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강원도

[강원도 학교급식 방사능 대책위 활동,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작성자별의정원|작성시간13.10.29|조회수90 목록 댓글 0

방사능 오염수산물 문제로
수산 상인들의 요구와 
아이들 건강지키기 학부모가 요구가 
조화될 수 있을까요? 

일반 수산시장도 생협 수준의 검사체계를 
깆추는게 방안일 것 같은데 
안타깝게 그러하지 못하는 것 같고....

아래 글은 춘천시민연대 소식지에 
강원방사능 대책위 활동 보고로 
쓴 내용입니다. (한재천님 출처)



[강원도 학교급식 방사능 대책위 활동,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강원 방사능 대책위

방사능에 오염된 수산물들이 얼마나 많이 우리 아이들 식탁에 올랐을까? 사고이후 강원도 학교급식에 일본산 수산물이 4백키로 이상 반입되었다한다. 음식으로 들어온 방사능 내부피폭은 외부피폭보다 더 많은 피해를 주는데 특히 성장기 유아, 어린아이일수록 어른에 비해 피해는 훨씬 크다고 한다. 최근 후쿠시마 주변지역 아동들의 소변검사에 70% 이상 세슘이 검출되었다. 26년 전 체르노빌 사고로 그 인근지역 아이들 건강도는 20%로 내려앉았는데 후쿠시마 참사는 이보다 더 큰 규모이고 바다까지 오염된지라 방사능으로 아이들 건강이 해칠까 부모들의 걱정은 정말 크다.

그래서 지역단체들이 모여 강원도 방사능 대책위를 꾸렸다. 대책위는 2주마다 한 번씩 모여 방사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다른 지역의 진행사항 등을 검토하였다. 교육청 관계자분들을 수차례 찾아가 대책을 세우라고 촉구했다. 다행히 진보적인 강원교육감님은 부모들의 건의를 전격 수용했다. 교육청의 약속내용은 ‘강화된 안전 기준치 마련과 수산물의 원산지를 철저히 검증, 중장기적으로 방사능 잔류 검사소 설치, 관련 조례 제정 등’이다 이어서 강원교육청 주최로 방사능관련 강연회가 열리고, 교육청과 강원대책위와 방사능해결을 위해 방사능 TF팀을 꾸려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지난 10월 2일에 1차 방사능TF 팀 회의가 있었다. 영양사 선생님도 오셔 학교상황을 이야기 하고 대체식단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교육청에서는 행정적인 지원을 하고, 대책위는 검사장비와 전문인력 문제해결에 강원도와 협력할 방안을 알아보기로 했다.

급한 예산은 12월초 반영되도록 감마분석기 기계구입을 요청하기로했다. TF팀 논의가 진행되고 방사능 대책 조례팀도 꾸려 조례도 논의 될 예정이다. 이후 토론회를 거쳐 논의 과정을 결산하게 될듯싶다. 토론회는 강원대책위 주최로 하게 될 것 같다. 조례가 발의되면 연말 심의를 거쳐 내년 2-3월 목표로 일정이 그려질 듯싶다. 방사능 수산물의 문제는 교육청만의 문제가 아니고 강원도와 협력하여 함께 풀어나가야 하는 문제이기에 학교급식뿐만 아니라 강원도에 들어오는 수산물에 대한 전반적인 방사능 검수시스템 구축을 요구할 계획이다.

바다 방사능오염이 금방 끝나지 않을 것 같아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응이 필요하고, 수산물 수요가 줄었다고 하지만 늘 밥상에 오르는 음식문화인지라 방사능 검역도 일상화 되어져야할 것이다. 정부 대책이 사태의 심각함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각 지역에서는 각자 자구책을 마련해야하는데 형식이 아닌 온전한 대책이 따라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현장주의, 책임정치 및 자치행정의 표본이고 방사능으로부터 아이들의 건강을 지키는 유일한 방안일 것이다.



http://www.youtube.com/watch?v=3nCbtcMLPrM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