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예비맘의10개월

♡.유도 분만

작성자(운영자)준표맘선희77|작성시간09.12.01|조회수103 목록 댓글 0

저절로 진통이 오지 않을 때 사용하는 방법

유도분만은 분만을 해야 되는데도 진통이 없을 때 진통 촉진제를 써서 진통을 유발하는 것이며, 자연진통이 있는 임신부는 촉진제를 쓰더라도 유도분만이라고 하지 않고 촉진을 시킨다고 말합니다.

유도분만이란 진통이 없는 임신부에서 인공적으로 진통을 오게 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자연분만이 최고이긴 하지만 약간의 인위적은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 있습니다. 태아 사망, 심한 임신중독증, 예정일이 많이 넘는 등으로 빨리 분만해야 되는데 저절로 진통이 오지 않을 때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소파수술 할 시기를 넘어서 심한 태아 기형이 발견되는 등으로 임신중절을 해야 될 때 돌려 낳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유도분만이 필요한 경우
  • 임신기간을 더 연장시키는 것이 지금 즉시 분만을 하는 것보다 위험하다고 판단될 때
  • 정확한 예정일에서 2주일이 지난 경우 
  • 자궁 내에서 태아가 자라지 않거나 태아의 심박동이 없는 경우
  • 태반의 상태나 자궁의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 산모가 고혈압 혹은 간 관련 질환 등 병을 앓고 있어 산모와 아기의 상태가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유도분만은 어떻게 시행될까요?

진단이 정확해야 되므로 유도분만을 시작하기 전에는 월경의 규칙성, 기초 체온, 배란 초음파검사, 태아 크기를 재는 초음파검사 등으로 임신 주 수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신 42주 즉 분만 예정일에서 만 2주일이 지났는데 진통이 안 오면 촉진제를 쓰는 유도분만을 고려합니다. 분만 예정일이 확실하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그러나 분만 예정일이 불명확하고 태아 상태가 정상이라면 무리하게 유도분만을 하는 것보다는 기다리면서 경과 관찰을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유도분만의 방법

유도분만의 방법으로는 먼저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막을 인위적으로 터지게 하는 방법, 젖꼭지를 자극하는 방법 또는 피토신이라는 합성 옥시토신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피토신은 심한 분만 진통을 유발하거나 태아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맥투여시 태아 맥박 감시 장치로 태아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외에 젤이나 프로스타글라딘 호르몬이 함유되어 있는 좌약을 질에 삽입하여 자궁 경부가 열리게 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흔히 분만을 유도하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피토신 주입법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근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바로 피토신 주입으로 진통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