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Q&A 게시판

책임운영기관 관련 질문입니다.

작성자재구리|작성시간22.06.09|조회수110 목록 댓글 1

예비순환 수강중인 학생입니다.
책임운영기관이 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조직구조"가 맞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제 생각에는 책임운영기관"제도" 자체를 관료제조직을 대체하는 새로운 조직구조로 간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예를들어 책임운영기관에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중앙극장, 국립재활원, 해양경찰정비창,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와 같은 기관 등이 있다고 할때, 각 기관의 구조는 여전히 관료제구조를 사용하고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료제를 대체하여 자율성과 신뢰를 강조하는 새로운 구조로 제시되기 어려울 듯 하는데, 혹시 제가 잘 이해하고 있는가 여쭙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박경효 | 작성시간 22.06.15 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구조라 할 때 여기서의 관료제는 중앙부처라는 대규모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즉, 중앙부처가 결정과 집행을 동시에 수행하는 규모가 크고 복잡한 조직인데, 그 집행기능의 일부를(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책임운영기관으로 이양하는거죠. 그리고 학생의 생각한 책임운영기관 자체를 보더라도 중앙부처와 같은 대규모의 관료제적 특성보다는 계층 수나 업무분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죠.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