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버섯 이야기

흰우단 버섯

작성자이창환|작성시간10.09.06|조회수272 목록 댓글 0

 

목명

주름버섯목

과명

송이과

속명

흰우단버섯속

학명

Leucopaxillus giganteus (Sow. ex Fr.) Sing

한글

흰우단버섯

분포지역

한국, 동아시아, 유럽, 북미, 북반구온대

서식지역

여름과 가을에 공원, 잔디밭, 산림, 대나무숲, 혼합림내, 특히 삼나무 숲의 땽 위에 단생 또는 군생

갓의형태

55-241㎜, 초기에 반반구형, 갓끝은 초기에 안쪽으로 말려 있으나, 성장하면 갓끝이 점차 펴지며, 중앙오목 편평형-깔대기형

갓의 색 및 특징

표면은 백색-옅은 황백색, 미세한 견사상모가 있으나 성장하면 평활. 조직은 두꺼우며, 육질형, 치밀하며, 백색. 약간 밀가루 냄새가 나며, 맛은 약간 쓰거나 불분명하다

주름살

대에 내린 주름살, 빽빽하고, 폭이 좁으며, 담황색, 주름살날은 평활, 종종 파상의 굴곡이 있다

54-148×12-38㎜ 원통형, 상하 굵기가 비슷하나, 종종 대기부가 팽대하여 있다. 표면은 미세한 모가 있거나 평활, 백색-옅은 황색, 가운데 속이 차 있다

포자

① 포자는 6.5-7.3×3.6-4.5㎛, 타원형, 표면은 평활, 멜저용액 반응에 아밀로이드
② 담자기는 29.5-33.7×5.3-6.6㎛, 원통상곤봉형, 4-포자형, 기부에 협구가 있다.
③ 시스티디아는 없다.
④ 갓표피상층은 균사폭이 3.2-6.6 ㎛인 평행균사로 구성, 균사에 격막에 협구가 있다

포자문

백색

식용여부

식용버섯

기타

흰우단버섯은 자실체가 대형이고, 백색이며, 주름살은 대에 내린 주름살이란 점에서 특징적이다. 포자의 표면이 평활한 L. septentrionalis Sing. & A.H.Smith는 자실체가 대형이고, 전체가 옅은 황색을 띠며, 냄새가 강하고, 포자는 광타원형이란 점에서 다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