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가족자원관리학]15강 가정정책과 가족자원 관리학의 과제

작성자고바리|작성시간13.07.02|조회수280 목록 댓글 0

 

 

  • 빠르게 진전된 산업화로 가정과 일터가 분리되고 가족의 공동체적 성격이 약화되면서 가정문제가 야기되자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에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게 되었다.



  • 건강가정기본법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단위의 통합적 지원을 통해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둘째, 가정문제의 사전적․예방적 접근을 통해 국가비용을 절약한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가족지원을 통해 사회적 통합을 실현한다. 넷째, 가정생활에 대한 제도적 접근의 전문화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다섯째 가정관련 정책 및 제도의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 건강기본법의 기본이념은 네 가지이다. 첫째, 건강가정기본법은 건강한 가정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의 책임을 규정해 가정과 국가가 분담해야 하는 가정부양기능을 명시한다. 둘째, 건강가정기본법은 양성평등과 민주성을 포함한다. 셋째, 건강가정기본법은 가정의 역량과 잠재력 증진을 통한 가정의 자립을 강조하며, 넷째, 교육과 문화의 가치를 중시한다.



  • 여성가족부, 시․도 및 시․군․구가 건강가정기본법의 업무를 전담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거점으로 건강가정지원센터가 각 지역에 설치된다. 센터에서는 상담, 교육, 문화, 정보제공,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가족자원관리학은 통합적 가정정책의 어젠다를 개발하고 관련연구를 활성화시키며, 건강한 가정․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생활표준을 제시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 인력 양성과 배출 및 관련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첨부파일 2013_가족자원관리학15강_1.pdf

 

첨부파일 2013_가족자원관리학15강_2.pdf

 

 

 

 

 

강의
주차
강의주제 세부내용 학습하기 다운로드 쪽수 담당
교수
동영상 음성 PDF
1 사회변화와 가정생활 1. 사회구조의 변화
2. 인구구조의 변화와 가정생활
3. 가족과 가정생활의 변화
학습하기 5~32 김외숙
2 가족자원관리의 개념 1. 가정관리의 정의
2. 가정관리가 기본으로 하고 있는 신념
3. 가족자원관리자
4. 여성과 가사노동
학습하기 33~44 김외숙
3 가족자원관리학의 발달사 1. 미국
2. 일본
3. 한국
학습하기 45~70 김외숙
4 체계적 접근법에 의한 가족자원관리 1. 체계적 접근법에 의한 가족자원관리
2. 가족체계
3. 가족과 환경의 상호작용
4. 가족자원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학습하기 71~100 김외숙
5 동기요소 1. 가족자원관리의 동기
2. 가치
3. 목표
4. 표준
학습하기 101~122 김외숙
6 가족자원 1. 가족자원의 의의
2. 가족자원의 분류
3. 가족자원에 대한 철학
4. 가족자원사용을 위한 지침
5. 인적 자원 계발의 원리
학습하기 123~144 김외숙
7 의사결정 1. 의사결정의 의의
2. 의사결정의 종류
3. 의사결정의 과정
학습하기 145~166 김외숙
8 커뮤니케이션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2.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와 장애
3.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향상
4.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
학습하기 167~184 김외숙
9 관리과정과 피드백 1. 관리과정
2. 산출
3. 피드백
학습하기 185~208 김외숙
10 신혼기가족 1. 신혼기가족의 관리문제
2. 신혼기가족의 자원관리전략
학습하기 209~226 김외숙
11 노년기가족 1. 노년기가족의 관리문제
2. 노년기가족의 자원관리전략
학습하기 227~250 김외숙
12 맞벌이가족 1. 맞벌이가족의 관리문제
2. 맞벌이가족의 자원관리전략
학습하기 251~274 김외숙
13 한부모가족 1. 한부모가족의 관리문제
2. 한부모가족의 자원관리전략
학습하기 275~292 김외숙
14 다문화가족 1. 다문화가족의 관리문제
2. 다문화가족의 자원관리전략
학습하기 293~316 김외숙
15 가정정책과 가족자원관리학의 과제 1. 가정생활과 가정정책
2. 건강가정을 위한 정책적지원
3. 가족자원관리학의 과제
학습하기 317~334 김외숙

나. 출석수업

출석수업 현황리스트
회차 강의 주제 세부내용 교재쪽수 담당교수 강의실습
1

가정관리의개념(Ⅰ)

1. 가정관리의 정의
2. 가정관리가 기본으로 하고 있는 신념
3. 가족자원관리자
4. 여성과 가사노동

33~44 강의
2

가정관리의 개념(Ⅱ)

1. 가정관리의 정의
2. 가정관리가 기본으로 하고 있는 신념
3. 가족자원관리자
4. 여성과 가사노동

33~44 강의
3

가정관리의 개념(Ⅲ)

1. 가정관리의 정의
2. 가정관리가 기본으로 하고 있는 신념
3. 가족자원관리자
4. 여성과 가사노동

33~44 강의
4

커뮤니케이션(Ⅰ)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2.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와 장애
3.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향상
4.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

167~184 강의
5

커뮤니케이션(Ⅱ)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2.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와 장애
3.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향상
4.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

167~184 강의
6

커뮤니케이션(Ⅲ)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2.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와 장애
3.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향상
4.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

167~184 강의

4. 평가방법 및 출제범위

평가방법 및 출제범위 현황리스트
평가유형 평가방법 출제범위 비고
출석수업시험 주관식 

각 지역대학별 시험일정을 정하고, 출석수업 담당교수가 직접출제 

  
유의사항
위의 내용은 변경 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 및 학보공고를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제범위가 표기되지 않은 시험유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5. 참고문헌

임정빈ㆍ지영숙ㆍ문숙재ㆍ이기영ㆍ이연숙(2002). 가정관리학. 서울: 신정.
홍성희ㆍ김혜연ㆍ김성희ㆍ윤소영ㆍ고선강(2008). 건강가정을 위한 가정자원관리. 서울: 신정.
세키구치 후사 외 편저, 김외숙ㆍ장용선 공역(1995). 가정철학. 서울: 교문사.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