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자유 게시판

5·18 유공자 4346명 명단 입수, 광주항쟁과 무관한 인사 수두룩...(2)

작성자睦園.박이환(고10회)|작성시간23.06.07|조회수45 목록 댓글 0

5·18 유공자 4346명 명단 입수, 광주항쟁과 무관한 인사 수두룩...(2)

 







●  5·18 유공자 4346명 


명단 입수...(2)














■ 스카이데일리[단독],2023.05.18




듣보잡이라고 무시하지 말고 전문 읽어봐라 얘들 각잡고 5.18 0시만 기다렸음




스카이데일리는 지난해 연말께 국민적 관심사인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명단을 단독 입수해 광주민주화항쟁 당시 관련자와 전문가 자문을 받아 실체적 규명을 진행해왔다.




이에 5·18민주화운동 기념일 43주년을 맞아 등록된 유공자 명단에 대해 개별적인 분석과 검증결과를 토대로 공개해 나갈 예정이다.




본지가 입수한 유공자 명단은 5·18 관련 진실을 찾는 사람들이 광주 5·18기념탑에 
적혀있는 명단과 5·18 관련 단체들의 자료와 관계자 증언·언론 보도 등을 취합해 7년여 데이터 작업을 거친 자료다.




A3 용지 400쪽에 가까운 엑셀 파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명단은 4346명의
 위치 001-01’부터 ‘148-02’까지 돌판 명단에 새겨져 있는 이름·생존 여부·사인·주분류·시기·장소·작성 명단·생년월일·(공적·피해내용·차수·분류·비고 순으로 나열돼 있다
















■ 5·18 가짜유공자 정치권 인사310명으로


전체의 7.1%,














■ 전현직 언론인도 181명 포함 :








입수된 5·18유공자 4346명 명단중 광주항쟁과


무관한 인사 수두룩 ‘ 국민세금도둑 










▲ 당시 광주가 아닌 타 지역에서 시위주도한 사람과 심지어 광주항쟁 8년이 지난 노태우 정부(1988-1992저항인사도 포함




▲ 더불어민주당의 한 현직 국회의원은 5·18 당시 광주가 아닌
 타 지역에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었지만 유공자 명단에 버젓이 이름이 올라 있다.




가짜 유공자 넘쳐난 데는 인우보증(隣友保證)’ 제도가 한 몫
민주당이 유공자 심사권을 국가보훈처 아닌 광주광역시로 넘기
도록 법을 바꾼 것도 문제




네티즌들, “ 가짜유공자 색출해 그동안 부정수급한 돈 모조리 
환수하고 명단 공개해야


▶ 서옥식 ()대한언론인회 부회장 겸 편집위원전 연합뉴스 편집국장(政博)








2023년 118일 대통령실 인근인 서울시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5·18 관련 단체 회원들이
 ‘5·18 가짜 유공자 척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스카이데일리)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로 등록된 사람 중 상당수가 5·18과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온오프라인 종합 일간 매체인 스카이데일리가 확보한 5·18유공자 4346명 가운데는 5·18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전·현직 정치인과 언론인·문화인·연예인 등이 다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카이데일리는 5·18이 국가기념일로 정해져 있을 뿐아니라 5·18정신의 헌법전문 반영 움직임국가 예산으로 보상금 지급과 취업 우대 등 각종 특혜가 주어지는 현실을 감안하면....
 




■ 가짜 5·18유공자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과제라고 밝혔다.








스카이데일리는 최근 국민적 관심사인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명단을 단독 입수해 광주민주화항쟁’ 당시 관련자와 전문가 자문을 받아 실체적 규명을 진행해왔다면서


이에따라 5·18민주화운동 43주년(2023)을 맞아 등록된 유공자 명단에 대해 개별적인 분석과 검증 결과를 토대로  정계·언론계·
문화예술계 순으로 공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스카이데일리가 입수한 유공자 명단은 5·18 관련 진실을 찾는 
사람들이 광주  5·18기념탑에 적혀있는 명단과  5·18 관련 단체들의 자료와 관계자 증언·언론 보도 등을 취합해  7년여 데이터 작업을 거친 자료다.

A3 용지 400쪽에 가까운 엑셀 파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명단은 4346명의 위치 001-01’부터 ‘148-02’까지 돌판 명단에 새겨져 있는 이름·생존 여부·사인·주분류·시기·장소·작성 명단·
생년월일·(공적·피해)내용·차수·분류·비고 순으로 나열돼 있다.

등록된 유공자들은  5·18 당시 시민군으로 활동했거나 진압군에 의해 사망 혹은 상해를 입은 경우가 많았다또 5·18 당시 신군부에 대항해 투쟁 활동을 벌이다 옥고를 치르거나 군인들로부터 폭행
당한 사례도 있다.





하지만 유공자 중에는 5·18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인사들이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일부 인사는 5·18 당시 광주가 아닌 
타 지역에서 시위를 주도했다는 이유로 등록돼 있어 유공자 선정 등록 과정에 심각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5·18 당시 11살이던 A(54)씨는 1990년 수도권 소재 대학의 총학생회 소속으로 노태우 정부에 저항하는 학생운동을 했다는 명목으로 유공자에 등록돼 논란이 예상된다


경남 마산에 거주하는 B(57)씨는 한 기업의 노조위원장으로 
있던 1988년 무렵 회사를 점거 농성한 이력으로 5·18 유공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5·18과 아무런 상관이 없음에도 유공자로 선정된 이들은 
대부분 민주화 명예란 이름을 빌어 유공자로 등록됐다.

