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아직도 많이들 틀리는 탁구용어들에 대하여

작성자공룡| 작성시간22.06.13| 조회수1048| 댓글 25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적룡혀니 작성시간22.06.13
    댓글 이모티콘
  • 작성자 불량폐기 작성시간22.06.13 서브 넷트 맞으면 넷트 가 아니라 렛 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6.13 서브가 넷트라서 렛이 되는 거라..
    둘 다 맞긴 한데 '넷'이라고 외치는 건 맞지 않긴 합니다.
    심판의 선언은 '렛'이죠.^^
    무효, 다시!
  • 작성자 왼손짱 작성시간22.06.13 화 -> 포어, 포어핸드 어닐까요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6.13 네.
    화는 포어의 일본식 발음.^^
  • 답댓글 작성자 Chaboom 작성시간22.06.14 아하 fore의 일본식 발음이군요!
    테이블 앞에 서 있는 선수의 far side를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봤답니다ㅎㅎ
  • 작성자 세모래 작성시간22.06.13 롱핌플 러버를 페인트 러버라고 부르는 해설자분도 있더군요.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6.13 막 본문에 추가한 내용을 거의 동시에 댓글로 말씀해주셨군요.
    텔레파시?ㅋㅋ
  • 답댓글 작성자 세모래 작성시간22.06.13 공룡 찌릿~~찌리릿~~~
  • 답댓글 작성자 세모래 작성시간22.06.13 공룡 아이러니 하게도 '커트'를 '푸쉬'라고 명하지 못하는 이유중 가장 큰요인은 '보스커트' 라는 용어 때문인것 같아요. ㅋㅋㅋ
  • 작성자 스이카 작성시간22.06.13 이질러버라고 말하시는 분들이..많습니다... 차라리 롱핌플이에요 숏핌플이에요? 라고 물어봐주심 감사합니당..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6.13 점차 그렇게 잘 자리잡도록 우리 회원님들부터 노력해야겠죠.^^
  • 작성자 느린발 작성시간22.06.13 저도 유튜버로써 활동하고 있지만..
    모르는것도 있고..
    알면서도 일부러 사용 안하는 것들도 많고..그러네요 ^^;
    익숙한 용어를 쓸것이냐..
    정확한 용어를 쓸것이냐에 조금은 고민이 되네요.
    정확한 용어를 써야 하는게 맞겠지만..
    어려움이 있네요 ㅎ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6.13 많은 시청자들을 위해 익숙한 용어를 쓰시더라도 가능하시다면 괄호 안에 정식 용어를 덧붙여 써주시는 건 어떨까요?^^
    일부러 틀리게 쓴다는 젊은 유명 유튜버의 채널은 결국 참다 참다 짜증나서 안 보게 되더라구요.
    많은 분들이 잘못 알고 잘못 쓰는 용어들을 올바로 고치는 길로 적극적으로 이끌어주는 것도 방송을 만드시는 분들이 먼저 모범적으로 해주셔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느린발 작성시간22.06.14 공룡 어렵네요~^^;
  • 작성자 percent 작성시간22.06.14 복식에서 서비스가 오른쪽에 들어 갔을 때.....미스(아웃)라고 많이 합니다.
    미스가 아니고 "폴트"로 알고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6.16 그렇죠.
    미스는 놓치는 것이고 폴트는 잘못된 것, 틀린 것이니까요.^^
    서브를 잘못 넣었으면 폴트라고 해야죠.
  • 답댓글 작성자 percent 작성시간22.06.16 공룡 The 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Handbook for Match Officials
    (Sixteenth edition July 2019)
    Appendix E - Recommended Hand Signals and Calls 8 항에 "Fault"로 콜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작성자 에피브리스트 작성시간22.06.14 라켓 / 블레이드.
    ITTF의 공식 용어는 racket입니다. (2022 ittf handbook)
    블레이드는 러버를 붙이지 않은 목판을 의미합니다.
    영국(유럽)에서는 배트, 북미에서는 패들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20세기 초반 영국의 탁구게임 제조회사에서는 bat라는 용어를 썼습니다. 탁구는 곧바로 일본으로, 중국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또 우리나라도 빠따가 된 거일 겁니다.
  • 답댓글 작성자 공룡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06.14 공식 용어가 라켓인가요?
    그렇군요..^^
    일반적으로 줄을 매는 것들이 라켓이라..ㅎ
    탁구에서도 라켓을 공식으로 쓰고 있나 보네요.
    저도 처음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을 수정해야 하겠네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