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좋은글모음

오늘의 가르침 / 법륜스님의 집착은 필요하지 않나요?

작성자광주전남환경연대|작성시간18.12.29|조회수48 목록 댓글 0
집착은 필요하지 않나요
 
무언가를 바라는 마음이 괴로움의 근원
욕망을 버리면 괴로움은 저절로 사라져
 
 

금강경에 나오는 ‘무주상’이라는 말은 상에 집착하지 말라는 이야기인데, 상이란 것이 현실 세계를 살아가는 기준이고 에너지고 추진력이라 봅니다. 상을 가지지 말고 보시하라든지 뭘 하라고 한다면 이 세계의 발전이나 변화 같은 것이 있을 수 있을까요?

 

내가 누군가를 좋아하고 사랑하면 내가 좋은 것이 마음의 성질입니다. 그래서 스스로 행복해지고 싶거든 남을 좋아하고 사랑하라는 겁니다. 내가 산을 좋아하는데 산이 나를 좋아해주지 않는다고 해서 내가 산을 미워하게 되지는 않지요. 그런데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나를 좋아해주지 않으면 나는 그 사람을 미워하게 됩니다.

 

이것은 내가 그 사람을 사랑했기 때문에 그 사람이 미워지는 것이 아니고, 내가 그 사람에게 사랑을 바라기 때문에 그 사람이 미워지는 것입니다. 내가 산을 좋아하지만 미워하지 않는 것은 산이 나를 좋아해주기를 바라지 않기 때문인 것처럼, 내가 상대에게 바라는 게 없으면 나도 상대를 미워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기쁨을 얻으려면 베풀어야 할 뿐만 아니라 베풂에 따르는 보상도 바라지 말아야 합니다.

 

사랑을 베풀든 재물을 베풀든 베푸는 것이 보시입니다. 그런데 그 베풂의 결과로 무언가 보상이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개입되면, 그것이 때로는 불행으로 돌아옵니다. 그래서 그것마저도 일어나지 않게 하려면 바라는 마음을 없애라는 겁니다.

 

그래서 바라는 마음 없이 베푸는 것을 ‘무주상보시’라 합니다. ‘무주상보시’의 ‘상’은 ‘내가 너를 도와줬다’는 생각을 말합니다. ‘내가 너 키우느라고 얼마나 고생했는데……’ 부모가 이런 말을 자식한테 하는 이유는 ‘그러니까 내 공을 알아서 나중에 갚아라’하는 암시를 주기 위해서이지요. 이렇게 바라는 마음, 즉 상이 괴로움의 근원이 됩니다. 그러니 이걸 내려놓으라는 것입니다.

 

‘공’을 ‘허무’라고 잘못 이해하는 것처럼 이 분은 지금 ‘무주상보시’를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염려를 하는 듯합니다. 이 분은 욕망을 인간 행위의 동력이라고 보기 때문에, 만약에 욕망을 놓아버리면 인간에게 행위의 동력이 없어지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욕망을 내려놓으면 행위의 동력이 더 생기는지, 아니면 행위의 동력이 없어지는지는 욕망을 놓아보지 않고서는 알 수가 없는 것이지요. 그러니 일단 욕망을 한번 놓아보세요. 상대에 대한 집착을 놓아버리면 상대에게 무관심해지지 않습니다. 상대에 대한 집착을 놓으면 오히려 그 사람에 대한 진정한 사랑이 생깁니다. 상대를 이해하지 않는 일방적인 사랑은 상대에게는 고통이 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자식한테는 엄청난 고통이 되고 감옥이 되는 거예요.

 

이해 없는 사랑은 폭력입니다. 이런 사랑은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계속 갈등을 일으킵니다. 부처님 법은 무조건 남을 위하라고 가르치는 게 아닙니다. “그 사람한테 바라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 말은 ‘그 사람’을 위해서 하는 말이 아니에요. 상대를 이해하는 마음을 내면 내가 편안하고, 이해하지 못 하면 내가 답답해지니까 남을 위하는 마음을 내는 게 나한테 좋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바라지 말라고 하는 것입니다.

 

바라는 마음 없이 상대방을 사랑하게 되면, 관여하지 않는 게 상대방한테 좋으면 관 하지 않고, 관여하는 게 상대방한테 좋으면 관여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그 사랑은 항상 상대방과 자신에게 이익이 됩니다.  
 
법륜 스님 정토회 지도법사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