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자유게시판

비건/에스퍼 한목소리...메리 크리스마스

작성자다시보기|작성시간19.12.21|조회수43 목록 댓글 0


비건 "한국에서 한 발언 유효"..북미 대화 의지 재차 강조 2019.12.21


여러 질문에 "메리 크리스마스"..北 '크리스마스 선물' 엄포 염두에 둔 듯
한중일 3국 방문 마치고 귀국.."북한 만났나" 질문에 "답하지 않겠다"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 지명자는 20일(현지시간) 북한과 대화를 통해 비핵화 해법을 찾자는 입장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밝히며 북미 대화 재개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한국과 일본, 중국을 방문하고 이날 귀국한 비건 지명자는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이같은 뉘앙스로 발언했다.

그는 취재진의 여러 질문에 구체적 답변을 피하다 공항 청사를 빠져나온 뒤 차량에 탑승하기 직전 뜸을 들인 후 말문을 열어 "이게 내 메시지다. 여러분 모두에게 '메리 크리스마스'가 되라는 것"이라고 한 뒤 "여러분은 내가 한국에서 한 말을 들었다. 그리고 그 발언은 유효하다"고 밝혔다.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를 맡고 있는 비건 지명자는 지난 15일 한국을 시작으로 일본과 중국을 차례로 방문했다.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가운데 북한이 미국에 '새로운 계산법'의 시한으로 제시한 연말이 다가오면서 도발 엄포 수위를 높이는 상황에서 돌파구를 모색하려는 것이었다.

비건 지명자가 귀국길에 '한국에서 한 말'이라고 언급한 것은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나와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는 주문을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지난 15일 "일을 할 때이고 완수하자. 우리는 여기에 있고 당신들(북한)은 우리를 어떻게 접촉할지를 안다"며 북한 측에 만남을 제안했다.

실제로 비건 지명자의 한중일 방문은 비핵화 문제를 둘러싼 이들 3국과의 협력과 조율 목적 외에 북한과 만남을 목표로 한 것이라는 해석을 낳았다.

특히 당초 한국과 일본만 방문할 것으로 알려진 비건 지명자가 지난 19일 중국을 전격 방문한 것을 놓고 마지막까지 북한과 직접 대화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지만 끝내 북한과 접촉했다는 소식은 없었다.

비건 지명자는 '베이징에서 북한 대표단을 만났느냐'는 질문에 "나는 그 질문에 대답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았다.

그는 이밖에 이번 한중일 방문과 북한에 관련한 각종 질문에 "미안하다. 오늘은 아무 언급도 하지 않겠다", "오늘은 '메리 크리스마스'라는 말 외에는 아무런 메시지가 없다"는 답변을 반복했다.

비건 지명자가 여러 질문에 '메리 크리스마스'라는 말을 반복한 것은 북한이 '크리스마스 선물'을 거론하며 도발 가능성을 경고한 것에 대해 도발해선 안 된다는 뜻을 에둘러 표현하는 것처럼 들리기도 했다.

그는 '국무부 부장관으로 의회의 인준까지 받았는데 북한 관련 업무를 계속 담당할 것이냐'는 질문엔 "부장관이라는 말을 미국에선 처음 듣는다"며 "고맙다"고 받아넘겼다.

비건 지명자의 국무부 부장관 인준안은 전날 상원을 통과했고 대북 특별대표 직함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알려졌다.

----------

비건이 우리에게 메세지를 주네요. 좋은 크리스마스 선물이네요.

"여러분 모두에게 메리 크리스마스 되라는 것"




-------------

에스퍼, "정치적 해법이 비핵화 심화 최선의 방법"..밀리 합참의장, "어떤 것에 대해서도 준비돼 있어" 2019.12.21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북한이 '크리스 마스 선물'등 을 언급하며, 도발 가능성을 시사한 것과 관련해 "정치적 해법이 한반도에서 비핵화를 심화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에스퍼 장관은 현지시각 20일 오전 미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같이 밝히고 "필요하다면 오늘밤이라도 당장 싸울 수 있는 최고의 준비상태에 있다"며 그것이 북한과 관련해 자신의 "두가지 직무 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에스퍼 장관은 또 " 관련된 두번째 자신의 직무는 외교관들로 하여금 외교적 기반 위에서 대북외교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자신은 그에 대해 여전히 희망적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에스퍼 장관은 그러나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움직임 등 도발 징후를 묻는 질문에는 "정보 사안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겠다"면서 답변을 피했습니다.

에스퍼 장관과 함께 기자회견에 참석한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은 이와 관련해, "우리는 어떤 것에 대해서도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

에스퍼가 미국 국무장관이면 딱인데... 여하튼, 국방장관이 센스있게 비건의 발언을 맞춰줍니다.

"오늘밤에라도 싸워서 이길 준비"라는 제목의 언론은 거짓보도 입니다. 이긴다는 표현을 쓰지 않았습니다. 

여러 언론을 봐야 정확하게 보도하는 기사를 찾을수 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