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핵발전 확대 감시

10월 8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작성자용기없는관찰자|작성시간18.10.08|조회수605 목록 댓글 0

2018년 10월 8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日 정부,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허용 시사..우려·반발 (YTN)
https://news.v.daum.net/v/20181007224502277?f=m
- "전문가들은 오염수를 더 쌓아둘 부지확보가 어려운 데다 2020년 올림픽을 앞두고 전 세계에 후쿠시마 완전 복구를 알리고 싶어하는 일본 정부의 조급증을 그 배경으로 꼽고 있습니다."

전남~충북~경북 육상 HVDC 송전선로 추가 건설 논란 (이투뉴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928
- "HVDC는 발전소 인근에 변환소를 설치할 경우 발전소 축진동주파수와 공진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데다 태양광이나 풍력처럼 인버터를 통해 계통에 접속하는 전원이 늘어날수록 간섭현상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기본적으로 재생에너지 등 분산형 전원과 궁합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애플, 2조 들여 덴마크에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중앙일보)
https://news.v.daum.net/v/20181008000350862?f=m
- "덴마크는 에너지 소비를 줄였지만 경제 성장을 이뤘다. 발전단가가 낮아지며 보조금 부담이 줄고 값싼 에너지 사용이 가능해져서다. 1990~2015년 덴마크의 에너지 소비는 6% 줄었지만, 국내총생산(GDP)은 1382억 달러에서 3013억 달러로 늘었다. 애플은 신재생에너지 모범국인 덴마크에 신재생 에너지로 가동되는 데이터 센터 2곳을 짓기로 하고 2조원 이상을 투자했다."

고준위방폐물 처리비용 최소 64조1300억 추산 (국제뉴스)
http://m.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2357
- "이마저도 건설비, 운영비 등 방폐장 운영과 관련한 직접적 비용만 추산한 것이며, 방폐장 입지 선정과정에서 발생하게 될 사회적 갈등 비용을 감안하면 고준위 방폐물 처리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단독]원전 정지 사고 4건 중 1건은 단순 실수 탓 (한국일보)
https://news.v.daum.net/v/20181007173304680?f=m
- "지난 10년 간 국내에서 발생한 원전 정지 사고 4건 중 1건은 이처럼 단순한 인적 실수 탓인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의도치 않은 정지로 발생한 방사능의 노출량, 삼중수소 배출량 등이 법이 정한 일률적인 허용기준치 이내면 다양한 사고유형이 고려되지 않은 채 아무런 조치도 받지 않고 있어 재발 방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울원전 '백색비상' 해제..에너지정의행동 '초기대응' 비판 (노컷뉴스)
https://news.v.daum.net/v/20181007170000679?f=m
- "에너지정의행동은 백색 비상 발령이 언론에 공개된 것은 지난 6일 오후 4시 무렵으로 최초 발령 시점보다 2시간 이상 늦었지만, 해재를 알리는데는 2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탈원전, 우리의 양심을 찾는 길 (현대불교신문)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7712
- "핵발전소는 부모세대가 자식세대에 희생을 강요하는 반인륜적 행위이자 치명적인 윤리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당시 메르켈총리는 탈원전정책을 각양각색의 17인으로 구성된 ‘윤리위원회’가 결정하도록 하는 요구를 수용했다는 것이다. 왜 ‘윤리위원회’였을까? 탈원전은 양심의 문제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대안보다 더 중요한 것을 독일은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

“원산지 왜곡 수산물의 16.5%는 일본산” (투데이코리아)
http://www.todaykorea.co.kr/m/page/view.php?no=257094
- "최근 3년간 국내에 수입된 수산물 중 원산지 왜곡 적발 건수가 약 46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약 17%가 ‘일본산’인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일본이 최근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을 ‘허가’할 것이라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VSB, 풍력사업 A to Z 원스톱 서비스 (일렉트릭파워)
http://www.epj.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39
- “지역주민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것은 전 세계 어느 국가나 비슷하다”며 “주민지분참여를 비롯해 지역사회투자·고용창출 등 상호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사회책임)1900년·1913년 맨해튼 거리와 석탄금융의 운명 (뉴스토마토)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50209
- "사정이 이러함에도 우리나라는 글로벌에서 거세게 진행되는 탈석탄 바람에 상대적으로 무풍지대(無風地帶)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석탄발전에 지원하는 한국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을 대상으로 한 환경단체의 크지 않는 압력만 있었을 뿐이다. 국내 금융기관들은 탈석탄 금융이라는 세계적인 조류에 무관심했고, 국내 환경단체의 활동에 눈과 귀를 닫고 있었다. 오히려 최근까지도 신규 석탄발전 건설에 적극 나서 자금줄 역할을 했다."

[특집] 한국보다 훨씬 빠른 중국의 에너지전환 (이투뉴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832
- "중국은 재생에너지로 202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7%, 2030년까지 35% 채우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전력원 다양화 개편은 중국 정부 에너지전환의 핵심이다. DNV GL은 보고서에서 대중화권(중국, 대만, 홍콩)의 에너지 믹스는 향후 20년간 극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집] 도시형 태양광, RE3020이행목표 견인 톡톡 (이투뉴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657
- "해외에서 이미 건물 옥상 등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2016년 기준으로 건물 옥상 태양광 발전설비를 통해 가정용 전기의 74%를 공급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다큐멘터리 알바트로스 (무자막)
https://vimeo.com/264508490

방사능 측정 신청하기 | 환경운동연합 (방사능119.com)
http://kfem.or.kr/?page_id=191940

<생활속 방사능으로부터 피폭을 줄이는 방법> 강연영상
http://cafe.naver.com/goodbyenuke/3445

[목격자들] 사라진 방사성폐기물, 어디로 갔는가
https://newstapa.org/43785

탈핵 및 환경재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텔레그램 채널에 입장하시면 최신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https://telegram.me/earth_disaster

"초록을 그리다 - for earth"는 탈핵, 탈원전만이 아닌 아이들을 위해 지속가능한 환경에 관해 고민하고 행동하는 분들의 가입을 기다립니다.
http://cafe.naver.com/goodbyenuke

방사능시대, 우리가 그린 내일(전국 방사능안전급식네트워크)
http://m.cafe.daum.net/green-tomorrow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