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우리나라 독립이 그냥 된 줄 아는가?

작성자기라선|작성시간20.11.05|조회수85 목록 댓글 0

 

 

공짜는 없다-서대선

 

바람이 몹시 불던 날

실미도 가는 선착장 근처에

검은 점퍼의 사내들이

낚싯대를 드리우고 골똘하다

만조의 바다 마을 앞 시멘트 방벽까지  

달려와 출렁이며 무언가 웅얼거린다

낚시꾼들 옆에 놓아둔 물통을  

들여다 본다 비어 있다 

바다를 건너 온 바람이 상가 간판을

마구 흔든다 멀리서 둔탁하게

무언가 쓰러지는 소리

실미도 가는 선착장 근처에서

검은 점퍼의 사내들이

드리운 낚싯대가 바람에 흔들린다

검은 구름들이 빠르게 실미도 쪽으로 달려간다 

물지 마라 알랑거리는 떡밥

덥석 물지마라

네 입질에 꼬리치는 떡밥 속엔

네 자유, 네 영혼, 네 목숨이 계산 되어 있다

흔들리지 마라 아무리 배고파도

알랑거리는 떡밥에 흔들리지 마라

세상에 공짜는 없다

 

       -1946년에 발간된 중등조선역사.본인이 소유한 것은 1931년 발간된 것.차이점은 발간된 곳만 다르다-

-단군초상-

-고구려의 영토가 생각한 것보다 엄청크다.발해 역시.또 하나 특징은 지도마다 울릉도를 표시했다. 당시  참 위험한 생각이었을덴데.....-

 

국정교과서의 기원은 구한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1895년 학부에서 출판한

《국민소학독본》이 우리나라 최초 교과서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소학교령」에 의해 제도적으로 편찬한 것이어서 최초 국정교과서인 셈이다.

이 때는 검정교과서 역시 사용할 수 있었으나 민간인의 출판능력의 한계로 활성화되지

못했다. 대신 일본인에 의해 주로 검정교과서가 출판되었다.

반면 민족자본에 의해 출판된 검정교과서는 그리 많은 편이 아니었다.

1906년 휘문학교 교재로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진 민족사학자 황의돈이 저술한

《중등조선역사》가 대표적이다. 당시 국정교과서든, 일본인에 의해 만들어진

검정교과서든 편찬목적은 일치했다.

바로 친일정부의 정책적 목적에 따라 식민지교육 기본방침에 충실한 교과서 발행이다.

그러나 민간주도로 제작된 검정교과서는 자주독립, 반일사상의 고취, 자주성 확립을

위한 민족적 성격이 짙은 것들이었다.

이와 같이 국정교과서는 당대의 지배층과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성을 만드는 데 충실한

도구였던 셈이다. 이 같은 의도는 해방 후 친일정부나 군사정부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답습되었다.

 

황의돈.

이 분은 누구인가?

본관은 장수이고 호는 단원이다. 서울과 동경에서 수학하고 1909년에는 만주 북간도

중영촌에서 명동학교를 설립하고 해외동포에 독립사상을 고취 시켰으며,

1910년에는 정주오산학교, 평양대성학교에서 국사과 교사로 교편생활을 했다.

1962년 대통령문화훈장을 수여받았으며 동국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890년에 태어난 황의돈선생은 가까운 인척이 한말의 문인 황현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 전통적인 유학자의 가문에서 성장했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워 4살 때부터

‘천자문’, ‘소학’, ‘동몽선습’등을 두루 섭렵했으며, 16세에 이르러 사서오경을 모두

익힐 정도로 한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습득했다.

17세 되던 해 신학문을 배우기 위해 군산공립보통학교 보습과(補習科)에 입학해

1년 간 수료한 이후 황의돈 선생은 서울과 일본을 오가며 동서양에 걸친 고전과

근대식 학문을 두루 접했다. 1907년 신학문을 배우기 위하여 근대식학교인

군산공립보통학교 보습과에 입학하여 1년 만에 수료하고 그뒤 2년간은 서울과

일본 동경(東京)을 내왕하며 근대학문을 섭렵하였다.

