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변해버린 마롱,^^ 변해버린 세계 탁구

작성자공룡| 작성시간20.11.30| 조회수1148| 댓글 48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세모래 작성시간20.11.30 전진압박 카운터만 노리는 재미없는 현대탁구의 식상함에 공감합니다.

    그래도 마롱의 전진? 중진? 플레이는 판젠동이나 하리모토같이 밉상탁구로 보이진 않구요. 저는 아직도 멋져보이네요~^^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11.30 마롱은 그나마 아직도 파워를 기반으로 플레이하긴 하니까 다른 선수들보다 멋져 보이긴 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네트와 엣지 작성시간20.11.30 100푸로 공감합니다 ㅋ
  • 작성자 왼손짱 작성시간20.11.30 생체 탁구가 잼나요~^^ 저같은 삐꾸도 같이 놀수있는...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11.30 탁구장 탁구가 재밌죠.
    이제 생체 수준이 너무 높아져서..^^
    예전 오픈 2, 3부 실력으로는 지금은 5부에서도 예탈할 듯.
  • 작성자 ▶◀네트와 엣지 작성시간20.11.30 동의합니다 그뿐아니라 이번 WTT의 카메라 워킹도 좀 불만인게 더럽게 빠른 랠리를 즐길수가 없더군요 테이블 옆에서 촬영하다보니 공만 보다 끝났어요 선수들의 움직임을 포함한 경기 전체를 보기엔 예전 카메라 위치가 훨씬 나은거 같습니다. 다만 화려한 경기장 분위기나 테이블 색과 공 색깔은 참신하더군요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11.30 그러게요.
    제일 싫은 건 카메라가 좌우로 공 따라다닐 때.
    어지럽기만 한데 왜 그 말도 안되는 짓들을 자꾸 하는지요.
    경기장 분위기와 테이블은 다이아몬드 때가 진짜 멋졌죠.^^
    마카오는 포인트 때마다 자꾸 시끄러운 음악 트는 게 너무 촌스럽고 한심하더군요.
  • 답댓글 작성자 마롱팬Tt 작성시간20.12.23 저는 옆에서 촬영되는 각도가 좋았습니다.
  • 작성자 불량폐기 작성시간20.11.30 저도 동의합니다. 개성(다양성)이 줄어가고 있습니다. 쉬신, 마티아스팔크, 코키니와, 시몽고지 정도 제외하면 너무나 비슷한 스타일 입니다. 심지어 앞에 언급한 네 선수도 비슷해져가는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 생체에서는 물론 다르지만요...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11.30 결국 공이 회전이나 스피드가 안 나와서 중진으로 밀리면 지니까 그렇게 되는 거죠.
    선수들 탓이 아닙니다.
    공이 다시 작아지거나 가벼워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곡현 작성시간20.11.30 공룡 측상단 대각선에서 보는 경기가 제일 현장감 넘치고 좋은데, 노출되는 광고가 적게 돼서인지 잘 안 잡아주네요. 위쪽 앵글은 그만 잡았으면 좋겠고요..^^
    현재 abs볼 공급 계약이 끝나면 다음 볼은 어떻게 바뀌려나요. 크기라도 조금 줄여주면 좋겠네요ㅠㅠ(현 소재는 짱구율이 좋아서 유지하고 물리적인 변화를 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 작성자 루프드라이브(게시판지기) 작성시간20.11.30 러버를 바꾸고 공을 바꾸면 바꿀 수록 탁구는 더 재미가 없어지는데...

    발전이 아닌 퇴화하고 있으니 앞으로가 더 걱정됩니다.

    이러다 나중엔 탁구는 없어지고 라지볼을 탁구라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11.30 그러게요..
    그나저나 몸은 좀 괜찮으세요?
    자꾸 수술을 받으시니 걱정돼서 영..ㅜㅠ
  • 작성자 오리지날 작성시간20.11.30 ^^.
    플레이 스타일이 이래되니
    차라리 랠리 횟수가 많은 여자탁구가 더 볼만하지요.

    생체 1부들 경기가 더 잼있음.ㅋ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11.30 맞아요. 똑같은 생각.ㅎ
    생체 경기 영상을 더 보게 됩니다.^^
    막강 고준형선수 같은 넘사벽 경기 말고 아기자기한 경기들..ㅎ
    이진권선수는 국대 출신이지만 참 재미있는데 요즘 뜸하네요.
  • 작성자 제임스2 작성시간20.11.30 저는 여자 경기는 재미있게 봤습니다. 비슷하게 보여도 엄밀히 보면 각각 플레이의 상이점이 있더군요.
    선수들은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므로 예전의 장지커나 기타 선수들의 플레이에 얽메일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류스윈은 한창때 빠른 전진 플레이가 돋보였습니다만 승부를 위해서 선수들은 그렇게 변할 수밖에 없는거지요.
    멋있는것만 추구할 수 없는 현실을 선수들하고 생체인하고는 출발 자체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11.30 물론 알지요.
    승리를 위해 변해가는 현실을.
    하지만 각종 규칙의 변경을 통해 결국 현실을 그렇게 만든 게 아쉽다는 이야기입니다.^^
  • 작성자 도쿄에서탁구 작성시간20.11.30 이전 마롱vs장지커 같은 시합 보면 지리죠. 시대에 따라 변해간다고 생각 해야죠 축구도 볼 많이 바꾸잖아요ㅎ 야구도 그렇고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0.11.30 저는 예전 1970~80년대 스웨덴 탁구 보던 세대라서..ㅎㅎ
    발트너와 페르손, 아펠그렌, 에릭 린드 등이 활동하던 스웨덴 국대팀 게임은 볼거리가 늘 풍성했습니다.
    거기에 중국과 우리나라의 펜홀더 전진속공수들이 맞붙으면 정말 재미있었죠.
    장지알량, 김완, 김기택, 현정화.
    그리고 묵직한 일펜의 김택수, 유남규, 양영자.
    그 시절이 그립습니다.
  • 작성자 Ma_Long 작성시간20.11.30 딩닝은 거의 포핸드 안쓰는 플레이어 같은데 ㅎㅎ
    그래두 마롱은 넌차이니즈 선수들과 할땐 포핸드 비중 아직까진 크다고 보여져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