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육신의 병

정형외과 의사의 위험한 고백 " 디스크나 척추협착증이라는 것은 없다? "

작성자가온 고재섭|작성시간15.12.09|조회수4,461 목록 댓글 1

정형외과 의사의 위험한 고백 " 디스크나 척추협착증이라는 것은 없다? "

40
인천메디컬케어 이웃추가 | 2015.12.07. 09:58
 앱으로 보기 

 


" 디스크나 척추협착증이라는 것은 없다? "


디스크나 협착증은 없다고 말하는 정형외과 의사인 황윤권 원장은 그 이유를 해부학적, 신경학적 측면에서 설명한다.

모두들 한번 깊이있게 생각해 볼 문제이다.


첫째, 

디스크나 협착증 수술 시 수술 시야에서 보는 척추신경은 ‘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을 설명할 때 척추 속에서 튀어나온 디스크나 좁아진(=협착) 척추관이 척추신경을 눌러서 생기는 병이라고 말한다.


황윤권 원장은 “의사들의 설명대로라면 심각하게 척추신경이 ‘눌려져’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 디스크나 협착증 수술을 할 때 수술 시야에서 보는 척추신경은 ‘눌려져’ 있지 않고 멀쩡하게 잘 있다.”고 말한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에서 신경이 눌려서 손가락이 저리고 무감각해지는 병이다. 실제로 수술 시야에서 보면 손목의 정중신경이 눌려 위축돼 납작해진 소견을 쉽게 볼 수 있다고 한다.


황윤권 원장은 “무언가가 신경을 누른다면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이 눌려서 생겨난 신경의 변형을 보여줘야 하는데 척추신경은 눌려져 있지 않고 멀쩡하게 잘 있다.”고 말한다.


둘째, 

상대적으로 물렁물렁한 척추디스크나 오랜 세월에 걸쳐서 조금씩 좁아져 온 척추관이 마치 딱딱하고 뾰족한 물체처럼 척추신경을 눌러댈 수는 없다.


황윤권 원장은 “척추신경은 말초신경이긴 하지만 중추신경 가까이 있어 중추신경처럼 잘 보호되어 있기에 물렁물렁한 디스크나 완만하게 좁아진 척추관이 쉽게 누를 수 없게 돼 있다.”고 말한다.


구체적으로 척추신경은 연막, 지주막, 경막의 세 겹의 막으로 싸여있고, 막 사이에는 뇌척수액이 완충작용을 하며, 지방조직 등으로 보호돼 무언가가 쉽게 눌러대지 못하게 되어 있다고 한다.


셋째, 

척추신경이 심각하게 눌려 신경증세가 생기게 된다면 근육마비,감각소실, 자율신경의 이상(대·소변 장애 등) 등의 증세가 대부분 동시에 같이 나타나야 한다.


황윤권 원장은 “척추신경은 운동, 감각, 자율신경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따라서 만약 척추신경이 심각하게 눌려 신경증세가 생긴다면 근육마비,감각소실, 자율신경의 이상(대·소변 장애 등) 등의 증세가 대부분 동시에 같이 생겨난다.”고 말한다.


 

  • 즉 의사들이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디스크나 협착으로 척추신경이 눌려져서 엉덩이, 다리 쪽으로 통증이 생겨나는 게 맞는다고 가정하더라도, 디스크나 협착증으로 척추신경이 심각하게 눌려서 신경증세가 생겼다면 운동이나 자율신경의 증세는 없이 유독 감각(통증)신경만의 증세가 생겨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 몸의 신경전달체계에는 원심성(뇌, 척수에서 말초로 향하는 방향)과 구심성(말초에서 척수, 뇌로 향하는 방향)이 있는데 감각신경(촉감,온도감, 통증)의 전달체계는 말초신경에서 뇌로 향하는 구심성의 일방통행만 있다. 


즉 허리의 척추신경이 눌려서 통증이 생기는 상황이라면 이 통증은 척수, 뇌로 향해 전달되는 일방통행의 구심성 통증전달 방향만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허리의 척추신경이 눌렸을 때 구심성 감각전달체계를 무시하고 뇌 쪽이 아닌 아래 방향의 엉덩이, 다리로 통증이 생겨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 CT, MRI 검사상 디스크나 협착증 소견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허리디스크나 협착증이 의심될 때 CT나 MRI를 촬영해 그 결과를 보고 판단한다. 

