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핵발전 확대 감시

10월 23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작성자용기없는관찰자|작성시간18.10.23|조회수173 목록 댓글 0

2018년 10월 23일 관찰자가 고른 탈핵에너지전환 관련 기사

[취재설명서] 방사능 '뿜뿜' 천연석은 이런 모양입니다 (JTBC)
https://news.v.daum.net/v/20181022223111596
- "25일 밤 9시 30분 방송되는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에서는 수상한 대리석의 실체를 추적합니다. 실내 대리석에서 기준치 대비 최고 25배가 넘는 라돈이 나왔는데요. 일부 돌침대와 대리석 식탁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런데 저희 취재진은 또 다른 위험 요소를 포착했습니다"

"분산형전원 보급 늘려야 성공적 에너지 전환 가능" (미디어펜)
http://m.mediapen.com/news/view/390237
- "한국과 산업 및 전력공급 구조가 유사한 일본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의 산업체와 건물에 자가용 발전설비 설치를 의무화한 결과 전체 상용 자가설비 규모가 우리나라의 10배 이상"

[생생확대경]진영논리로 얼룩진 '에너지전환' (이데일리)
https://news.v.daum.net/v/20181023060108181
- "최근 독일의 에너지연구기관인 에너지워치그룹(EWG)이 구상하고 있는 한반도 100% 재생에너지전환계획안을 살펴보면 한반도의 태양광 잠재량은 약 960GW, 풍력은 약 72GW 규모다. 원전 1기 설비용량이 1GW인 것을 고려하면 적지않은 자원이다. ‘조삼모사(朝三暮四)’식의 소모적인 논쟁으로 갈등만 키울 것이 아니라 신뢰성과 지속성 있는 에너지정책이 추진되고 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

"文정부 에너지전환 시즌2 필요..美 캘리포니아처럼 가자" (이데일리)
https://news.v.daum.net/v/20181023050010646
- “현 기준으로 태양광이 비싸다고 반대하면 언제까지 해외의 비싼 석유·가스에 계속 의존할 것인가. 이제는 우리나라가 재생에너지를 통해 에너지 자립을 늘리는 방안을 적극 고민해야 한다”

원전 4기 핀란드, 방폐장 부지 조사·공론화 십수년 공들여 [핵 폐기물 처리,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경향신문)
https://news.v.daum.net/v/20181022213624535
-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안에 대한 가닥이 잡히지 않으면 원전 해체 스케줄도 영향을 받게 된다. 원자로 절단 등 주요 해체작업은 원전 안에 임시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가 모두 반출된 이후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가동이 영구정지된 고리 1호기(부산 기장)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12개의 원전을 해체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 현실 적용 앞서 정책적인 부분 선행돼야" (대전일보)
http://m.daejonilbo.com/mnews.asp?pk_no=1339804
- "화석연료 에너지에 비해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이 낮다는 인식이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며 "미국 에너지 관리청의 통계를 보면 건설비용이나 수명 주기 등을 모두 포함한 에너지 발전비용은 원자력 에너지보다 태양열 에너지가 훨씬 저렴하다"

[부산] 탈원전 흐름 등 맞물려..'풍력 발전' 부상할까 (SBS)
https://news.v.daum.net/v/20181022180904739
- "국내에서는 불모지처럼 여겨졌던 풍력발전분야. 탈원전 흐름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내수시장 한계 재생에너지 산업··· 경쟁력 강화 논의 (인더스트리뉴스)
http://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417
- "전 세계적으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친환경에너지로 전환함에 있어 전력공급 방식, 안정성을 위한 전원 균형,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 등 다양한 이슈들이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이슈들을 선제적으로 연구하고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도 활발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구 온도 낮추려면 에너지 절약해야 (한국에너지신문)
http://www.koenerg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039
- "절약보다 소비가 미덕이라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에너지를 펑펑 써대는 것은 자원 빈국의 처지에 어울리지 않고, 결국 지구를 병들게 하는 짓이다. 에너지 분야에서만큼은 아직도, 아니 언제나 절약이 미덕이다."

한전 UAE 바라카 원전 모든 발전기에 ‘구멍’ (한국에너지신문)
http://www.koenerg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035
- "바라카 원전과 동일한 모델인 APR-1400을 적용한 신고리 3호기는 지난 2016년 12월 상업운전에 들어가 현재 가동되고 있다. 신고리 4호기는 조만간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운영허가를 받아 내년 8월 상업 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외에 신고리 5·6호기와 신한울 1·2호기에 적용돼 있다."

독일 환경단체 '분트' 사무총장의 지속가능한 도시는? (오마이뉴스)
https://news.v.daum.net/v/20181022100300271
- "10월 22일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은 틸만 호이저 사무총장을 초청해 오는 26일 오후 7시 마창진환경연합 강당에서 '생태환경복원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라는 제목으로 간담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김해창 교수의 에너지전환이야기] <65>부산에너지전환포럼, 지역에너지전환의 길을 찾다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1700&key=20181022.99099009367
- "에너지분권이 없는 지역자치는 의미가 없다. 부산시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러한 부산에너지전환센터(공사)의 설립에 나서야 한다. 또한 장기적인 차원에서 볼 때 운영도 관이 아니라 시민전문가에게 개방하는 등 새로운 발상이 필요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다큐멘터리 알바트로스 (무자막)
https://vimeo.com/264508490

[목격자들] 사라진 방사성폐기물, 어디로 갔는가
https://newstapa.org/43785

탈핵 및 환경재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텔레그램 채널에 입장하시면 최신 정보를 얻으실수 있습니다.
https://telegram.me/earth_disaster

"초록을 그리다 - for earth"는 탈핵, 탈원전만이 아닌 아이들을 위해 지속가능한 환경에 관해 고민하고 행동하는 분들의 가입을 기다립니다.
http://cafe.naver.com/goodbyenuke

방사능시대, 우리가 그린 내일(전국 방사능안전급식네트워크)
http://m.cafe.daum.net/green-tomorrow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