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기상시뮬레이션]기상청시뮬레이션 보기

작성자별의정원|작성시간13.06.18|조회수224 목록 댓글 0

원전사고 초기에 82쿡 요리싸이트에서 엄마들과 방사능 정보를 나눴었지요.

그때 십시일반으로 일본정보올리는 분. 번역하는 분, 기상정보올려주시는 분.. 정보를 나누었지요.

전 기상쪽은 잘 모릅니다.  그때 독일기상청을 많이 신뢰했고 예측결과시뮬이 중단되었고, 그후, 스위스, 대만 기상청을

본거 같아요. 현재 유효한 것은 일본 기상청 시뮬레이션 아닌가 싶습니다.

시뮬레이션 볼 수 있는 분들은 한국에 이상기류가 잡힐 시, 꼭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시간나는대로 틈틈히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

매뉴얼님이란 분이 올려주신  기상청 시뮬레이션 보는 법입니다. 이제와서 봐도 대단하게 도움되는 자료네요. 감사합니다.

 

 

1. 기상청 시뮬레이션 보기
8개국 시뮬레이션은 비슷하지만 세부부분에서 조금씩 다릅니다. 사용하는 모델과 값들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일본에서 정확한 수치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수치(가능한 최고치를 상정하여 보여줍니다.)를 상정하는데 각 기상청마다 이 수치가 조금씩 틀리다고 합니다. 그 외 사용하는 위성, 산출하는 수학적 모델 등이 그 원인입니다. 그러나 큰 흐름은 보실 수 있을겁니다. 또한 누적방사선량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니, 깨끗한 날일지라도 습도가 높으면 조심하셔야 할 듯.
1) 노르웨이 기상청
  (1)후쿠시마 관련 자료는 아래.
http://transport.nilu.no/products/fukushima

오른쪽 하단에 Tracer라는 표어를 클릭하시면
Xe(제논), Cs(세슘), I(요오드)의 이동경로를 고도별로 볼 수 있습니다.
각각 Surface Concentration과 Total Column을 보실 수 있습니다.

*Surface concentration는 지상에서 100m 까지의 평균값입니다. 100m의 높이는, 인간이 배출한 물질이 주로 이 높이까지 머물기 때문에 의미 있습니다. 지도에는 최대값을 표시하며 단위는 나노초/Kg입니다.  

*Total Column
입자가 단위 면적위에 머무는 체류시간이며 단위는 nanoseconds times meters divided by kilogram입니다.

*지도상 흐름은 는 나노초 단위의 대기흐름 자료를 모아 움직이며, 색깔은 1세제곱미터당 농도표시로  단위는 Bq/m^3입니다.

덧 :제일 위 Scroll over to navigate in time 옆 네모 칸에 마우스 가져다놓으면 정지화면으로 볼 수 있어요. 다음 네모칸은 그 다음 진행화면으로 옮겨갑니다.

(2) 시뮬 결과 이용하기
    *시각 : UTC시각이므로 +9
  ➀맑은 날: Surface concentration이 중요합니다. 대개의 경우 지표의 바람으로는 방사성 입자가 그리 이동하지 않는 듯합니다.
  ➁흐린날, 안개 낀 날: 위 시뮬레이션은 습도를 고려하지 않은 공기 흐름만을 고려했으므로 습도가 있는 날은 방사성 입자가 물과 함께 가라앉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맑은 날보다 더 주의를 요합니다.
  ➂비가 내리는 날: 구름이 있는 곳 2~7Km의 입자도 비와 함께 내리므로 10배에서
100배까지 그 농축도가 증가합니다. 이 때 지표, 물의 오염이 심하게 되므로 임산부, 노약자,유아,영아 등은 절대 비를 맞지 않아야 합니다. 외출시에는 마스크, 비옷, 장화, 고글을 필히 착용하도록 합니다. 오염된 물건은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집안에 들여 놓습니다.
눈은 특히 방사선에 약합니다. 아이들 눈을 보호해 주세요. 마스크는 내부피폭을 막기위한 좋은 방어막입니다.
(일회용을 쓰고 따로 폐기 처리하는 것이 좋으나 현재 방사성 물질을 따로 폐기할 방법이 민간에 딱히 없기도 하거니와 우리의 목표는 방서선에 ‘덜 ’노출되자이기 때문이므로...
대응의 정도는 각자가 알아서 하는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2)독일기상청
http://www.dwd.de/bvbw/appmanager/bvbw/dwdwwwDesktop?_nfpb=true&_windowLabel=...
zed&_pageLabel=dwdwww_start
Loop starten 이라고 적힌 맨 아랫 그림을 클릭하시면 연속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시간은 +9 주소 일부가 등록 가능한 단어가 아니래서 일부러 띄어 놓았으니 연속으로 붙여 사용하세요.)

