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국제정세 소식

美비건, 중국과 대북문제 조율 후 귀국길..북미 만난듯

작성자다시보기|작성시간19.12.21|조회수46 목록 댓글 0
美비건, 중국과 대북문제 조율 후 귀국길..북미접촉 무산(종합3보) 2019.12.20. 19:42

비건, 북한행 무산 속 워싱턴행..북한 접촉 여부엔 "이번엔 노코멘트"
中외교당국과 연쇄 접촉서 제재 준수 속 북미 대화 재개 공감대



비건 대표 워싱턴행 (베이징=연합뉴스) 김진방 특파원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김윤구 김진방 특파원 =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겸 부장관이 19일 예정에 없던 방중을 통해 중국과 북미 대화 재개를 모색했으나 기대를 모았던 북미간 접촉은 무산됐다.

그러나 비건 대표는 이번 방중 기간 중국 외교 당국자들과 연쇄 접촉하면서 유엔 대북 제재 대오에서 이탈하지 말 것과 중국이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해달라고 요청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9일 베이징(北京)에 도착한 비건 대표는 방중 일정을 마치고 20일 오후 서우두(首都) 공항에서 유나이티드 항공 UA808편을 타고 귀국길에 올랐다.

비건 대표는 이날 북미대화를 위해 평양행 항공편에 탑승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으나 예정된 일정을 마친 뒤 즉시 워싱턴으로 떠났다.

앞서 전날 평양발 고려항공을 통해 북한 고위급이 베이징으로 나오지 않아 베이징에서도 북미간 접촉도 이뤄지지 않았다.

비건 대표는 공항에서 북한 측과 접촉했느냐는 연합뉴스 기자의 질문에 "이번에는 노코멘트하겠다"고 짧게 답을 한 뒤 탑승장으로 향했다.

그는 또 중국에 온 목적이 뭐냐는 질문에도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미국 국무부는 19일(현지시간) 비건 대표가 북한과 접촉할지와 관련해 "발표할 추가적 방문이나 만남이 없다"고 밝혀 성사 가능성이 작다고 밝힌 바 있다.

다른 소식통은 "비건 대표가 방중한 것은 대북 문제 관련 중국과 상의가 주목적이었지만 극적인 북한과 접촉 가능성도 내심 염두에 뒀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건 대표는 전날 뤄자오후이(羅照輝)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만난 데 이어 20일 오전에는 러위청(樂玉成) 외교부 부부장과도 만나 북한 비핵화 해법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러위청 부부장이 오늘 오전 비건 대표를 만났다"면서 "관련 소식은 나중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건 대표와 회동에서 뤄 부부장은 미국에 대북제재 완화 등 유화적 조치를 통해 북한과 대화와 협상, 정치적 해결에 나서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뤄 부부장은 중국의 기존 북핵 해법인 북미 간 단계적, 동시적 행동원칙을 강조해 미국이 원하는 일괄 타결 방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비건 대표는 최대한의 대북 제재 압박이 현재의 북한 비핵화 협상으로 이어졌다면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대북 제재 전선에서 이탈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북한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국이 북한의 연말 도발 자제와 북미 대화 재개에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비건 대표와 러위청 부부장과 회동에서도 대북 문제와 관련해 비슷한 내용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소식통은 "비건 대표의 갑작스러운 방중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 제재 완화안을 제기함에 따라 이를 잠재우며 대북 압박 대오를 추스르기 위한 목적이 크다"고 말했다.

주목할 점은 중국은 이번 대북 제재 완화 결의안 초안과 외교부 브리핑 등을 통해 6자 회담 재개를 주장하고 있어, 이번 북미 간 회동에서도 논의됐을 가능성이 크다.

6자 회담은 북핵 문제 처리에서 남북한,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이 참여하는 체제다. 의장국이 중국이라는 점에서 6자 회담 재개시 사실상 중국이 주도권을 쥐는 것으로 미국 뿐만 아니라 북한도 반대하는 상황이다.

--------

북미 만난듯 합니다.

1. 위싱턴행 탑승장에서 촬영사진 =>매우 밝은 모습을 보임,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느낌임

2. 워싱턴 탑승장에서 기자와의 문답,  "만났냐" , "이번엔 말하지 않겠다"=>온세상이 바람 맞은거 다 아는데, 자기는 아니라는 거죠

3. 기사에서 "북미 간 회동" => 오타일수도 있겠지만, 문맥상 사실로 보임

4. 추가적으로 러위창 부부장과 나눈 얘기도 눈여겨 봐야 할듯..


여하튼, 북이 주구장창 얘기하는 <완전하고도 되돌릴 수 없게 대북정책 철회>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은 유엔안보리결의입니다. 한미일유럽이 입에 달고 사는 국제헌법입니다. 자승자박이죠. 유엔결의로 제재가 해제되고, 종전선언/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유엔이 뽀개지지 않는 이상  (해제와 평화협정은)유효합니다. 11월하순 러시아방문시 최선희제1부상이 검토하고, 6자회담국 모두의 환영을 받았기 때문에 6자회담으로 가는것으로 봐야 겠네요. 일본,한국은 땡잡았습니다. 한방에 해결되겠네요.

정말 탁월한 작전이네요...웅대한 작전

설령, 미국이 이 기회를 차버린다면(결의안을 거부한다면)...상상이 안되네요. 중러가 돌아선 이상, 미국이 결의안을 거부한다는 것은 유엔을 깰 각오를 해야 가능한 결정이죠. 이제 연말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