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의 체온 조절 방법 요약
(땀의 과학, 한국경제 신문, 사라에버츠 – 저널리스트, 2022, pp 59-79)
물개 – 지느러미 발에 소변을 누어 증발하면서 체열을 식힌다(오줌 땀, urohidrosis)
꿀벌 – 체온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구토하여 내용물을 몸에 구석구석 바른다.
황새, 콘도르 – 자기 다리에 똥을 눈 후 다리로 흐르는 피가 대변의 수분 증발로 냉각되면서 체온이 떨어진다.
박쥐 – 신체기능을 정상수준의 10%만 남긴다. 영상에서 동면상태로 들어간다.
코알라 – 와틀트리(섭씨 9도까지 냉각)를 껴안는다.
캥거루 – 앞발을 핡아서 식힌다. 그 다음으로 헐떡거림으로 체온을 낮춘다.
개, 양, 새 – 헐떡거림.
사막비둘기 – 헐떡거림 + 피부세포 사이로 물을 배출하여 증발로 냉각효과를 얻는다.
사막매미 – 즙을 빨아 먹은 후에 체액을 배와 가슴의 구멍으로 배출하여 몸을 식힌다.
캥거루, 개구리 – 체액을 흘린다.
포유류 - 손바닥, 발바닥에 에크린 땜샘이 있지만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개코원숭이, 마카크원숭이, 고릴라, 침팬지 – 전신에 에크린 땀샘이 있지만 헐떡거림에 의존하여 체온을 식힌다. (사람은 침팬지에 비해 에크린 땀샘 밀도 10배)
여우원숭이, 마모섹, 타마린 - 전신에 에크린 땀샘이 없다.
소, 말, 낙타, 일부 영양 종류 – 아포크린 땀에 의존한다.
하마 – 분홍색 땀(자외선 차단, 피부 보습효과, 항생제 기능) , 물속에 들어가서 식힌다.
낙타 – 혹이 파라솔 + 아포크린 땀샘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세란통