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핵발전 확대 감시

8월 20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작성자용기없는관찰자|작성시간18.08.20|조회수77 목록 댓글 0

2018년 8월 20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김해창 교수의 에너지전환이야기] <57> 팩트체크-국민의 뜻이 과연 ‘원전 찬성’인가?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1700&key=20180820.99099008680
- 세대별로 보면, 원자력이 가장 적합한 발전원이라는 응답은 20대(18.7%)와 30대(18.2%)에서는 10%대에 불과했고, 40대에서도 21.2%로 비중이 매우 낮았다. 반면 원자력은 50대와 60대 이상에서 각각 40.6%, 43.7%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미래 세대들이 기성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전을 매우 부담스러워한다는 방증의 하나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게 이 설문조사의 가장 중요한 팩트입니다.

원자력학회 '친원전 여론조사' 논란 (한겨레)
https://news.v.daum.net/v/20180819211756771?f=m
- 여론조사라는 것이 가진 양면성이긴 하지요. 그래도 이렇게까지 무리해서 발표하는 원자력학회를 보면 참 안쓰럽군요. 에너지전환은 이미 고스를수 없는 세계적인 추세이니 그만 고집부리면 안되겠니...

[친환경 에너지 전환-유럽에서 답 찾다⑨] 해외 전문가들 한국 에너지전환, 낮은가격 필수 (에너지경제)
http://m.ekn.kr/section_view.html?no=381053
- 이와 같은 효율 좋은 기술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과 지원, 우수한 기술 보유, 국민 참여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들이네요. 정부의 더 적극적인 홍보와 노력, 그리고 시민들의 지지와 참여...

[사설] 좋은 제도 만들고 활용 안한 산업부 (이투뉴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547
- 1년에 몇번 없던 전력피크를 위해 발전소를 더 건설하기보다는 DR제도를 활용해 피크타임을 넘기는게 더 경제적인 방식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그것을 더 홍보하고 당당하게 진행해야 하는 정부가 탈원전 반대여론에 눈치를 봤다고 보여지네요. 제발 있는 제도라도 최대한 활용해서 에너지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뤄내기를...

[동영상뉴스][4차 산업혁명, 전문가에게 묻다 ④] 신재생에너지, 안정적인 기후를 위한 필수적인 선택 (산업일보)
http://www.kidd.co.kr/news/204282
- 2016년 기준으로 전세계 발전량 중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15%인 반면 우리나라는 7% 수준이다. 그 중 국제적 기준으로 분류하지 않는 신에너지를 제외하면 2%에 머물러 있다. MB정부가 화석연료를 기반한 신에너지를 신재생으로 묶어 버렸지요. 부끄러움은 누구 몫인가...

"내년·후년 더 덥다"는데..'석탄발전소' 되레 늘리는 한국 (한겨레)
https://news.v.daum.net/v/20180820050608045?f=m
- 에너지전환 정책을 시작한지 이제 1년도 안된 상태... 다시말해 기존 기저발전을 재생에너지로 바꿔가는 과도기 상태라고 봐야 하긴 할텐데 그래도 이번 정부가 좀더 과감하게 에너지전환을 밀어 붙혀줬으면 하는 바램이 더 크긴하지...

"원전 발전량 5년째 증가.. 59기 건설 중" (세계일보)
https://news.v.daum.net/v/20180819190940829?f=m
- 뭐 대단한 것처럼 5년째 증가라고 해놨지만 2017년 말 기준 전 세계 원자력 발전설비 용량은 전년보다 2GWe(기가와트) 증가한 392GWe를 기록했다. 보통 원전 1기의 발전용량이 1GWe다. 다시 말해 1년에 2기가 늘었다는 말이네요. 재생에너지는 매년 폭팔적으로 증가하는 중인데 말이지요. 저물어가는 에너지에 에너지낭비를 그만 했으면...

"오염수 넘칠라"..日후쿠시마 원전, 쓰나미 대책 서두른다 (연합뉴스)
https://news.v.daum.net/v/20180819122327975?f=m
- 하루전 피지섬 옆에서 8.2의 지진이 있었습니다. 그 전부터도 그리고 이후에도 불의 고리의 지진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어쩌면 일본은 해일(쓰나미)를 기다리고 있을지 모릅니다. 언젠가는 바다로 방류할 수 밖에 없을텐데 해일이 핑계거리가 될수도 있을테니까요. 비가 많이 오면 공장에서 폐수를 흘려버리듯이... 저의 기우이길...

인천시-지속가능발전協, 에너지전환 정책 포럼 개최 (동양뉴스통신)
http://m.dynews1.com/news/articleView.html?idxno=425917
- 이번 포럼 참가비는 무료이며 자세한 내용은 시(www.incheon.go.kr, 032-440-4353) 및 지속가능발전협의회(www.iagenda21.or.kr, 032-440-8116)를 참조하면 된다고 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부탁드립니다.

에너지 전환포럼,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의견서 제출 (중도일보)
http://m.joongdo.co.kr/view.php?key=20180820010007304
- 에너지전환포럼( http://energytransitionkorea.org/ )이 대한민국 에너지전환에 큰힘이 되어주길 기대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방사능 측정 신청하기 | 환경운동연합 (방사능119.com)
http://kfem.or.kr/?page_id=191940

<생활속 방사능으로부터 피폭을 줄이는 방법> 강연영상
http://cafe.naver.com/goodbyenuke/3445

[목격자들] 사라진 방사성폐기물, 어디로 갔는가
https://newstapa.org/43785

탈핵 및 환경재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텔레그램 채널에 입장하시면 최신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https://telegram.me/earth_disaster

"초록을 그리다 - for earth"는 탈핵, 탈원전만이 아닌 아이들을 위해 지속가능한 환경에 관해 고민하고 행동하는 분들의 가입을 기다립니다.
http://cafe.naver.com/goodbyenuke

방사능시대, 우리가 그린 내일(전국 방사능안전급식네트워크)
http://m.cafe.daum.net/green-tomorrow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