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핵발전 확대 감시

8월 27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작성자용기없는관찰자|작성시간18.08.27|조회수190 목록 댓글 0

2018년 8월 27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김성탁의 유레카, 유럽] 영국선 신재생 분야 일자리가 화석에너지 추월했다 (중앙일보)
https://news.v.daum.net/v/20180827000830760?f=m
- 이런 흐름은 앞으로 전세계적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한국도 더 늦기전에 에너지전환을 통해 뒤쳐지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이런 흐름에 동참하지 않는 기업들의 제품은 불매운동이라도 벌였으면 좋겠습니다.

한전, ‘신재생 발전사업’ 길 열리나 (이뉴스투데이)
http://m.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5144
- 한전이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에 뛰어들면 에너지전환은 탄력을 받게 되겠군요. 다만, 기존처럼 자본과 손잡고 담합하는 일이 없도록 관련제도가 더욱 정비되어야 할 겁니다.

그린피스 "삼성전자에 100% 재생에너지 달성 로드맵 이행 방안 제시" (뉴시스)
https://news.v.daum.net/v/20180827100700954?f=m
-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100%를 달성한다는 RE100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기업들에 납품하는 중소기업도 해당되는 일이지요. 한국도 이런 글로벌 트랜드에 뒤쳐져서는 안됩니다. 대기업부터 RE100 선언에 동참해주시길...

'트럼프 암초'에서 파리협정을 구하라 (단비뉴스)
http://m.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51
- "영국 에너지기업 비피(BP)에 따르면 2007년부터 10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이 가장 큰 나라는 터키(50.5%)고, 2위는 한국(24.6%)이다. 지난 10년 사이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전 세계 모든 나라의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율은 11.2%인데, 한국의 증가율은 평균의 두 배 이상이다." 경제발전이라는 핑계로 환경을 외면한 결과이지요. 왜 항상 부끄러운 지표들은 세계 상위권에 한국이라는 이름이 올라가 있는지... 자랑스러운 지표들은 대부분 하위권이면서... '제탓이요. 제탓이요. 저의 큰 탓이옵니다.' 이제라도라도 경제보다는 환경을 더욱 중요시하는 한국이 되었으면 합니다.

석탄발전 연료비 역대 최고치..㎾h당 50원 돌파 (아시아경제)
https://news.v.daum.net/v/20180827080942934?f=m
- 재생에너지 설비가 늘어나야 화력발전을 없앨텐데... 조만간 LNG와 화력의 단가차이가 더 좁혀지면 화력발전은 퇴보되겠군...

[사설] 전기요금 누진제 손볼 때 됐다 (이투뉴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729
- 시대에 뒤떨어지는 누진제는 분명 손봐야 합니다. 많은 시민들이 불합리하다고 여겨지는 제도를 언제까지 고수하려는지...

‘에너지전환’ 꿈꾸는 독일, 석탄 퇴출에 골머리 (이투뉴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674
- 재생에너지와 ESS연계를 통해 세계는 에너지전환이라는 길을 걷고 있습니다. 기존 기저(주력)발전인 화석연료를 벗어나는 에너지전환은 당장의 불편함과 경제적 손실이 있더라도 감내하고 가야할 길입니다. 나를 위해 후손을 위해...

[시평]기후변화의 역습과 에너지전환 (투데이에너지)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05929
- 정부가 좀더 강력하게 에너지전환을 추진해줬으면 하는데... 어려운 일이겠지요. 수십년간 이어져온 경권의 카르텔속에서... 시민들이 더욱 에너지전환에 관심을 가지고 호응해줘야 하는 이유입니다. 시민만이 답이니다.

‘3차 에기본에도 신한울 3·4호기 빠진다’ (전기신문)
http://m.electimes.com/article.php?aid=1535286731163669002
- 지자체 스스로 재생에너지를 통한 에너지자립에 투자한다면 원자력이나 화력같은 대형발전소의 의존도를 낮추게 될 것이고 결국 에너지전환은 더욱 빨리 이루질텐데...

[난개발 그늘, 해안의 역습] 해안선 잃은 부산, 재난에 속수무책 (부산일보)
http://m.busan.com/m/News/view.jsp?newsId=20180826000184
- 고리원전이 침수되면 그에 따른 대비책이 있는 것인가... 후쿠시마의 경우도 1차 외부전원상실에 이어 2차 비상용발전기 침수로 인해 발생되었는데... 만일을 위해 제대로된 대비책을 강구해주시길...

[단독] 원전사고대응 '한수원, 9200억원대 기금 조성' 요구 논란 (데일리한국)
http://m.hankooki.com/m_dh_view.php?WM=dh&FILE_NO=ZGgyMDE4MDgyNjEwMzUxMTEzODA4MC5odG0=&ref=
- "현재 한수원은 한전이 지분 100%를 갖고 있고 한전은 산업부가 51%, 외부주주가 49%의 지분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원전사고가 발생했는데 한수원이 제대로 책임지지 않는다면 결국 국민세금이 투입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이익을 보는 이는 외부주주들이고 손해를 보는 이는 세금을 낸 일반 국민이라는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처리비용이 7년이 지난 지금까지 수백조에 이르고 있는데 원전사업자인 한수원이 유한책임을 지고 원전을 건설한 시공사들은 책임이 없는게 현행법이지요.

의식 변화 없이 과학으로 환경 지킬 순 없다 (현대불교신문)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7262
- "라돈침대문제, 석면, DDT, 생리대 발암물질 문제 모두 과도한 과학기술의존의 사회문화속에 발생한 부작용이다. 환경파괴적 생활양식의 전환 없이 과학기술에만 의존한다면 그것이 다시 재앙이 될 것이라는 경고를 잊어서는 안된다." 이런 것들 대부분이 자본들이 만들어내는 허구입니다. 온갖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제품을 만들면서 건강하고 깨끗한 이미지로 포장합니다. 미국의 경우 2천가지가 넘는 화학물질을 국가가 규제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1/10도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는 아직 바꿔야 할게 많습니다. 의식의 변화없이는 자본에게 끌려갈 뿐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낙동강 보를 열어 달라는 청원에 동참부탁드립니다.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344741?navigation=petitions

방사능 측정 신청하기 | 환경운동연합 (방사능119.com)
http://kfem.or.kr/?page_id=191940

<생활속 방사능으로부터 피폭을 줄이는 방법> 강연영상
http://cafe.naver.com/goodbyenuke/3445

[목격자들] 사라진 방사성폐기물, 어디로 갔는가
https://newstapa.org/43785

탈핵 및 환경재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텔레그램 채널에 입장하시면 최신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https://telegram.me/earth_disaster

"초록을 그리다 - for earth"는 탈핵, 탈원전만이 아닌 아이들을 위해 지속가능한 환경에 관해 고민하고 행동하는 분들의 가입을 기다립니다.
http://cafe.naver.com/goodbyenuke

방사능시대, 우리가 그린 내일(전국 방사능안전급식네트워크)
http://m.cafe.daum.net/green-tomorrow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