5·18 단체의 한 관계자는 엄격하게 따지면 5·18 당시 사망자나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사람들만 유공자로 선별을 해야 한다


하지만 5·18 광주항쟁 현장에 있지도 않았던 인사가 막연히 민주화 운동을 했단 이유만으로 유공자로 선정된 경우가 많은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유공자 명단 일부. A3 용지 400쪽에 가까운 엑셀 파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명단은 4346명의 위치 001-01’부터 ‘148-02’까지 돌판 명단에 새겨져 있는 이름·생존 여부·사인·주분류·시기·장소·작성 명단·생년월일·(공적·피해)내용·차수·분류·비고 순으로 나열돼 있다
.(사진=스카이데일리)

5·18민주항쟁 허위 유공자가 넘쳐나게 된 이면에는 인우보증
(隣友保證)’ 제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기존 5·18 유공자가 보증만 해주면 누구나 별다른 증거가 없어도 유공자가 될 수 있는 법률적 허점을 이용한 측면도 있어 보인다


인우보증이란 다른 사람의 법률적 행위에 대해 보증을 서주는 
제도이다통상 신원보증이라고도 하며 성인 2명이상이 서줘야 한다.

5·18민중항쟁구속자회와 5·18민중항쟁부상자회 등 관련 단체는 허위로 등록된 유공자들이 1990년부터 2015년까지 보상 차원에서 지급되는 나랏돈을 빼먹기 위해 오랜 기간에 상당한 규모로 세력화돼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이들 단체 대표들은 서울 여의도 국회 앞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가짜 유공자들이 넘쳐나고 있다며 이들을 척결해 달라는 촉구 집회를 갖기도 했다.

유공자 명단에는 전·현직 언론인과 정치인·문화인·연예인 등도 
다수 포함돼 있어 스카이데일리의 사실 검증 과정에서 속속 가짜 유공자 실체가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유공자 명단을 분석한 결과정치권에는 가짜 유공자일 개연성이 있는 인사들이 전·현직 국회의원과 도지사를 포함해 310명에 달했다이는 전체 유공자 중 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들 중에는 국내 거물급 정치인뿐 아니라 국회의원 보좌관이나 특보 등을 지낸 이유로 유공자가 된 경우도 다수 있었다더불어
민주당의 한 현직 국회의원은 5·18 당시 광주가 아닌 타 지역에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었지만 유공자 명단에 버젓이 이름이 올라 있다.

심지어 언론계에도 5·18항쟁과는 무관한 기자와 프로듀서(PD) 등 전·현직 인사만 181명으로언론사 대표를 지냈거나 편집국장·
논설위원 등 고위 임원이나 간부급 출신들이다


이들의 공적 내역은 5·18항쟁과 연관지을 만한 것이 기록돼 있지 않다특히 언론노조 활동을 한 인사가 다수 포함돼 있어 끼리끼리 나눠 먹기 한 것 아니냐는 세간의 의혹이 사실로 드러났다.

일부 연예인도 유공자로 등록돼 있다한 중견가수는 자신이 부른 노래 중 한 곡이 ‘5·18을 연상시킬 수도 있다는 이유로 유공자가 됐다이 밖에도 5·18이나 광주에 연고가 없는 남녀 중견 탤런트도 3명이나 유공자로 등록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인·소설가·평론가 등 문화예술계 인사도 적잖이 눈에 띤다
1965년생 작가는 5·18을 소재로 시를 썼다는 이유로경기도 김포에 거주하는 1964년생 작가는 5·18을 소재로 소설을 썼다는 이유로 유공자가 됐는가 하면








1963년생 영화평론가는 5·18 관련 평론을 했다는 명목으로 유공자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1955년생 사진작가 최모씨를 비롯한 상당수는 2014년 5·18기념순회사진전에 출품한 게 인정돼 유공자가 됐다.

이런 사례들은 한 두건이 아니다. 1968년생 조모씨는 1990년 박종철 3주기 추도식에 참가해 폭력정권 타도하자는 시위를 하다 집시법으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받은 게, 1975년생 오모씨는
 양심적으로 병역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518 유공자가 됐다.

518 당시 전남도청 시민군 상황실장을 맡았던 박남선 5·18기동
타격대 상임고문은 당초에 5·18 유공자가 되려면 1980년 517일부터 말일까지 항쟁에 참여하거나 피해를 본 사람들로 규정돼 있었지만 민주당이 법을 바꾸는 바람에 관련 없는 인사들이 대거 들어오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5·18 유공자 관련 법을 다시 개정해 이들을 걸러내는 작업을 거쳐 엄격하게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5·18 가짜 유공자들에 대해 네티즌 A씨는 가짜 유공자는 양심없는 매국노로 부당 혈세를 수급한 중죄인이라며 혜택 받은 액수의 수백-수천배 이상 과징금을 부여해야한다고 말했다.


B씨는 그동안 5·18 가짜 유공자들이 빨대 꽂고 먹은 돈토해
내라면서 광주광역시가 유공자를 심사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앞으로 국가보훈처가 재심사 하라고 했다.


C씨는 가짜 유공자들이 거짓이 들통날까 봐 5·18재갈법(5·18특별법)을 만들고 논란 많은 5·18을 헌법전문에 넣자는 어처구니없는 억지를 쓰고 있다고 말했다.


D씨는 가짜유공자 색출해 그동안 부정수급한 돈 모조리 환수하고 명단를 공개하라고 강조했다.












[최병묵의 팩트]


'5-18 유공자 명단'이라며 공개한 매체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