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설계컨설팅 / 합리적인 미니멀 하우스

작성자초익공|작성시간23.05.19|조회수32 목록 댓글 0

설계컨설팅 / 합리적인 미니멀 하우스

용인 목조주택

 

건축설계는 계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로 이어진다. 대지 여건을 고려한 배치부터 공간의 풍성함을 결정짓는 단면, 세대수와 가족의 취향을 반영하는 평면 계획 단계에서 건축가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엿보는 기회를 가져본다.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역지구 ≫ 제1종 일반주거지역    
대지면적 ≫ 129.77m2 (39.26평)    
건축면적 ≫ 74.28m2 (22.47평)  |  연면적 ≫ 149.21m2 (45.14평)     
건폐율 ≫ 57.24%  |  용적률 ≫ 115%   
주차대수 ≫ 총 2대     
최고높이 ≫ 9m   
건물규모 ≫ 지하 1층, 지상 2층     
공법 ≫ 경량목구조  |  외부마감재 ≫ 벽돌

 

 

SITE & FAMILY

경기도 용인, 이미 주택들이 대부분 들어서 단지가 어느 정도 형성된 곳의 마지막 필지에 단독주택을 설계해야 했다. 주변 집들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했고, 계획된 예산에 맞는 집을 짓기 위해 단순한 매스와 배치만으로 최상의 주거공간을 구현하는 것이 과제였다.

젊은 부부와 막 태어난 아기, 반려견이 오붓하게 모여 사는 단독주택이다. 아직 어린 아기가 2층 공간을 오르내리기 힘든 것을 대비해 1층에 아이의 공간을 둘 것을 요청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게스트룸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독 거실 공간이 있었으면 했다.

 

 

CONCEPT

가성비 좋은 집을 짓는 것은 어쩌면 많은 이의 희망 사항일 것이다. 젊은 건축주 부부가 의뢰해온 이 집은 한정된 예산 안에서 최대의 퀄리티를 만들어내기 위해 주택 구조와 마감재 선정 등을 가능한 단순화했다.
건물의 배치는 옆집과의 조화를 염두에 두고 계획해 개방감과 프라이버시의 공존을 꾀했다. 이웃 건물이 인접한 양쪽 측면의 외벽에는 창을 최소화하고 마당과 주택의 정면, 숲이 펼쳐진 후면으로 크게 열린 창과 발코니를 두어 외부 공간을 집 안으로 끌어들였다.

INTERIOR

수납이 넉넉한 현관. 중문을 열고 들어서면 주방 겸 다이닝 공간과 연결된다.


개방감과 프라이버시  | 
 주택 단지는 개방감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확보하기 쉽지 않지만, 해당 필지는 뒤편으로 작은 숲이 펼쳐져 있는 것이 장점이었다. 이웃집이 있는 좌우 측면 벽에는 창을 거의 내지 않되, 후면으로 넓은 창을 계획했다. 높은 박공지붕의 2층에는 아담한 테라스를 두었다. 덕분에 작지만 답답하지 않고 채광이 풍부한 집을 만들 수 있었다.

계단실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1층 거실. 넓은 창 너머 초록이 싱그럽다.


가변성 있는 공간  |  크지 않은 면적의 집에 다양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고민이 1층 레이아웃에 반영되었다. 현관에서 들어오면 가장 먼저 주방을 마주하게 되고, 거실은 계단실을 중심으로 완전히 분리된다. 거실과 계단실 맞은편에는 필요에 따라 문을 여닫아 쓸 수 있는 작은 방을 두었다. 아이를 위한 공간이나 게스트룸으로 사용 가능한 가변적 공간이다.

화이트&우드를 기본으로 미니멀하게 디자인한 주방 겸 다이닝 공간.


미니멀 인테리어  |  인테리어는 화이트 컬러를 기본으로 심플하게 연출했다. 디테일을 최소화한 미니멀 디자인의 공간에 1층 주방 하부장, 욕실 문 등의 우드 포인트가 자칫 차갑게 느껴질 수 있는 집 안에 따스함을 더한다. 주택 외관 역시 백색의 벽돌로 마감하고 현관의 포치와 차고 문에 목재로 포인트를 주어 화이트&우드의 디자인 콘셉트를 통일감 있게 구현했다.

군더더기 없는 인테리어의 욕실에는 욕조 옆에 창을 내었다.

 

SECTION & PLAN

 

 

실내건축디자이너 정지희 _ ㈜공간산책

 

한양대학교 실내건축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으며 15년간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건축 현장경험과 인테리어 설계 경험을 쌓았다. 건축하는 인테리어 디자이너로서 목조주택 상담부터 설계, 인테리어 시공, 감리, 사후관리까지 도맡으며 고객 맞춤형 주택을 짓고자 한다. 어떠한 환경에서든 산책하듯 여유롭고 안정된 공간을 연출하고자 하며 유행에 민감하지 않은 공간을 연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031-287-5249│jzzhi@naver.com

구성_ 편집부

출처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