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자동차의모든것

하이브리드 자동차만의 관리법이 따로 있을까요?

작성자동호인|작성시간23.08.29|조회수49 목록 댓글 0

일반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와 구조가 다른 하이브리드 자동차. 그렇다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관리법은 내연기관 자동차와는 다른 걸까요? 아니면 내연기관 자동차와 동일하게 관리해 주면 되는 걸까요?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관리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1. 엔진오일 점도 체크하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기존 차량의 내연기관에 추가적으로 전기 모터를 달아 사실상 2개의 동력 기관으로 움직이는 차량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차량과 마찬가지로 엔진오일을 점검하고 교환하는 것은 필수인데요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은 주행 상황에 따라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교차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엔진오일의 점도를 가장 중요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만약 점도가 높은 오일을 사용하면 전기 모터로 구동되다가 엔진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엔진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저점도 오일을 사용해 엔진의 부담을 줄이고 전기모터로 전환되는 과정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용 오일도 있다고 하니 이 점도 참고하세요!

#2. 배터리 관리하기

소모품인 배터리의 특성상 주행기간이 길수록 점점 노후화될 수밖에 없는데요. 때문에 하이브리드 차량 역시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점검해 방전에 대비해야 합니다. 특히 온도가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더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주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는데요. 때문에 최소 2개월에 한 번씩은 장거리 운행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주기적으로 시동을 켜서 배터리를 충전해 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장시간 주차를 할 경우에는 외부 온도의 영향을 덜 받도록 서늘한 지하 주차장에 주차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럴 때 블랙박스의 전원을 꺼두는 것도 배터리 보호에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최신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배터리 방전을 대비하기 위해 전원을 스스로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도 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스마트키가 작동하지 않고, 시동 버튼을 눌러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습니다. 이럴 때 당황하는 운전자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해보세요!

먼저 문을 열기 위해 도어록을 수동으로 해제해야 합니다. 스마트키에서 보조키를 분리한 다음 도어 핸들을 당긴 채 홈에 보조키를 넣어 커버를 벗겨 냅니다. 이후 보조키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도어록을 해제해 주세요. 이후 차에 탑승했다면 12V BATT RESET 버튼을 눌러 배터리 보호 기능을 해제하고 시동을 걸면 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버튼을 누른 후 15초 이내에 시동을 걸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그렇지 않는다면 배터리가 과방전 될 수 있으니 이 점 꼭 주의하세요!

#3. 꼼꼼한 관리를 통해 연비 향상시키기

꼼꼼한 관리를 통해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앞서 말씀드린 대로 낮은 점도의 엔진오일을 사용하는 것과 함께, 배터리 충전 시간을 늘린다면 연비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감속될 때 배터리를 충전하는데요. 이 감속 시간을 늘려 배터리 충전 시간을 조금이라도 길게 해준다면 충전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일반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신호 대기를 할 때 기어를 중립으로 놓으면 연비를 올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는 필요에 따라 엔진을 켜고 끄기 때문에 이런 기어 조작이 불필요하며, 오히려 기어에 무리를 줄 수 있다고 하니 이 점 참고하세요!

마지막으로 겨울이 되면 하이브리드 차량은 연비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 히터가 꼽히는데요.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의 경우, 히터를 작동시키면 엔진 부하가 일어나 연비가 나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너무 추운 겨울 날씨가 아니라면 히터 대신 시트에 열선을 작동시켜 주행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일반 차량 못지않게 꼼꼼히 관리해 줘야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이런 꼼꼼한 관리와 점검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장점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 잊지 마세요!

출처 삼성화재 다이렉트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