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그동안 한국의 탁구용어은 일본탁구용어를 그대로 답습한 경향이 없지않아 있습니다.

작성자은하세계| 작성시간20.07.22| 조회수647| 댓글 37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 Earlybird 작성시간20.07.22 은하세계 제가 굳이 은하세계님한테 인정받을 필요도 없고, ITTF에서 배포한 공식 자료입니다. ITTF가 모든 것을 인터넷에 공개하지는 않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Earlybird 공개하지도 않은 자료를 공식자료라고 하기에는 그렇군요.
    저도 굿이 얼리버드님에게 확인하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Earlybird 작성시간20.07.22 은하세계 ITTF에서 발행한 오프라인 자료가 있다고 분명히 말씀드렸는데, 그걸 공식자료라 하지 않고 본인의 인정이 공식적이라는 그 오만한 생각에 웃고 갑니다.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Earlybird ITTF에서 미약하지만 그런 시도를 했었다고 하는데, ITTF도 그런 용어집을 제대로 배포하지 못한거라면 미완성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완성된 용어집이 아니라는 거죠
    그러니 공개된 자리에 배포도 못하고 오프라인에서 개인끼리 주고 받는 거 아닐까요?
    저는 그런 자료는 구해서 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구해보았자 실망만 할테니까요.
  • 작성자 likedeadman 작성시간20.07.22 국제적으로 통하는 용어를 통일시키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나중에 국제적으로 소통할때도 훨씬 나아지겠죠. 취미로 운동하는 건데 우리가 왜 레슨받고 미친듯이 열심히 칩니까. 제대로 배워서 재밌게 칠려고 하는거죠. 마찬가지로 제대로된 용어도 제대로된 소통을 위해서는 바람직 하다고 생각합니다. 일상에서 스포츠 용어들도 잘못된게 많죠 예전에 센타링(축구).. 당구용어들.. 이런것도 사실 그냥 편하게 쓰던데로 쓰면 되는데 왜 바꾸고 있고 바꾸려고 할까요??
  • 답댓글 작성자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작성시간20.07.22 그냥 쓰면 되지만 그걸 바꾸면 바꾼사람은 실적이 됩니다.

    언어는 의미와 문화의 결합된 산물입니다. 그게 좋고 나쁨은 다수의 편의에 의해결정되어야 하고 역사적 문화적 악영향을 끼치는 단어의 경우는 충분한 논의를 통해 변화에 양해를 구해야 합니다.

    한국은 한국 나름의 탁구문화가 있습니다.
    그게 아무리 잘못되었더라도 그 툴 안에서 오랜시간 탁구를 즐기고 지켜온 분들도 존중해야 합니다.

    잘못된 단어의 기준은 세계공용단어라는 주장이 있지만 그 또한 기득권 나라나 세력이 자신의 편의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기에 검증이 필요합니다.

    그냥 위에서 말하니 그게 맞다. 우린 따라야 한다기엔
  • 답댓글 작성자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작성시간20.07.22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기분이 상한건 어쩔 수 없습니다.

    용어가 잘못되어서 탁구치기 불편한적 없었고 국대감독이나 대탁회장도 우리와 동일한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탁구경기를 방송했을 때 아나운서나 해설은 우리가 사용하는거 보다 더한 용어들도 사용했습니다.

    근데 갑자기 이게 맞으니 바꿔라는 식으로 나오니...

    옳고 그름을 떠나 기분이 나쁩니다 ㅠㅠ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잘못된 걸 바꾸는 건 당연합니다. 그것이 오늘이던 내일이던 바꾸어야 할 것이 있으면 바꾸면 그만입니다.
    그것가지고 기분이 상하다 아니다를 말하는 것 자체가 좀 우스광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개인이 바꾸고 싶지 않으면 안 바꾸어도 누가 뭐라 안합니다.
    안바꾼다고 경찰이 와서 잡아가는 것도 아니고요.

    다만 대탁이 바꾸기로 하였다고 하니까 그런가 보다 하는 겁니다.
    대탁이 바꾸었다고 굿이 따지거나 칭잔하고 싶은 생각도 없습니다
    그냥 일본식이다 어쩟다.. 하고 말많은 용어를 바꾸었다고 하니 그런가 보다니.. 하는 것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likedeadman 작성시간20.07.22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네 지금까지 쓰던걸 바꿔야하니 기분이 안좋을수는 있겠죠.. 물론 지금 유승민회장도 예전에 드라이브라고 가르치는 레슨 저도 봤구요. 그렇게 배워왔고 지금 사람들이 그런 용어를 당연하게 사용하니 그렇게 쓰는거겠죠.. 하지만 용어 문제에 대한 문제제기는 예전부터 있었고 (물론 부수제에 따른 문제제기와 함께) 앞으로는 어차피 수정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지금 용어를 정립하는것이 좋은것같습니다.

    여담으로 개인적으로 야구팬이지만 야구역시 일본 용어가 가득합니다. 지금도 많이 사용되구요. 하지만 해설진과 같은 사람들도 이제는 미국식표현으로 거의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동네 야구에서 저와같은 아저씨들은 여전히 그런 용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저에게는 일본식 야구 표현이 좀 더 친숙하고 정이가기도(?) 하지만 그것역시 미국식 표준으로 바꾸는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생각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작성시간20.07.22 likedeadman likedeadman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 작성자 오리지날 작성시간20.07.22 언젠가 누군가는 발걷고 나서야할 일이었습니다.
    동기가 어찌되었건 이번 건은 대탁에서 잘한 일입니다
  • 작성자 나무와 고무 작성시간20.07.22 우리말로 바꾸는 건 정말 안되는 일일까요? ^^
  • 작성자 다같이 셰이크 (구/나홀로 펜홀더) 작성시간20.07.22 한국말로 바꾸는 건 정말 안되는 일일까요? (2)
  • 답댓글 작성자 세모래 작성시간20.07.23 북한의 탁구용어가 순우리말로 쓰죠.
    서브가 '쳐넣기' 라고... ㅋㅋㅋ
  • 답댓글 작성자 다같이 셰이크 (구/나홀로 펜홀더) 작성시간20.07.24 세모래 아, 정말 북한에서는 탁구 용어를 순우리말로 쓰겠군요! 개인적으로 이런 점은 북한이 정말 잘 한다고 생각합니다.
  • 작성자 눈떠보니왕하오 작성시간20.07.22 근데 늘 일본 불매 불매 해도...건설현장을 포함해서 스포츠계등 세세한 부분에서 일본어의 영향을 피해가는건 쉽지 않기 때문에... 인식있는분들 솔선해서 사용하시면 언젠가는 바람데로 변화의 물결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작성자 맞드라이브까지 작성시간20.07.23 앞으로 탁구시합 방송부터 제대로 된 용어를 쓰면 되겠네요... 해설자마다 다르게 쓴다면 의미 없을 거 같구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