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3.1운동 100주년…되짚어보는 근대 통신사(史)

작성자기라선|작성시간20.12.04|조회수41 목록 댓글 0

 

 

3.1운동 100주년…

되짚어보는 근대 통신사(史)

  • 류은주 기자
  • 입력 : 2019.03.01 06:00


    3.1운동이 100주년을 맞았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영화 '항거 유관순 이야기'가 개봉되고 곳곳에서 항일운동 관련 전시회와 다채로운 기념행사들이 열렸다. 일제강점기는 아프지만 기억해야 할 역사이기 때문이다.

    대한문 앞 만세시위. / 독립기념관 제공


    일제강점기(1910~1945년)는 개화가 일어나는 격변의 시기였다. 이로 인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수단에도 급격한 변화가 있었다. 봉화대와 파발마에 의존하던 조선의 통신망이 우편, 전신·전화 등으로 다양하게 변모했다.

    ◇ 우편업무 도입한 갑신정변 주역 홍영식

    근대식 우편 업무는 1884년 우정(郵政)총국이 설치되면서부터 시작됐다. 당시 우편 업무는 중앙에 우정총국을 두고 지방에 우정국을 두는 체계였다. 개화파였던 홍영식이 우편제도 도입을 주도했다. 그는 일본과 미국의 근대식 우편제도를 살펴본 뒤 국가 발전을 위해 꼭 도입이 필요하다고 고종에게 건의했다.

    물론 그 과정은 순탄치 못했다. 우표까지 발행하며 새로운 우편제도를 준비하던 우정총국은 개설 축하연을 벌이는 자리에서 일어난 갑신정변으로 인해 제대로 된 업무를 해보지도 못하고 폐쇄됐다. 지금의 장관격인 초대 우정총판에 임명됐던 홍영식도 결국 참살당했다.

    서울 종로구 견지동에 위치한 우정총국(왼쪽), 우정총국 책임자였던 홍영식.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공


    1893년이 돼서야 전우총국이라는 이름으로 우편 업무가 다시 이어졌다. 이후 공무아문 역체국, 농상공부 통신부, 통신원 등으로 이어나갔다.

    우표를 쓰게 된 것은 통신국이 설치된 1895년부터다. 이때 ‘벙거지꾼’이라 불리던 집배원이 생겨 민간인들도 편지를 전할 수 있게 됐다.

    1900년 1월 만국우편연합에 가입해 외국과도 우편물을 교환하고, 대한제국 통신원으로 독립 발족하는 등의 성과도 있었다. 하지만 1905년 한일통신기관협정에 강제체결로 결국 통신권을 박탈당했다.

    ◇ 日 대륙침략 보조수단으로 활용된 ‘전신’

    서로 떨어진 곳에서 전류나 전파를 이용해 약정된 부호 신호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받은 통신 ‘전신(電信)’은 1885년 9월 한국에 최초로 도입됐다. 서울과 인천에 최초의 전신이 가설되고 이를 관할하기 위해 한성전보총국(漢城電報總局)이 개국되면서 전신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10월 18일에는 의주까지 전신이 가설돼 인천-서울-의주에 이르는 서로전신선(西路電信線)이 완전히 개통됐다. 이를 통해 청나라를 거쳐 유럽까지 통하는 국제 전신도 연결됐다.

    1885년 전신기가 처음으로 도입됐다. 1887년 3월 13일 서로전신선(인천-서울-의주)을 운영하는 한성전보총국과는 별도로 조선전보총국을 창설하고, 홍철주를 초대 총판에 임명해 독자적인 전신 사업을 시도했다.


    한성정보총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공


    하지만, 1894년 청일전쟁의 발발로 전신사업은 위기에 처한다. 남로전신선(서울-부산)만이 우리 관할하에 있게 됐고 서로전신선과 북로전신선(서울-원산)은 일본군이 군사용으로 강점했다. 청일전쟁이 종결된 뒤에도 일본은 전신 선로를 선뜻 반환하지 않았다.

    1896년 7월 전보사 관제를 새로 제정하고 국내 전보 규칙을 보강하는 등 전신 사업이 본격화됐다. 1900년 3월에는 독립된 체신 사업 관청으로서 통신원을 창설했으며, 공중전화 사업도 이때 시작됐다.

    하지만,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면서 전신 사업은 또다시 위기에 몰렸다. 청일전쟁 중에 대한제국의 전신 선로를 불법점거 및 사용하고, 그들이 불법으로 가설한 군용 전신권을 철폐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를 보호한다는 명목하에 군대까지 주둔시키고 독자적인 전기통신망도 구성한 것이다.

    일본은 1905년 2월에 이르러 대한제국 정부에 명목상 위탁 운영이라는 형식으로 통신권 이양을 정식 요구하더니 4월 1일 ‘한일통신 협정’을 강제로 체결하고 통신 기관을 강탈했다.

    1910년 국권을 강탈당한 뒤 전신 사업은 일제의 대륙 침략과 식민지 정책 수행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전락해 공공 서비스라는 통신 본래의 기능은 극히 제한됐다.

    ◇ 큰절 네 번 하고 받는 왕의 전화

    우리나라에 전화기가 처음으로 소개된 것은 1882년이다. 청나라 톈진 유학생 상운(尙雲)이 3월에 조선으로 귀국하면서 전화기와 전선 100m를 가지고 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실용화된 것은 1890년대에 이르러서다.


    궁내부 교환기를 통해 고종과 대신의 전화통화 모습을 재현한 상상도. / KT 제공


    첫 전화기는 1896년 대한제국 때 경운궁(덕수궁) 안에 설치됐다. 조선 시대에는 전화기를 영어 단어 텔레폰(telephone)을 음역한 '덕률풍'으로 불렀다. 이밖에도 ‘전어기’, ‘어화통’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최초의 전화기는 궁안에 설치된 만큼 왕과 신하 사이에 연락을 주고받는 용도로 사용됐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군신의 예가 엄했기 때문에 궁 안에서 전화를 사용할 때는 관복, 관모, 관대를 바르게 착용하고 전화를 향해 큰 절을 네 번 하고 무릎을 꿇고 엎드려 전화기를 이용해야 했다.

    1902년에는 서울-인천 간 전화가 가설돼 드디어 일반인들도 전화를 사용할 수 있었다. 이후 교환시설을 갖춘 관소인 전화소는 1902년 한성(서울)전화소와 인천전화소에서 시작해 개성전화소의 개설로 이어졌다.

    이듬해에는 평양과 수원, 한성 전화소 산하인 서울 경교, 도동, 마포, 시흥 등 9개소로 늘었다. 전화소 개설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 전화 가입자 수도 80명쯤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1905년 4월 대한제국의 통신사업권을 일본에 빼앗기면서 전화 보급이 중단됐다. 민간 전화사용의 80% 이상은 일본인이 됐다. 게다가 나머지 전화는 정부 부처와 신문사, 극장 등에서 관용으로 사용됐으므로 조선인들의 전화 사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최초의 국제전화는 1924년이다. 하지만 전화도 전신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대륙 침략을 위해 활용됐다. 일본에 빼앗긴 통신 사업권은 이후 광복이 될 때까지 무려 40년간 되찾을 수 없었다.

    Copyright © IT Chosun.

     


    자료 더보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