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예비맘의10개월

임신 27주

작성자(운영자)준표맘선희77|작성시간09.11.14|조회수83 목록 댓글 0

 

뱃속의 태아는요

- 페포가 발달하며 호흡을 위한 준비를 해요

태아의 크기는 35cm, 체중은 1kg 정도가 된다. 아직 얼굴엔 주름이 많아 마치 노인 같은 표정이며 피부를 덮고 있는 솜털과 같은 배내 털은 모근 방향에 따라 비스듬하게 결을 이룬다.

폐포의 발달로 폐포 주위엔 태아에게 필요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할 혈관이 엄청난 숫자로 늘어난다. 콧구멍이 열려 태아는 스스로 얕은 호흡을 하고 소리도 낸다. 사람으로서 기능을 할만큼 성장해 가지만, 아직 그 발달이 미숙하여 조산할 경우 밖에서 생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엄마 몸은요

- 임신선은 더욱 진해지고 밤에 쥐가 나기도 해요

자궁저의 높이는 약 24-28cm로 배가 툭 불거져 나온다. 배가 불러 몸의 균형을 잡기 어렵고 동작이 서툴러 진다. 넘어질 위험이 큰 시기이므로 각별히 주의한다.

몸무게가 6-7kg 이상 증가를 하며 다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다리 근육의 피로도가 심해진다. 다리가 붓고 피로해지며 대퇴부 정맥을 압박해 때로 쥐가 나기도 한다.

이 증세는 밤에 잘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종아리 부분을 꼭꼭 눌러주면 한결 좋아진다.

무얼 검사해야 하죠?

- 소변 량이 줄고 두통, 현기증, 목마른 증세가 지속되면 병원에 가세요

임신중독증은 고혈압과 단백뇨를 동반하게 된다. 고혈압은 최고 혈압이 140mmHg, 최저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하는데 두통이나 현기증이 느껴진다.

단백뇨는 이상하게 몸이 나른하고 식욕이 없으며 소변의 양이 줄어들고 목이 마른 증세가 보일 때 나타난다. 이런 증상이 계속되면 병원에서 가서 임신중독증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좋다.

어떤 음식을 먹을까요?

- 혈액을 만드는 코발트, 엽산 등을 충분히 섭취하세요

태아는 혈액을 만드는데 필요한 철분을 태반을 통해 모체로부터 흡수한다. 때문에 임신 중에는 철 결핍성 빈혈이 일어나기 쉬운데 적혈구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영양소로 코발트, 엽산, 비타민 B6, 비타민 B12가 있다.

코발트는 적혈구 세포에 없어서는 안 되는 영양소이며 엽산, 비타민 B6와 비타민 B12는 적혈구 생성과 재생에 필요하다. 이런 영양소가 함유된 간, 모시조개, 굴, 대합, 육류의 살코기 등을 적극적으로 섭취한다.

효과적인 체중 관리

- 조미료 사용에 주의하세요

거듭 강조하거니와 이 시기에는 소금 사용에 특별히 주의를 해야 한다. 소금을 많이 섭취하면 물도 많이 먹게 되어 부종을 일으키고 이것은 체중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흔히 중국 음식을 먹고 나면 갈증이 나는 것을 경험하는데 그 이유는 중국음식에는 조미료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 집에서 요리를 할 때도 조미료에는 화학물질과 염분의 함량이 높다는 점을 감안한다.

중점 태교

- 다양한 음악 체험을 통해 오감과 청각을 길러줘요

오감이나 뇌의 기능이 눈부시게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전래 동요나 리듬감을 익힐 수 있는 악기 소리를 들으며 태아에게 음감을 길러준다. 바빠서 태교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힘든 아빠의 경우, 시간 여유가 있을 때 노래를 녹음했다가 들려주어 아빠의 목소리를 기억하게 하는 것도 태교의 한 방법.

생활상의 주의 사항

- 가벼운 정도의 임신중독증은 집에서 치료가 가능해요

이 시기에 조산할 경우 아직 밖에서 생활하는 것은 무리가 되므로 임신중독증이 있다면 서둘러 초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최고 혈압이 140mmhg, 최저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단백뇨가 나오고 심하게 붓는 경우라면 입원하는 것이 좋다. 반면에 증상이 가벼우면 집에서 휴식과 식이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잠은 적어도 8시간을 자도록 하고 낮잠을 1시간 정도 자는 게 좋다. 이때 옆으로 누워 자면 신장이나 태반에 혈액 량이 늘어 혈액순환이 좋아진다. 육체적인 과로는 물론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혈압을 높이고 혈액순환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가능한 숙면을 취하고 편안한 전신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직장에 다니는 임신부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출퇴근에 시달리는 것은 물론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서 있는 시간이 아무래도 많기 때문이다. 오래 돌아다니는 일, 하복부에 힘을 주는 일, 장시간 서서 하는 일은 가급적 하지 않는 게 좋다. 점심 시간이 휴식 시간을 이용해 5-10분 정도 누워 있거나 이것이 여의치 못할 경우에는 의자에 잠시 발을 올려놓고 쉰다.

아빠, 엄마 사랑은요...

- 아내가 위로 앉는 전좌위가 바람직해요

남편이 무릎을 꿇고 앉은 상태에서 아내가 그 위로 다리를 올리고 앉는다. 전좌위는 임신부가 결합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좋다.

스페셜 어드바이스

- 잠을 잘 때는 옆으로 누워 자는 것이 편해요

이 시기가 되면 부른 배 때문에 똑바로 누워 자는 것이 힘들게 된다. 똑바로 누운 자세는 초기에는 괜찮으나 중, 후기에는 좋지 않다. 커진 자궁이 척추를 따라 대정맥을 압박하여 혈액순환을 나쁘게 하기 때문이다.

옆으로 누워 위쪽 다리를 구부려 바닥에 대거나 다리 사이에 베개를 기운 자세는 배가 바닥에 닿아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엎드려 자는 것은 목이 장시간 한쪽으로 돌려진 상태가 되어 목에 통증을 일으킬 뿐더러 임신 중기이후에는 뱃속의 아기에게 압박이 되고 임신부 자신도 배가 눌려 불편하므로 좋지 않다.

수면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잠자는 자세도 중요하지만 베개의 높낮이, 바닥의 쿠션 정도이다. 베개의 높낮이는 안락한 수면을 결정한다. 높은 베개는 목 주위의 근육과 어깨 근육의 과도한 긴장상태에 이르게 하기 때문에 아침에 일어나서 목을 움직일 수 없다거나 두통이나 현기증을 가져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개의 높이는 옆으로 누웠을 때 목의 경추 굴곡이 자연스럽게 유지될 수 있는 정도가 가장 좋다. 일반적으로 12cm정도가 가장 적당. 임신부는 자주 허리 통증을 느껴 바닥에 딱딱한 판자나 하드보드 등을 바닥에 깔고 자면 좋은지 묻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잘못된 것으로 몸 전체를 골고루 받쳐주지 못해서 오히려 통증을 더 많이 가져온다. 그렇다고 너무 푹신한 것도 좋지 않다. 정상적인 S커브의 척추를 유지하기에는 인대와 근육에 너무 무리가 가기 때문.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