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전원주택 얼마면 지을 수 있어요?

작성자느림쟁이|작성시간11.04.21|조회수7,786 목록 댓글 42

대지는 곧바로 집을 지을 수 있고 농지나 임야는 전용을 받아 집을 짓게 된다. 집을 지으려면 우선 설계를 해야 한다. 부지 어디에 어떤 방향으로 어떤 모양의 집을 지을 것인가 배치를 해보고 주택의 공간과 외관의 모습은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설계를 해야 한다.

설계는 전문 건축사에게 맡길 수도 있지만 농촌지역에 200㎡ 이하의 전원주택은 시공업체에서 일반적으로 해준다. 이때 얼마 크기의 어떤 유형의 집을 지을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나 시공업체를 찾아다니며 상담을 하게 되는데 집의 쓰임 즉 단순한 주택인가 펜션이나 카페 등으로 이용할 것인가에 따라 모양이나 평면의 구성 등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또 가족 수에 따라 공간이 결정되고 골조는 어떤 자재 즉 나무나 흙, 콘크리트 등 적당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이런 일들을 시공업체 선택해 조언을 들으며 함께 진행하는 것이 좋다. 실시설계가 끝나면 자재를 구입하고 진행되는 과정을 보면서 시공비를 지불하는 등 집을 짓게 되고 다 지으면 정화조시설이나 전기, 가스 등 시설을 제대로 했다는 확인서를 첨부한 준공서류를 만들어 시군청에 집을 다 지었다는 신고를 하고 준공이 나면 사용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보존등기도 할 수 있다.

이것이 집 짓는 일반적인 과정인데 집을 짓는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당 가격이 얼마냐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을 집을 지어놓은 것을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살 집을 설계나 시공 전문가에게 맡겨 자신이 원하는 대로 주문해 짓는다. 그러므로 전원주택을 짓는데 얼마라고 단정 지어 말할 수 없다. 얼마 크기의 집을 어떤 자재를 사용해 어떤 기능의 집으로 지을 것인가에 따라 가격은 많이 달라진다.

굳이 가격을 말한다면 전원주택은 3.3㎡ 300만원에서 350만원 정도 선에서 지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격이 낮으면 자재의 등급이 낮고 기능이 떨어지든가 공사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이 많고 가격이 높으면 자재도 고급이고 벽난로나 데크 시설과 조경 등 서비스 공간이 많아진다고 볼 수 있다.

집짓기를 할 때는 손수 집을 짓지 않더라도 시공의 기본적인 지식에 대한 무장이 돼 있으면 좋은 집을 지을 수 있다.
인터넷이나 잡지 등을 통해 정보를 구하든가 아니면 전문가를 만나 상담을 한 후 집 짓는 것이 실패하지 않는다. 쉽게 생각해 시작을 했다 집을 잘 못 지어 살면서 고생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잘못된 자재선택과 설계의 잘 못, 예산 부족, 시공업체와의 갈등 등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므로 기본적인 것들은 알고 시작하라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면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을 자신이 직접 짓는 방법이 있고 직영하여 짓는 방법, 업체에 위탁하여 짓는 방법이 있다. 자신이 직접 짓는 방법을 택할 때는 전문가 못 잖은 지식과 시공능력이 있어야 한다.

어설프게 아는 지식으로 직접 짓겠다며 시작을 하면 완성도에서 많은 문제가 생겨 돈은 돈 대로 들이고 문제가 되는 집을 만들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직접 망치를 들고 공사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꾼이나 자재를 직접 구해 짓는 방법을 직영공사라 하는데 이때도 마찬가지로 시공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필요할 때마다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가를 확보한 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시공업체에 위탁할 때는 시공비에 대해 단순한 비교를 하여 싸게 지어준다는 업체와 계약을 하는데 자재의 종류와 공사의 범위 등에 대해 꼼꼼히 따져보고 가격 대비를 하는 것이 좋다. 적은 비용을 선택하게 되지만 막상 지으면서 견적서에 포함된 공사가 아니라며 추가 공사비를 요구해 오히려 비싸게 지을 수 있다. 평당가에 너무 예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시공업체를 선택할 때는 시공한 실적이 있고 하자에 대한 A/S가 가능한 업체를 선택해야 하며 특히 시공비 지급 조건에 대해 정확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불무리 | 작성시간 17.04.26 많은 도움 받고 갑니다..감사합니다.
  • 작성자하진철 | 작성시간 18.02.02 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삼천평 | 작성시간 18.06.01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popeye | 작성시간 19.12.31 좋은 정보 감사~~~^^
  • 작성자평택 이정식 | 작성시간 20.02.12 좋은정보 감사드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