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그동안 한국의 탁구용어은 일본탁구용어를 그대로 답습한 경향이 없지않아 있습니다.

작성자은하세계| 작성시간20.07.22| 조회수647| 댓글 3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오비트랩 작성시간20.07.22 보스커트라고 부르던 말은 푸쉬로...
    포핸드 롱이라 부르던 말은 포핸드 드라이브로....
    포핸드 드라이브라 부르던 말은 포핸드 탑스핀으로 바뀐다는 것이네요.

    다른 용어들이야 쓰다보면 어느정도 적응될거 같은데 '드라이브'라는 용어가 우리가 생각하는 뜻이 아니라 '기본타법'을 뜻하는 부분은 혼란이 어마어마 하겠네요.

    흔히들 '드라이브'가 탁구의 꽃이다라고 많이 할 정도로 탁구의 대명사 격인 단어라서요.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드라이브라는 것이 탑스핀을 말합니다.
    그러니 드라이브를 영어식으로 탑스핀이라 부르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건 별로 문제가 안되보이는데요

    오히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커트를 앞으로는 푸시라고 부른다는 것입니다.
    그럼 이것이 기존의 푸시와 충돌을 일으키게 됩니다.

    사람들이 푸시라고 했을 때
    예전의 푸시를 말하냐 바뀐 용어의 푸시를 말하느냐가 햇갈리게 되는거죠.
  • 답댓글 작성자 오비트랩 작성시간20.07.22 은하세계 드라이브를 탑스핀으로 부르면 된다는 말씀은 알겠는데요
    드라이브라는 용어도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다보니 말하는 사람에 따라 의미가 천차만별이 될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겁니다.
    포핸드 드라이브라는 표현이 포핸드 탑스핀을 말하는건지 단순히 포핸드 롱을 말하는건지 혼란이 가중되겠지요.

    드라이브라는 말이 아마도 한국탁구에서 가장 자주 쓰이면서 탁구를 대표하는 기술용어가 아닌가 싶어서요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오비트랩 만약에 포핸드 롱을 의미하는 드라이브라면 그냥 포핸드 롱 또는 기본타법이라고 말하고
    만약에 드라이브가 탑스핀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그냥 탑스핀이라 말하면 혼동할 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푸시라는 용어는 다릅니다.
    예전 의미의 푸시를 표현하려고 하면 적당한 용어도 없을 뿐더러..
    현재 의미의 푸시를 표현한다고 해도 자꾸 예전 푸시가 떠올라 혼동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는 말씀이죠.

    드라이브란 용어는 대체 용어가 있어 사용 안할수 있다고 해도, 푸시라는 말은 사용 안할 수 가 없거든요
  • 답댓글 작성자 오비트랩 작성시간20.07.22 은하세계 한국에서 탁구치면서 윗댓글에서 말씀하신것처럼 쉽게 '드라이브'라는 용어를 기존의 뜻으로 안쓰는게 가능할지가 의문이어서 드린 말씀이었습니다 ^^;;;
    (혼용이라면 모르겠지만요 그것도 아니고요)
    제 개인적 생각은 여기까지 말씀드리겠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오비트랩 이제부터는 드라이브라고 표현하면 공식적으로 기본타법을 의미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쓰는 것은 상관없지만..
    공식적인 대화에서는 드라이브라고 하면 당연히 기본 타법을 의미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오리지날 작성시간20.07.22 은하세계 실은 오래전부터 보스커트를 푸시라고 해야한다는 주장이 있었고 (저포함) 많은 분들이 이미 테이블위에서 밀듯이 후퇴회전을 거는 기술을 푸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잘못 사용되는 회전서브, 어택, 커트 스트로크 등의 용어는 사용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쇼트라는 용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번에 대탁에서는 짧은 볼을 쇼트라고 정의하고 있는데요..

