리며 이동하는 리프트. 보통 커브 리프트 두 개를 합치는데 버모는 약간 특이해서 가져와봤어.

2. 역회전 리프트 reverse rotational lift

<돔니나/샤발린의 역회전 리프트. 역회전 리프트 하던 팀이 이 팀 밖에 기억이 안 나서 가져왔긴 했는데 샤발린 무릎이 많이 부실하네여..-_->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리프트. 로테 리프트 두 개 합친거라고 보면 된다.

3. 컴비네이셔널 리프트 combinational lift

<델로벨/쇤펠더의 컴비네이셔널 리프트. 직선 리프트와 로테이셔널 리프트를 합쳤다>
말 그대로 쇼트 리프트를 조합한 리프트



리프트 하는 선수의 발 밑 궤적이 리프트의 이름을 결정하는 거라면 리프트 되는 선수의 자세는 레벨 업 조건에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됨.
레벨 업 조건도 복잡하고 시즌마다 바뀌는터라 자세하게 설명하긴 어렵고(물론 쓰고 있는 나도 자세히는 모름 ㅋㅋ) 보통 어려운 도입, 리프트 되는 선수의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어려운 자세, 자세 변화, 리프트 하는 선수의 발 밑 트랜지션(이글이나 원 풋 글라이딩 같은 거), 어려운 release 이런 것들이 레벨 업 조건이 돼. GOE 차이는 크게 없기 때문에 레벨이 점수의 큰 관건이 되어서 다들 그렇게 등타고 목 감고 그러는거임. 요즘 아댄 리프트 하는거 보면 선수들 안 쓰러워 죽겠음ㅇㅇ




Trans+Lift

0809시즌 부터 아댄 프로토콜에 저런 기호가 나타났지. 이 시즌 부터 리프트 수를 대폭 줄이면서 안무로 들어가는 규정 외 리프트를 허락하게 되었어.
프로토콜에 이렇게 표기 된 것은 점수에는 들어가지 않는 리프트야. 아댄의 creativity를 장려하는 차원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궤적도 선수 마음대로지만 제한 시간은 있음. 물론 이것도 하는 횟수는 룰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이상 하게 되면 감점 됨.


<버츄/모이어의 0910시즌 FD 마지막 Trans+Lift. 정확히는 Trans+Spin, Trans+Lift인데 스핀을 한 두 바퀴 하다가 테사가 발을 떼면서 리프트가 된다. 음악과 절묘하게 어우러진 트랜지션 리프트>



Trnas lift도 나오고 뭐가 꽤 복잡해 보이는데 아댄의 리프트 규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저런 규정이 많이 나오는거야. 아댄 리프트에서 중요한 것은 한 파트너의 두 발이 링크에서 떨어진채로 다른 파트너에 지지가 되면 잠깐이라도 리프트로 인정 된다는 거. 이렇게 되면 규정 외 리프트가 되어서 대대적으로 점수 상에 엄청난 손해를 보게 돼. 왜냐하면 필수 리프트 개수는 프로그램 시작하고 처음 부터 하나 둘 씩 세어가기 때문. 예를 들자면 필수 리프트가 3개인데 2개를 하고 3개 되기 전에 실수로 리프트를 해버리면 실수로 한 리프트가 3개로 계산 되고 원래 계획 했던 리프트는 규정 외 리프트가 되어버림. 규정 외 리프트는 감점 대상이 되고.

예전 0708시즌에 돔샤가 이 것 때문에 8점을 그냥 감정당한 일이 있었어. 샤발린이 스핀을 할 때 실수로 돔니나를 리프트 하는 바람에 이것이 리프트 처리 되면서 8점이 그냥 깎여버려 벨아에게 금메달을 내줘야 했지.


<그 때 상황을 설명해주는 espn영상. 이스픈이 이런 룰이나 기술 설명을 잘해줘서 참 좋았는데.. 이스픈을 돌려주...>


참고로 1~2초간 파트너에게 기대지 않고 살짝 손만 대는 식의 무브먼트는 리프트로 되지 않아.


즉, 이런건 리프트가 아님요ㅋ
---------------------------------------------------------------------

 

키스 앤 크라이 시청에 꼭 필요한 공부 아닌감요 ㅎㅎㅎ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새천 | 작성시간 11.06.07 최고네요 ㅎㅎㅎ 글쓴이가 존경스럽고 퍼와주셔서 감사~ ㅋㅋ_ㅋㅋ
  • 답댓글 작성자바다에비친여나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1.06.08 피갤엔 고수들이 많다는요....ㅎㅎ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