주 : 독일 것은 정말 직접적인 공기 흐름만 보여주고 노르웨이 것은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도 표시.
둘다 누적량 표시는 아니니, 깨끗한 날이라도 조심.

3)ZAMG
오스트리아기상-지구역학연구소: IAEA관련기관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http://www.zamg.ac.at/wetter/fukushima/ 시간은 +9로
요오드-131에 대해서만 그려놨습니다.  자주색은 시간당 0.3마이크로 시벗으로
자연상태에서 연간 노출 한계치라고 합니다.  Area E가 가장 높은 농도입니다.
http://www.zamg.ac.at/pict/wetter/sonderwetter/fuku/20110418_I-131_FUKU.gif
는 연속 그림입니다.

4)독일 쾰른 대학교 라인 환경연구소
http://www.eurad.uni-koeln.de/ 시간은 +9
접지, 2500m,5000m, 다음 72간의 예상, 건조할 때, 습도가 있을 때 경우로 세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각 그림을 클릭하시면 연속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5)프랑스 툴르즈 국가출연 연구소
http://www.irsn.fr/FR/Documents/home.htm
3월 11일부터 4월8일까지 전세계 방사선 누적량 지도가 있습니다.
정부가 하지 않는 동안에는 이 연구소 자료를 보시면 될 듯합니다.
(Modélisation de la dispersion des rejets radioactifs au niveau mondial 밑의 Voir les simulation을 누르시면 시뮬 보실 수 있습니다.)
각 메뉴가 일본에 대해 잘 분석해 놨으며 자국 농산물에 미치는 영향까지, 그리고 과거 원전사고에 대한 자료들도 있습니다.
(전 ACROBAT READER만 켜면 화면 다운이군요..-_-더 이상 설명은 다른 분께 부탁드립니다.)

유럽국가들의 예측은 대체로 비슷합니다.

6)우리나라 기상청
http://www.kma.go.kr/images/flowanalysis/flow_anal.pdf

7)일본 기상청
http://www.jma.go.jp/jma/kokusai/eer_list.html 날자 클릭!

8)대만중앙연구원-환경변천중심연구소 시간은 +1
http://www.rcec.sinica.edu.tw/~cylin/lab/WRF-radiation-forecase.htm
중론은 대만 것이 더 객관적이라는 중론.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 것이 맞았으면 하는 소망.

<덧> 방사성 물질은 반감기와 입자의 무게가 비례하는 것 같습니다. 반감기가 5.27일로 제일 짧은 Xe의 경우, 정말 가벼워서 현재는 북반구 전체에 다 퍼져 있습니다.  다만, 제논은 인체 내에서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그대로 배출됩니다. 방사선을 발산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만. 반감기는 그것이 없어지는 기간이 아니라 반으로 줄어드는 기간입니다. 반감기가 짧을수록 순간적으로 방출하는 방사선은 강하다고 합니다.
요오드는 반감기가 일주일 정도, 제논보다는 덜하지만 비교적 잘 퍼지기 때문에 ZAMG에서는 요오드만을 기준으로 지도를 작성하는 듯 합니다. 세슘-137은 반감기가 30년,체내 반감기는 90일.  날이다니는  양은 요오드에 비해 더 적습니다. 스트론튬 자체의 반감기는 29년. 스트론튬-90은 체내 반감기 18년. 세슘이 날아오면 원자량이 적은 스트론튬도 같이 날아 옵니다. 마스크를 써야할 이유지요. 

그리고 정말 한 톨이라도 폐에 들어가면 바로 암을 일으키는 플루토늄은 물보다 무거워서 공기를 타고 비산할 가능성이 제일 적습니다.
때문에 지표 100m 를 보실 때는 아, 내 호흡기로 들어올 가능성이 있는 요오드, 세슘, 스트론튬은 이러하겠군, 가늠하시는 자료로, Total column을 보실 때는 하늘에 떠 있는 제논까지 모든 방사성 물질의 농도로 파악하시면 됩니다. 일단 한번 방사성 물질이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 기류를 타고 퍼지는 것이 쉽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다시 말씀드리지만 높은 곳에 꽉 차 있을 때 습도가 높아진다면 그 물질들이 100M 지표로 내려올 확률이 높아진다..정도로 봐 주시면 될 듯 합니다. 오류가 있으면 지적바랍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