    - Short: 탁구대 안에 떨어지는 짧은 볼을 의미

    기존의미의 쇼트와 개정된 의미의 쇼트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도 문제입니다.
    그리고 보니 쇼트와 푸시가 이번에 개정되면서 문제가 될 듯 합니다.
    용어를 개정하려면 기존의 용어를 대체할 새로운 용어를 제시해야 하는데..
    새로운 용어만 제시하였지, 기존의 용어를 어떻게 불러야 한다는 등의...
    대탁에서는 그런 노력이 부족해 보입니다;
  • 작성자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작성시간20.07.22 사실 용어를 바꾼다는건 지금까지의 문화를 바꾸겠다는 것인데...

    일방적으로 국제적인 단어로 교체합니다 하고 끝날 일이 아닙니다.

    지금까진 틀린단어를 썼다 앞으론 이게 맞으니 너희는 이걸 쓰라고 하면... 누가 불만 없이 따를 수 있을까요?

    단어의 선택보다 전달의 모양이 잘못된 겁니다.

    대탁이 뭔가 잘못생각하는게...

    생활체육인들은 직업이 아닌 취미로 탁구를 치고 있습니다.

    즐거우려고 하는 운동 중 탁구가 있을 뿐이죠.

    근데 디비전이다 용어변경이다로 스트레스를 줍니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고 현재 생활체육에 대해 전혀 이해를 못하고 그저 내가 뭘 바꿨다는 실적에만 집착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작성시간20.07.22 예를 들어 커트를 푸쉬로 바꾼다고 하면...

    20년 넘게 커트로 말하던게 하루 아침에 푸쉬로 바뀔 수 있을까요?

    하루 아침이 아니라 의미에 대한 이해가 되려면 과정의 노력과 시간의 여유, 그리고 지난 역사와의 조율이 필요합니다.

    코로나19라는 단어가 국제용어가 아니지만 국민정서에 보다 이해를 돕는 단어인 것도 그러한 예 중 하나입니다.

    포핸드 탑스핀?
    저같은 유튜브를 하는 사람이야 기술단어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기에 뭔말인지 알지만 재미로 탁구치는 사람들에게 드라이브라는 쉽고 이해도 빠른 단어를 포핸드 탑스핀이라는 길고 복잡한 단어로 바꾸게 하려면 그에 맞는 설득이 필요한 것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작성시간20.07.22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바로 얼마 전 유튜브로 대탁 회장의 레슨영상에서도 결국 드라이브다 뭐다 등 기존 용어를 사용했고 그 이야기가 우리에겐 익숙하고 자연스러웠는데...

    당사자가 해외에서 경기도 하며 이미 영어권문화를 잘 앎에도 한국에선 이미 용어에 고착이 얼마나 깊은질 알겁니다.

    변화는 찬성이지만 불통에 섣부른 시도는 생활체육인의 한명으로 불쾌함을 느낍니다.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20년 넘게 커트로 말하던걸 하루 아침에 푸시로 바뀔 수는 없을 겁니다
    하지만 20년 후에는 커트라는 용어가 사라지고 푸시라는 용어가 자리 잡힐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용어라는 게 하루아침에 바귀는 건 아닙니다. 그 만큼의 세월이 필요한 거죠.
    만약에 지금 안바뀌면 20년 후에도 커트라고 할 겁니다.