 

1909년 일제의 침략에 의하여 국운이 존망의 위기에 처하고 있음을 직시하고

구국운동의 전개를 위해 북간도 중영촌으로 이주, 명동학교를 설립하고 국사교육

등을 통한 애국사상고취에 힘썼다.

 

1910년 일제의 강압에 의하여 국권이 상실되자 귀국하여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중국방면으로 다시 망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승훈 등의 만류로 망명을 포기하고, 안주·가산·정주 등지에서 국사교육을

맡아 후진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데 전념했다.

1911년 안창호가 설립한 대성학교에서 국사교육을 맡았으며,

1913년에는 향리에 돌아와 청년들에게 국사를 강의하기도 했다.

 

대성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을때인 1911년 문일평과 역사를 담당할때 시험문제로

'국권회복'에 대한 문제를 내고 "폭탄과 암살이 최선책"이란 답에 만점을 줘 학교가

폐쇄된 일화가 유명하다.

 

1916년에는 YMCA강당에서 국사강연을 한 것이 문제가 되어 일본경찰에 붙잡혔으며,

재직하고 있던 휘문의숙의 교사직에서 파면됐다.

1920년 이후 약 20여년간 보성고등보통학교에서 국사와 한문 강의를 계속하였고,

휘문고등보통학교와 중동학교의 교원을 겸임했다.

1938년 이후 일제의 침략전쟁인 중일전쟁이 확대됨에 따라 학교에서의 국사·국어

교육이 금지되고, 이에 따라 보성고등보통학교의 교사직을 사임하고 조선일보사

기자가 돼 고적조사를 담당했으며 오지영의 ‘동학사’ 서문을 쓰기도 했다.

1940년 조선일보가 폐간되자 기자직에서 물러나 향리에 은거했다.

 

1940년대 들어 일제의 식민지 정책은 극에 달했고, 이 당시 유일하게 그의 마음에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해 줬던 것은 불교였다.

1942년 그의 나이 52세 되던 해 창씨개명 비협력자로 지목돼 옥고를 치룬 후 황의돈

선생은 당시 강원도 오대산에 주석하고 있던 한암 스님으로부터 참선 수행을 배우면서

불교에 귀의한다.

이후 불교에 심취했고, 그의 학문과 사상에도 불교의 영향을 깊이 받게 됐다.

한국사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불교사를 새롭게 연구하려는 시도가 바로 그것이었다.

1945년 해방과 함께 황의돈 선생은 문교부 편수관의 직책을 맡아 국사 교과서를

편수했고, 51년∼62년까지 동국대 교수로 활동하며 ‘역사적 대국의 동향과 불교’,

 ‘원측대사와 원효대사’등 수많은 저술과 논문을 남겼다.

특히 그는 일제하에 그들의 눈을 피하여 삼국유사 정덕본을 몰래 숨겨오다가 해방을

맞아 이것을 공개해 일제가 삼국유사를 조작하였음을 만천하에 밝혔다.

그의 사학적 특징은 부여족을 민족의 뿌리로 보았으며 신라와 발해시대를 남북조

시대로 최초로 정립시켰고 역사의 주체를 민중으로 보는 시각을 가졌다.

신채호의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 유심사관과는 다른 '문화사관'을 추구하여 역사를

단선적이지 않은 종합사로 인식했다.

평생을 한국사 연구에 매진했던, 특히 민족주의적 사관에서 우리민족의 정통성을

강조하려 노력했던 황의돈 거사는 1964년 11월 23일 74세를 일기로 입적했다.

 

저서로는 ‘대동청사’, ‘조선신사’, ‘중등 조선역사’ 등의 사서와 ‘화담 서경덕전’,

‘이목은전’, ‘안의사’, ‘손의암(병희)전’ 등 전기 다수, 그리고 ‘갑오혁신운동과

전봉준’ 등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인용)

 

 

참 대단한 분이 아닐 수 없다.

식민지 36년.

그리고 독립.

우린 그냥 독립된 줄 알고 있다.

공짜로 그냥 얻은 것처럼 생각하지는 않는가?

이런 분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은 아닌가?

 

목숨을 내 놓은 분들.

우린 그 분들의 숭고한 뜻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자료 더보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