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핵발전 확대 감시

6월 5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작성자용기없는관찰자|작성시간18.06.05|조회수222 목록 댓글 0

2018년 6월 5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비닐봉지 쓴 황새, 면봉 든 해마 .. 돌고래 뱃속서 비닐 80장
http://v.media.daum.net/v/20180605005416885 (중앙일보)
- "유엔 환경계획 등에 따르면 195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83억t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됐고, 이 중 약 50억t은 매립장으로 가 땅속에 묻히거나, 해양 등 자연계로 배출됐다. 전체 플라스틱의 9%만 재활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1분마다 100만개의 플라스틱 생수병이 판매되고 있고, 매년 1000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들어가고 있다." 오늘은 '환경의날' 입니다. 편리함보다는 생태계를 위한 환경을 생각해주시길...

한국YWCA연합회 등 여성·시민단체 “생활방사능 대책마련” 촉구 기자회견
http://m.womennews.co.kr/news_detail.asp?num=142443 (여성신문)
- “근본적으로 생활 제품에 방사성 물질이 함유된 물질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관련 모든 제품들에 대한 전수 검사를 진행해 그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며 “정부가 책임회피에 급급해 할 것이 아니라, 피해자와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듣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 시민안전을 챙겨줄 것을 촉구한다”

라돈침대 공포 확산, 수거 · 피해보상은 언제?
http://www.medifonews.com/mobile/article.html?no=138514 (메디포뉴스)
- "미국에서는 부동산 거래 시 핵심 항목 때 라돈 농도를 밝혀야 하며, 현재까지 약 3천만 가구에 라돈이 조사됐다. 영국, 유럽뿐만 아니라 우리보다 못 산다고 알려진 체코조차도 모든 방에서 라돈 측정이 이뤄지고 있으며, 라돈 평가 후 준공 허가가 떨어진다."

[왜냐면] 라돈 침대 사태, 발빠른 정부 대응이 필요한 이유 / 강희태
http://v.media.daum.net/v/20180604183611669 (한겨레)
- "아직도 건축법 등에는 건축 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규제하는 조항이 없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경우 총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포름알데히드), 납, 카드뮴, 수은 등에 대한 실내 공기 오염물질 기준은 있지만 라돈은 빠져 있다."

​라돈침대 사태로 보는 라돈 인식의 현실
http://m.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601949448477 (환경미디어)
- "이번 라돈침대 사건은 결국 언젠가는 벌어질 일이었다. 우리 정부가 방사성물질에 대한 제조·유통·허가·인증 등 정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국민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목소리를 내야 바꿔나갈 수 있다."

李총리 "라돈침대 리콜 차질없이"..文대통령 "신속 수거 중요"
http://v.media.daum.net/v/20180604174338430 (뉴스1)
- “지금 신속한 수거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업체에만 맡기지 말고 우체국망 등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지시했다. 아울러 “수거 및 조사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는 무엇이든 확인되는 대로 투명하게 발표할 것”

“교회 옥상 햇빛발전소, 환경·수익·교육 ‘일석삼조’”
http://m.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6787 (아이굿뉴스)
- “예수님의 구원과 정의는 개인적 차원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이웃과 공동체와 전 지구 생태계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예수님이 예언자적으로 시대의 불의를 비판하셨듯 지금의 교회도 창조세계를 파괴하는 불의를 과감히 끊는 결단이 필요하다”

석유 소비 줄고, 신재생에너지 소비 확대 양상
http://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224 (인더스트리뉴스)
- “원자력은 요즘 말이 많은 예방정비로 인해 발전량이 하락한 이유가 아닐까 한다”면서, “다만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뚜렷한 만큼 앞으로 산업용과 수송용, 또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건물 부문 역시 신재생에너지 소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해창 교수의 에너지전환 이야기] <46>핵분열에너지의 문제점과 과제를 말한다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1700&key=20180604.99099001345 (국제신문)
- "원자력발전(핵발전)은 핵분열을 이용한 발전이다. 보통의 핵연료는 원폭과 같은 우라늄(U)235라는 원자를 사용한다. 원폭이나 원전 모두 이 원자에 중성자를 합성시켜 핵분열을 일으키게 한다는 점에서 원리는 같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생활속 방사능으로부터 피폭을 줄이는 방법> 강연영상
http://cafe.naver.com/goodbyenuke/3445

GMO를 먹지 않을 권리 - 뉴스타파 목격자들
https://youtu.be/hSasVgDK2Fw

탈핵 및 환경재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텔레그램 채널에 입장하시면 최신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https://telegram.me/earth_disaster

"초록을 그리다 - for earth"는 탈핵, 탈원전만이 아닌 아이들을 위해 지속가능한 환경에 관해 고민하고 행동하는 분들의 가입을 기다립니다.
http://cafe.naver.com/goodbyenuke

방사능시대, 우리가 그린 내일(전국 방사능안전급식네트워크)
http://m.cafe.daum.net/green-tomorrow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