    그리고 20년 후에 커트를 푸시로 바꾼다면 ..
    앞으로 40년 후에나 가서야 커트라는 용어는 사라지고 푸시라는 용어가 자리를 잡겠죠.
  • 답댓글 작성자 Earlybird 작성시간20.07.22 은하세계 언어는 시대와 문화를 반영한 산물이며 그에따라 계속 변화해간다라는 기본을 이해하지 못하면, 은하세계님 같은 주장을 하실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예를 하나 들어볼까요? 얼마전까지만 해도 짜장면은 서민들이 쓰는 용어였고, 표준국어사전에서는 자장면이 올바른 표기법이라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수십년이 지난 지금 결과는 어떻게 되었나요? 언어의 역사를 보면 한국에서 쓰는 드라이브라는 한국식 탁구용어가 20년 뒤에는 바뀔꺼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외국용어와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고 구별하면서 쓰는 것이 핵심인 것이죠. 미국 탁구협회의 정의를 우리가 쓰는 용어와 구별해서 쓰는 것이 중요한 겁니다. 대탁 담당자가 대충 긁어 붙인 걸, 엄청나게 생각하시지는 않으셨으면 해요.
  • 작성자 야간반장 작성시간20.07.22 이전에 '양양' 유튜브 영상을 보다보면 포핸드/백핸드 롱을 포핸드/백핸드 드라이브라고 설명하고, 드라이브를 탑스핀이라고 설명하던데 그게 미국식 용어 기준에 따랐던 거군요. 한동안 혼란스럽기도 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겠지만 표준 용어정리는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중국에서는 탑스핀를 주로 루프라고 표현합니다.
    패스트 루프와 스피니 루프로 나누기도 하죠
    일본에서는 스피드 드라이브와 루프 드라이브로 나누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탑스핀과 루프라고 합니다.

    나라마다 탁구용어를 부르는건 각양각색인데요.
    이왕이면 국제표준에 맞은 용어를 사용하는것이 나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국제표준의 중심에 있는 나라가 미국이라는 나라구요.
    금년부터 우리나라도 미국을 따라서 드라이브를 탑스핀과 루프로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Earlybird 작성시간20.07.22 ITTF에서 미약하지만 그런 시도를 했었고, 국제용어를 정리하긴 했지만, 나라마다 표현방식이 달르다보니 굉장히 심플하게 표현하긴했습니다. 다만 ITTF도 그런 용어집을 제대로 배포하지 못한게 안타깝지만 탁구의 현주소입니다. 저도 어렵게 구해서 봤다가, 실망만했네요.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Earlybird 원래 용어라는 것이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다가 그 커뮤니티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쓰면 그게 표준으로 자리잡고, 국제 기구나, 현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혼돈을 막기위해서 좀 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상호 과정을 거쳐야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특히 미국이나 유럽같이 민주화가 철저히 진행된 선진국에서는 어떤 권위있는 기관이 이런걸 부자연스럽게 밀어부치는 일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잘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ITTF에서도 탁히 용어집을 발간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탁구 용어는 존재합니다.

    미국협회보다도 ITTF 보다도 더 영향력이 있는 사이트가 올어바우트테이블테니스닷컴 https://www.allabouttabletennis.com/ 이라고 하는 사이트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미국탁구협회에서도 그 사이트를 참조한 듯한 생각이 듭니다.
    용어정리가 미국탁구협회보다도 더 깔끔합니다

    대표적인 용어가 쇼트와 푸시인데요
    미국탁구협회보다 더 깔끔하게 정의 하고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Earlybird 
    미국협회 http://www.usatt.net/

    Push - A backspin return of backspin. Usually defensive.

    Short - A ball that would bounce twice on the opponent's side of the table if given the chance.


    올어바웃 탁구 사이트 https://www.allabouttabletennis.com/

    Push - A backspin shot usually executed over the playing surface.

    Short - Playing any shot which causes the ball to bounce very near to the net and, if not hit by your opponent, would bounce at least twice on the table.
  • 답댓글 작성자 Earlybird 작성시간20.07.22 은하세계 말씀하신 사유로 ITTF에서 딱히 용어집을 발간하고 있지 않다는 건 그냥 은하세계님의 뇌피셜일 뿐입니다. ITTF에서는 용어집을 발간하였으며 관계자께서 저에게 직접 주셔서 자세히 읽어보았습니다. ITTF에서도 용어정립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 답댓글 작성자 은하세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07.22 Earlybird 공개된 용어집이 있나요?
    개인적으로 받으셨다면 공식 용어집이라 인정하기는 그렇구요
    공개된 용어집이라면 인터넷 어딘가에 있을테구요
    인터넷에 공개된 용어집이 있다면 뇌피셜이 맞긴하겠군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