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보이스피싱, '금융기관 사칭→대출사기형' 진화

작성자산골조실장|작성시간17.07.31|조회수393 목록 댓글 0


[휴면계좌의 덫②]"저금리로 갈아타시죠"…벼랑 끝 서민 두 번 울리는 '보이스피싱' 본문듣기 설정
기사입력2017.07.31 오후 6:02
최종수정2017.07.31 오후 6:04
화나요 좋아요 좋아요 평가하기 146
271
글자 크기 변경하기

SNS 보내기
원본보기


가계빚 1400조 시대에 서민들 '이자 부담'을 사기 도구로 악용
저금리 대환대출 도와줄테니 지정 계좌로 돈 보내라는 식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액 중 대출빙자형 피해 비중 70% 육박
사기범이 피해자 직접 만나 현금 받아가는 '과감형 보이스피싱'도 주목
사회경험 적은 20·30대 女 주타깃…"돈 보내라 요구 있으면 의심해야"

【서울=뉴시스】이근홍 기자 = # 서울에 사는 40대 직장인 이모씨는 지난해 20% 후반대 고금리를 적용하는 대부업체를 통해 800만원을 빌렸다.

급전이 필요해 발등의 불부터 끄자는 심정으로 대부금융을 이용했지만 이후 매달 지불해야 하는 이자 부담에 시달려야 했던 그는 최근 모르는 이로부터 솔깃한 제안을 받았다.

자신을 금융회사 직원이라고 소개하며 전화를 걸어온 한 남성은 지금의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인 햇살론으로 갈아타게 해줄테니 기존 대출금을 본인이 알려주는 통장 계좌로 입금하라고 요구했다.

이자로 인한 스트레스가 컸고 정책금융 상품인 햇살론에 대한 지식도 없었던 이씨는 지인들의 돈까지 빌려 마련한 800만원을 대환대출용 통장에 입급했다.

하지만 이 통장은 대포통장이었다. 달콤한 유혹에 이끌려 검증 작업을 하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 보이스피싱에 낚인 이씨는 기존 대부 대출 이자는 그대로 내야 하는 상황에서 피같은 돈 800만원까지 허공에 날린 처지가 됐다.

◇보이스피싱, '금융기관 사칭→대출사기형' 진화

금융당국의 감시 속에 잠잠해지는 듯 했던 보이스피싱이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14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로 인해 서민들이 벼랑 끝에 내몰리자 이를 사기의 도구로 삼는 방식으로 보이스피싱이 진화하고 있다.

과거 보이스피싱은 개인정보유출·가족 및 지인 납치·금융당국 및 금융기관 사칭 등을 미끼로 사기 대상을 유혹했다.

가령 금융감독원 직원을 사칭하는 이가 전화를 걸어 "피해자의 계좌에서 180만원이 무단 인출돼 경찰청과 금융감독원을 통해 조사가 필요하니 주민등록번호와 텔레뱅킹에 필요한 정보(계좌번호·계좌비밀번호·보안카드번호 등)를 알려달라"는 식이다.

지난 2015년 정부가 보이스피싱을 '민생침해 5대 금융악'으로 규정한 이후 금감원 등이 전방위적인 관리에 나선 덕분에 최근에는 보이스피싱 사기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규모는 1919억원(4만5748건)으로 전년 2444억원(5만7695건) 대비 21.5% 줄었다.

문제는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 국민이 1359조7000억원(지난 3월말 기준) 빚 더미 위에 앉아 시름하고 있는 사이 사기범들은 서민들의 가장 아픈 곳, 즉 대출과 관련한 형태로 보이스피싱을 이어가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전체 피해액 대비 대출빙자형 피해액 비중은 42.7%였으나 지난해에는 이 비중이 69.8%로 급증했다.

◇대출사기, "특정 계좌에 대출금 넣도록 유도"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의 대표적인 유형은 두 가지다.

우선 사기범은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피해자에게 기존 대출을 햇살론 등 저금리의 대출상품으로 대환해 주겠다며 접근해 대포통장으로 기존 대출금을 넣도록 유도한다.

또 다른 유형은 더욱 지능적이다.

사기범은 정부정책 자금을 받기 위해서는 캐피탈사 등으로부터 고금리 대출을 이용했던 이력이 필요하다며 피해자를 설득한다.

이후 고금리로 받은 대출금을 은행연합회를 통해 즉시 상환하면 신용등급이 올라간다고 속여 지정계좌(대포통장)로 돈을 유인한다.

만약 피해자가 은행연합회 직원(사칭)이 알려준 계좌에 돈을 보내면 이는 곧바로 사기범의 손에 들어간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출빙자형의 경우 경기 위축에 따른 서민들의 대출 수요 증가, 사기 수법의 정교화 등의 요인들로 인해 최근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대출 수요가 많은 40·50대가 피해자 62%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기범은 금융회사 직원을 사칭해 특정 계좌에 대출금을 집어넣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금융회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직원 명의 계좌로 대출금을 받지 않는다"며 "저금리 대출을 위해 고금리 대출을 먼저 받으라는 권유는 100% 보이스피싱이며 대출 권유 전화를 받으면 일단 전화를 끊은 후 제도권 금융회사·직원의 재직 여부 등을 확인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과감해지는 보이스피싱, 사기범이 직접 수령

보이스피싱 수법이 갈수록 과감해지는 경향도 감지되고 있다.

과거에는 유선상으로 검찰·금융당국·금융사 직원을 사칭한 뒤 대포통장으로 돈을 보낼 것을 유도했지만 최근에는 전화 통화 이후 사기범이 피해자를 만나 직접 현금을 수령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자신이 금감원 직원인데 피해자 앞으로 대포통장이 만들어져 있으니 모든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그 안에 있는 돈을 자신에게 맡겨 두라는 식이다.

대부분 사회경험이 적은 20·30대 여성들이 이 수법에 피해를 많이 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사기범이 급박한 상황을 연출해 피해자를 고압적인 태도로 대하면 특히 여성들의 경우 심리적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며 "직접 돈을 관리하겠다는 등의 일반적이지 않은 대출 상환을 요구할 경우엔 일단 보이스피싱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