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혀 안닦으면 골다공증, 심장병 위험 높아진다

작성자자운영2|작성시간23.11.03|조회수69 목록 댓글 2
혀 안닦으면 골다공증, 심장병 위험 높아진다


■ 혀 속 세균, 몸 속으로 침투 
혀는 표면의 주름과 수분(침)과 영양분 등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다.
혀에는 잇몸병을 일으키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충치를 일으키는
'스트랩토코쿠스 뮤탄스' 등의 세균이 10만~100만 마리쯤 있다.  


세균 종류도 500여 종에 이른다.
이 세균들은 잇몸과 치아 사이 등에 침투해 치주 질환과 충치를 일으킨다.
또 음식이나 침을 삼킬 때 몸 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특히 노화로 침샘의 기능이 떨어져 침 분비가 줄어들면 세균이 몸 속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커진다.
이처럼 몸 속으로 들어간 세균들은 각종 신체 장기에서 세균성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 혀 안 닦으면 골다공증, 구강암 위험 
치주질환은 골다공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당뇨병 등
전신성 질환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와 있다.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의 상당수가 혀 속에서 서식 또는 증식한다.
미국 치주병학저널(Journal of Periodontology)에 실린 미 버팔로대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폐경 이후 여성들의 잇몸병은 골다공증 발병 위험을 30% 이상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혀 속에 있는 '진지발리스' '포르시텐시스' '인터메디아' '렉투스' 등 4가지 세균이
잇몸병을 일으킬 뿐 아니라, 뼈 손실과도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혀 속 세균은 구강암의 위험도 높인다.
설태를 방치하면 지속적으로 증가한 세균들이 구강 안 점막을 자극해
구강암 발생률을 2배 이상 높이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일상생활에선 입 냄새가 문제다.
입 냄새의 가장 큰 원인은 구강 내 세균이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발생하는 '휘발성 황 화합물'이다.
설태가 많을수록 이 화합물이 많이 생겨 냄새도 심해진다.
칫솔질만 하면 구강 내 휘발성 황 화합물의 25% 가량만 없앨 수 있으나,
혀까지 닦으면 80%까지 없앨 수 있다.




■ 혀 안 쪽까지, 가볍게 3~4회 닦아라
혀를 잘 닦으면 입 속 세균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어도 확실히 줄일 수 있다.
그렇다면 제대로 혀를 닦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칫솔로 혀를 닦으려면 요령이 필요하다.
먼저 치아와 잇몸을 닦은 후 물로 입을 헹구기 전에
칫솔모를 이용해 혀 전체를 3~4회 골고루 쓸어 내린다.  
그 다음 물로 입 안과 칫솔을 헹군 뒤 입을 크게 벌려 혀를 길게 내민 후,
혀 뿌리가 있는 맨 안쪽 가운데부터 바깥으로 3~4회 다시 쓸어 내리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구역질이 나는 사람이 있는데,
숨을 잠깐 멈추고 최대한 가볍게 문지르도록 한다.
설태가 심한 사람은 3~4회 더 문지른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꼼지락꼼지락꼼지락 | 작성시간 23.11.03 숨을 참아도 구역질은~ㅋㅋ
  • 작성자밥탱이 | 작성시간 23.11.03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