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중국 대표팀의 부진한 성적에 대해 (사견입니다.)

작성자Oscar| 작성시간17.11.13| 조회수2065| 댓글 69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슈미아빠 jw 작성시간17.11.13 잘 읽었습니다^^
  • 작성자 푸른별 작성시간17.11.13 오스카님 글은 언제나.... 너~~무 길어.
  • 답댓글 작성자 일산탁미 작성시간17.11.14 더 길었으면 좋겠어요!
  • 작성자 씨포 작성시간17.11.13 중국의 부진 이제 이해가 좀 되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 Osca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1.13 안 믿으시는 분들이 많으신 듯 하네요. 중국 탁구계에서는 큰 이견 없이 그런 줄 알고 있는 내용인데...

    이런 저런 또 다른 정치적 의미도 있습니다.
    탁구 흥행을 위해서 해외 오픈 시합을 굳이 다 이길려고 하지 않기도 해요. 하지만 이번 경우는 류궈량 감독 복귀를 위한 항의의 행동으로 해석하는 사람들이 중국에는 더 많습니다.
    (글 쓰기 전에 몇몇 중국 탁구 업체 관련자들과 확인하고 적었음을 첨언해 드립니다.)
  • 작성자 Camel 작성시간17.11.13 믿고 안 믿고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는 증명하기 어려운 이야기라는 점이죠. 지금은 Conspiracy 범주에 속하는 이야기이죠. 나중에는 밝혀질 수도 있겠죠.
  • 답댓글 작성자 Osca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1.13 예~^^ 알겠습니다 ~^^
  • 작성자 김나박이 작성시간17.11.13 감독이 바뀌였다고 세계최강의기량의 선수들이한순의 부진이라는건..
    제개인적으로는 조금관계는있을수있으나 저는
    abs볼의 이유가 더커보입니다
    중국러버 장점이 무엇인가요
    회전많이걸리고 상대의회전을
    덜탄다는게 가장큰장점인데
    공자체의 회전이적어져버리니
    중국러버자체의 장점이 많이줄어들게되죠^^ 만약 여기서다시 셀롤로이드볼로바뀌면 다시중국독재일껍니다
  • 답댓글 작성자 메기 작성시간17.11.14 근데 최근 중국러버를 쓰는 비중국인 선수가 늘었다는건 이 주장의 큰 반례로 보이긴 합니다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Osca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1.13 예, 감사합니다 😊
  • 작성자 성운 작성시간17.11.13 판젠동이 DHS로 바꾼걸 홍보수단으로 쓰고 싶지 않다고 하시는데. 그립만 바꾼 비스카리아였을 때에는 왜 스티가 인피니티 쓴다고 홍보하셨을까요?
  • 답댓글 작성자 Osca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1.14 비용을 들여 선수를 통한 홍보의 권한에 대해 선수와 계약을 한 스티가는 선수의 용품에 대해 홍보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브랜드의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디면 그 책임은 계약 위반자에게 있으며 에이젼시인 탁구닷컴은 스티가나 계약 선수로부터 공식적인 답이 없으면 나서서 계약 내용과 다른 사실을 표명할 수는 없습니다.

    지금 상황은 그것과 차이가 있습니다. 계약 당사자인 스티가 선수들이 공공연하게 계약 위반 행위를 대내외적으로
  • 답댓글 작성자 Osca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1.14 증명하고 있으며 이것은 스티가 에이젼시로서는 매우 슬픈 일입니다. 제 기본적인 입장은 선수가 원하지 않았는데 강제적으로 이런 일이 일어 났다고 생각 됩니다만, 이것은 확정지어 말할 수 없는 일이지요.

    그렇지만 DHS의 에이젼시 입장으로는 타 브랜드 계약 선수가 DHS 제품을 사용함으로 매우 좋은 일입니다. 사안의 내면을 알지 못 하면 DHS를 위해서 홍보용 소스로 사용할 법한 일입니다. 그러나 그 이면을 알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 작성자 박PD 작성시간17.11.14 관점을 바꾸게 만드는 좋은글 감사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Osca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1.14 예~^^ 항상 수고가 많으십니다 ~^^
  • 작성자 대은이(게시판지기) 작성시간17.11.14 2013년 폴리볼로 바뀐해가 서효원의 전성기였고
    주세혁이 회전량이 줄어서 수비수는 앞으로 힘들것이라고 인터뷰도 했었으나
    이후에 걱정한것보다 파장은 없었다고했었죠
    실제로 전성기 만큼은 아니지만 성적은 꾸준했었고 한국을 계속대표해 나갔었구요

    그 당시에도 중국은 공의 회전량이 적어진들 최강 중국을 유지했으니까요

    물론 폴리볼때보다 더 회전량이 죽었으니 영향이 클꺼다 라고 주장할수도 있겠지만

    계속 부진하던 서효원의 수비가 이번 독일오픈에서 더 성장한걸로 보면
    그 영향이 그렇게 크지 않을꺼라봅니다

    물론 파워가 좋고 렐리에 능한 유럽선수들이 다문 몇퍼센트라도 유리한 영향을 받았을꺼라 생각되지만
  • 답댓글 작성자 대은이(게시판지기) 작성시간17.11.14 압도적이던 중국을 무너뜨린 주요 이유라고 생각진 않아요

    너무 답을 찾으려고 머릴싸메고 생각하다보면 남의 의견은 틀림!!으로 보일수 있으니

    모든 주장들이 조금의 근거가 되어
    지금 2017년의 중국탁구는
    세계가 넘사벽으로 바라보던
    예전에 비해 너무 많이 지고있다!!!

    이 현실이 전 너무 즐겁습니다~^^
    더이상 중국애들이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에서 탁구는 재미없다(보나마나 금메달이니) 이 딴소린 안듣게되었으면 합니다
    계속해서 쭈~~욱
  • 작성자 적룡혀니 작성시간17.11.14 잘 보았습니다 ^^
  • 작성자 아트백핸 작성시간17.11.14 폴리볼로 바뀔때도 말이 많았지만 큰 변화는 없었지요. ABS볼도 마찬가지일거라고 생각해요. 바닥 하늘색으로 바뀌었을 때 제일 먼저 바닥 바꿔서 준비했던 나라가 중국입니다. 중국이 바뀐 공 관련해서 준비못할 정도의 탁구 인프라가 아니죠. 오스카님의 의견처럼 중국의 정치상황과 탁구가 맞물려 직간접적으로 중국선수들에게 영향이 미쳤다는 것이 가장 reasonable 하게 들리네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