만약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이 생기기 어려운 병이라면 CT나 MRI 검사상 허리디스크나 협착증의 소견이라고 말하는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황윤권 원장은 “CT나 MRI 검사에서 디스크가 불룩하게 나와 있고, 척추관이 좁아져 보이는 소견은 말 그대로 ‘불룩’하고 ‘좁아져’ 있는 것이지 이런 소견들이 척추신경을 누르고 있다는 증거의 소견은 아니다.”고 말한다.


굳이 표현하자면 불룩해진 디스크나 척추관이 척추신경을 밀어 옆으로 비켜나게는 할 수 있어도 직접 심각하게 눌러대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디스크나 협착증의 증세가 전혀 없는 사람들도 무작위로 CT나 MRI 촬영을 해보면 디스크가 불룩해지거나 척추관이 좁아져 있는 소견을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황윤권 원장은 “나이가 들수록 디스크나 협착증의 소견을 더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퇴행성 변화로서 아무 증세 없이 그냥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나이 들면 이마에 생기는 주름처럼 좋은 것은 아니지만, 치료의 대상으로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들은 아니다.”고 말한다.


 

  •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 증상의 실체는?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이 원인이 아니라면 허리, 엉덩이 통증, 다리가 당기고 저린 증세들은 왜 생기는 걸까?


이런 증세들의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근육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 몸의 근육은 길이가 있다. 근육의 길이는 늘어나고(이완) 줄어드는(수축)기능을 하는데 이런 기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긴장된 상태가 지속되면 근육은 힘들어하고 결국에는 통증을 일으킨다.


허리 근육처럼 넓고 강한 근육들은 근육긴장이 쌓여서 통증으로 바뀌는 데 사람에 따라 그리고 근육 긴장의 정도에 따라 5년, 10년 혹은 몇십 년이 걸리기도 한다. 그래서 오늘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우연히 허리가 삐끗한 것처럼 보일지라도 사실은 허리 근육에 오랫동안 쌓여온 긴장을 삐끗한 오늘에야 느끼게 된 것이지 오늘 처음 갑자기 병이 생긴 것은 아니다.


황윤권 원장은 “나이가 들수록 허리통증이 심해지는 것도 나이가 들수록 그동안 이런저런 근육긴장이 더 많이 쌓였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 "허리는 물론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까지 아픈 이유~!"

 


허리 근육은 허리에만 국소적으로 있지 않고 허리,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근육들과 연결되어 있다. 허리 근육을 사용할 때 같이 작용하는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근육들은 허리 근육에 긴장이 쌓여 굳어지는 것만큼 같이 굳어진다.


그래서 허리 근육에 긴장이 많이 쌓인 경우는 허리 근육 통증만이 아니라 동시에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혹은 발까지 광범위하게 통증이나 저림 등의 증세가 생긴다. 

젊으면 허리에 국한된 통증이 흔하지만, 긴장이 많이 쌓일수록, 나이가 많아질수록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쪽과 연관돼 증세가 복잡하게 나타난다.


황윤권 원장은 “지금 세상에서 의사들이 말하는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이라는 병의 증세들은 사실 허리,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근육들의 긴장으로 굳어져서 생겨난 것”이라고 말한다.


 

  • 그렇다면 여기서 의문 하나!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 수술 후에 증세가 호전된 환자들도 많다. 허리디스크나 협착증이 존재하지 않는 질환이라면 이들 수술로 증세가 호전되는 이유는 뭘까???


황윤권 원장은 “수술로 증세가 호전되는 것도 근육과 관련이 있다. 디스크나 협착증 수술 때 전신마취를 하는데 이때 환자의 근육을 이완하기 위해 일반인의 상상을 초월하는 강력한 근육이완제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강력한 근육 이완의 효과로 굳어있던 허리, 엉덩이, 다리의 근육이 부드러워지면서 소위 디스크나 협착증의 증세가 낫게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디스크나 협착의 소견을 제거하는 수술 자체가 환자의 증세를 낫게 하는 게 아니라는 말이다. 


 

  • 비교적 젊은 환자나 증세가 심하지 않은 경우, 

 

즉 근육의 굳은 정도가 심하지 않을수록 전신마취의 근육 이완 효과가 좋다고 한다.

그래서 젊은 환자의 디스크는 한 번의 전신마취로 치료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반대로 오래되고 광범위하게 심하게 굳은 경우, 즉 노인들의 협착증 증세는 근육이 많이 굳어진 만큼 전신마취의 근육 이완 효과가 덜해서 수술 후 금방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정형외과 의사의 위험한 고백중에서...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현실 | 작성시간 16.02.14 정말 좋은 자료내요 다른곳에 아려야겠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